21일 안타깝게도 사육돼지에서 ASF가 발생되었습니다(관련 기사). 주요 언론은 '4개월 만의 재발생'이라며 뉴스로 다루었습니다. 네이버 검색을 통해 파악된 기사 숫자만 현재 70여개에 이릅니다. 22일 충북 충주와 경북 영천·안동서 ASF 감염멧돼지가 추가로 확인되었습니다. 영천 감염멧돼지의 경우 살아있는 상태에서 포획되었으며 부산을 제외하고 역대 최남단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바이러스가 또 남하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뉴스로 전하는 매체는 단 한 곳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현상은 뉴스가 되고 원인은 뉴스가 되지 않는 씁쓸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것입니다. 한편 이날 정부는 전국 지자체 및 관계기관에게 양돈농가가 기본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의심 증상 발견 시 방역당국에 신고할 수 있도록 반복하여 교육하고 점검해 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세상이 너무너무 힘들다. 이제까지 열심히 살아왔는데, 민원 제기로 너무너무 힘들다. (중략) 주변 주민분들 그동안 정말 죄송하였습니다' - 보성 농장주 유서 일부 13일 뉴시스를 비롯해 중앙, 조선, 매일경제 등 주요 언론은 일제히 지난달 21일 반복적인 악취 민원과 이에 따른 지자체의 행정단속 과정에서 스스로 생을 마감한 보성 농장주의 이야기를 기사로 전했습니다. 사건 발생 22일 만에 일입니다. 한편 대한한돈협회는 오는 16일 오후 1시 세종시 환경부 청사 앞에서는 보성 농장주를 기리는 추모제 및 기자회견을 개최합니다(관련 기사).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
19일 돼지 평균 도매가격이 5,503원/kg(제주 및 등외 제외)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달 25일(2468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최근 돼지 도매가격은 하락 추세입니다. 지난 11일 6467원을 정점으로 도매시장 경매일 기준 6일 연속 가격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11일과 19일 가격을 비교하면 14.9% 감소했습니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가격 급락'입니다. 그런데 이를 전하는 일반 언론은 없습니다. 지난주 이들은 돼지 도매가격이 19.1% 급등했다고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어이없게도 무관세 돼지고기 수입을 검토 중이라고 화답했습니다(관련 기사). 급등은 뉴스가 되고 급락은 뉴스가 안되는.....그저 씁쓸할 뿐입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
최근 한 언론은 소고기 1kg를 만들고 소비하는데 물 1만 5,415리터가 필요하며, 이를 소비하지 않으면 그만큼의 물을 아낄 수 있다는 기사를 만들어 배포했습니다. 돼지고기의 경우 소고기보다는 적은 5,988리터의 물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물을 아끼고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육식을 줄이고 채식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을 전했습니다. 해당 뉴스는 지난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작성된 것입니다. 기사에서 '돼지고기 1kg = 물 5,988리터'라는 내용은 '탄소 발자국'과 비슷한 개념인 이른바 '물발자국(Water footprint)'에서 나왔습니다. '물발자국'은 상품(식품)을 생산부터 유통, 소비, 폐기하는 등의 전체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총량입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사용된 물의 양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수치가 적을수록 사용된 물의 양이 적다는 의미입니다. 기사에서의 구체적인 물발자국 수치는 Water footprint network라는 민간환경단체의 자료(바로가기)를 인용했습니다. 그런데 해당 자료에 따르면 바나나 하나(200그램)의 물발자국은 160리터입니다. 사과 하나(150그램)는 125리터입니다. 커피 한 잔의 경우는
월요일인 지난 11일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 한돈협회)가 청와대 인근 효자로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한돈산업 사수 및 생존권 쟁취'를 위한 무기한 대정부 투쟁을 선언하고, 당일 바로 1인 시위와 천막 농성에 돌입했습니다. 1인 시위는 청와대, 환경부, 농식품부 앞에서 그리고 천막 농성은 농식품부 앞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축산 언론 이외 다수의 일반 기자들이 참석해 농가들과 경찰과 함께 묘한 장면을 연출하여 행사 분위기를 띄우는데 충분했습니다.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방송용 카메라는 연신 돌아갔고, 쉴새없이 셔터 누르는 소리가 이어졌습니다. 농가들은 현재의 답답하고 절박한 상황을 더 잘 전달하고자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기자회견 직후 연합뉴스와 뉴시스 등 통신사를 비롯한 일반 언론들은 기사를 쏟아냈습니다. 마치 경쟁이라도 하듯이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다음'에 현장의 분위기를 전하는 기사가 떴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구호 전달와 사진 중심 입니다. 사진 하나에 3~5줄 정도의 설명이 전부 입니다. 양돈농가가 왜 코로나19 정국 속에 거리로 나설 수 밖에 없는지를 구체적으로 전하는 기사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나마 상세한 기사는 KBS의
네이버 뉴스 검색을 통해 17일과 18일 이틀동안 생성된 기사 숫자는 6천64개 입니다. 하루 3천개이며, 이를 24시간으로 나누면 시간당 126개의 기사가 새로 생성되는 셈입니다. 바야흐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정국입니다. 일반 언론들은 17일 오전 파주에서 첫 ASF가 확진된 이후부터 빠르게 관련 소식을 전했습니다. ASF가 무엇이고, 이의 확산시 어떤 피해를 입을지, 인체감염은 되는지, 돼지고기 안심하고 먹어도 될지 등을 다루었습니다. 정부의 관련 대응 소식도 실시간으로 전달했습니다. 관련 전문가들의 인터뷰가 이어졌습니다. 주요 언론사들은 발생농장에 방송 및 사진, 일반기자 등을 파견해 현장 취재에도 열을 올렸습니다. 발생농장 주변에 언론사들이 몰고온 차량으로 장사진을 이룬 모습이 확인됩니다. 이들 주차 차량으로 인해 가뜩이나 좁은 농장 진입로가 반으로 줄어들어 긴급한 살처분을 위해 매립용 FRP를 실은 화물차의 진입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농장진입로 멀찍이에 설치된 통제라인 앞에는 20~30명의 사진 기자들이 연신 셔텨를 눌러댑니다. 바로 옆에는 생방송 중계차량이 세워져 있습니다. 말 그대로 취재 전쟁 그대로입니다. 이런 가운데 벌써부터 취재가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 이하 한돈협회)가 17일 농림축산식품부 관련 주요 언론사에 보내는 공문을 통해 이번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 관련 자극적인 언론보도를 자제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습니다. 한돈협회는 한돈농가들은 지난2011년 구제역 사태 당시 언론의 ‘환경재앙,핏물 악취 진동’등 자극적인 표현과 가축이 매몰되는 모습을 담은 혐오스러운 사진 및 영상 등을 통한 보도가 돼지고기 소비기피 심리 확산으로 이어져 큰 피해를 입었다고 지적하고, 이번 ASF 상황에는 혐의스런 내용과 표현을 담은 자극적인 보도를 피해 주기를 부탁했습니다. 한편 17일 경기도 파주에서 우리나라처음으로 ASF가발생함에 따라 이같은 사실을 우리 언론들은 일제히 기사로 만들어 실시간속보로 내었습니다. 오후 6시 기준 네이버 기사 검색에 따르면,ASF 확진 12시간만에 생성된 기사 숫자는 2,622건에 달합니다. 시간당 관련 기사 숫자는 2백 개를 크게 웃돕니다. 유튜브 영상까지 더해진다면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다음은 한돈협회의 관련 요청 공문 전문입니다. ASF발생에 따른 자극적 언론보도 자제 협조요청 1.귀사의 무궁한 번창을 기원합니다. 2.지난9월17일
지난 9일 정부의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 대국민 담화(관련 기사) 이후 ASF가 언론과 국민의 큰 화제로 잠시나마 떠올랐습니다. 담화시작 오전 11시30분 전부터 주요 언론사를 통해 담화문이 배포가 되었고, 담화 후 일제히 관련 기사들이 생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치사율 100%, 걸리면 다 죽는다"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유입 시 양돈산업 붕괴 우려 높아져 비상" "국민 모두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지 노력해야" "국내 양돈농가 존폐가 달렸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뭐길래" 이번 담화문을 통해 ASF가 양돈산업에 있어 대재앙이라는 점, 아울러 불법 휴대축산물 반입 금지 등 국민적 협조가 있어야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 등 크게 두 가지 메시지는 확실히 전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담화문 발표 당일 MBC 뉴스의 관련 기사가 전체 뉴스 기사 1위를 차지하는 보기드문 일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다음에 달린 이 기사의 댓글에는 무려 1378개나 달렸습니다. 물론 제목에 낚였다거나 기사와 상관없는댓글도 있지만, 적지않이 ASF 관련 양돈산업을 걱정하는 글이 상당수 입니다. 댓글 가운데 몇 개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