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양돈장의 안타까운 현실 가운데 하나는 돈사 내에서 소독제 사용을 맘껏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유는 돈분의 발효를 위해 상당량의 미생물제를 사용하는데 소독제 사용이 미생물에 상당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축산전용 계면활성제(이하 계면활성제)'의 개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빠른 시간 안에 축사 내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둘째는 농장 내 사람, 가축, 미생물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계면활성제는 이미 양돈선진국가에서는 돈사 내 수세 절차에 기본에 포함되어 있다. 계면활성제의 사용은 우리 축산농가에도 중요한 장점이 있다. 우선 같은 양의 유기물을 제거할 때 시간뿐만 아니라 물사용량이 줄어든다. 아울러 노동시간도 감소한다. 실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는 농가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물로만 사용할 때 4번 정도 반복 수세를 했는데 사용 후에는 2번 정도로 수세 시간이 많이 줄어 들었다는 얘기를 흔히 듣는다. 그에 따라 물사용량도 줄어드는 것은 당연한 얘기다. 사용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통상 물사용량을 최소 약 30% 정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면활성제와 소독제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을 하자면, 일단 계면활성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코로나19 사태가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다. 양돈에서는 다른 코로나바이러스가 원인인 PED(돼지유행성설사병)가 전국적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다발하고 있다. PED의 경우 경구를 통한 물리적인 전파가 주 원인이므로 돈군 흐름 관리에서 돈사내에 남은 유기물 즉, 남은 분변을 깨끗하게 처리하는 게 중요한 포인트이다. 이번 글에서는 '농장내 차단방역의 기본인 축사내 수세소독'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물로만 수세 시 유기물 제거가 잘 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바이오필름’ 축산에서 '바이오필름(Biofilm)'은 우리말로 번역하면 ‘생물막’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운동성을 가진 미생물은 여럿이 있을 때 생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축사 바닥이나 벽에 붙으면 서로간의 접착을 통하여 군집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들은 증식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아미노산이나 무기염류로 바이오필름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또한, 바이오필름 안에서 지속적으로 증식을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러한 바이오필름의 양은 많아진다. 이에 따라 농장은 물리적이나 화학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려워지게 되며, 축사에서 지속적인 감염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