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의 한 농장에서 심각한 호흡기 임상 증상을 보이는 돼지의 폐 조직에서 'PRRS 바이러스(PRRSV)' 균주가 분리되었다. 'SNUVR220803'으로 지정된 이 PRRSV 균주는 ORF5 유전자의 계통학적 분석을 기반으로 'LKC(Lineage Korean C)' 계통으로 분류되었다. 이어 전체 유전체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PRRSV 균주 'K07-2273(LKC 계통의 일부)'과 'Ingelvac MLV(리니지 5 계통의 일부)'의 재조합체인 것으로 보였다. 이 균주의 Nsp2 아미노산 서열은 4개의 추가 아미노산이 삭제되어 일반적인 LKA, LKB, LKC 계통과 구별된다. 동물 접종 실험은 24마리의 돼지를 세 그룹으로 나누어 시행했다. 접종 그룹에 12마리, 센티넬(감시돈) 그룹에 6마리, 음성 대조군에 6마리였다. 접종된 돼지는 5일 동안 지속적인 고열(≥40.3°C), 눈꺼풀 부종, 청색증을 보였다. 이어 심각한 호흡 곤란과 종말증(cachexia, 지나친 체중 감소) 증상을 나타냈다. 접종 후 14일(dpi)에 폐사율이 58.3%(12마리 중 7마리)이었다. 접종 그룹과 센티넬 그룹 모두에서 SNUVR220803 균주 감염 후 체중이 감소
가장 널리 알려진 돼지 파보바이러스는 '돼지 번식장애증후군(reproductive failure syndrome)'의 주요 원인인 porcine parvovirus(PPV1)입니다. 번식장애증후군은 이른바 'SMEDI(사산, 미이라화된 태아, 조기 배아 사망, 불임)'로도 불립니다. 최근 유럽에서는 '27a 유사 균주( 27a-like strain)'라고 불리는 PPV1의 새로운 우점 균주가 등장했는데, 이 균주는 기존 백신 균주에 의한 중화가 잘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돼지에 27a 유사 균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PV4는 2005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소 파보바이러스 2와 같은 copiparvovirus에 속합니다. PPV4 감염은 돼지에서 지속될 수 있지만 병원성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업용 돼지 농장에서 순환하는 돼지 파보바이러스 PPV1과 PPV4의 거의 완전한 게놈 서열을 확보하여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PPV1의 premature stop codons과 PPV4의 frameshift mutations 등 숙주 변화의 전조일 수 있는 중요한 돌연변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아울러 기존 상용 백
코미팜(대표 문성철)이 오는 4일 12시 대전에 있는 계룡스파텔에서 '2022 ASF 백신 개발'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코미팜은 현재 미국 농무성(USDA)로부터 백신 균주와 이를 배양할 수 있는 세포주 등을 공급받아 환경부, 농림축산검역본부, 대학 등과 공동으로 ASF 백신 상용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당 균주는 최근 전 세계 최초 상용화 백신 개발을 선언한 베트남 기업의 ASF 백신 균주보다 효능 및 안전성 등에서 개선된 균주로 알려졌습니다(관련 기사). 코미팜의 당장의 우선 개발 목표는 국내 ASF 확산의 매개체인 '야생멧돼지 대상 경구용 미끼 백신'입니다. 세미나의 정식 시작은 오후 1시 30분부터입니다. 먼저 김성기 상무(코미팜)가 '미국의 ASF 백신주 개발 현황'을 발표합니다. 이어 안근승 전무(코미팜)는 '코미팜의 ASF 백신 개발 현황'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행사 참석은 사전 등록자에 한해 누구나 가능합니다. 사전 등록 및 행사 문의는 코미팜(070-7166-6742/8878)으로 연락하면 됩니다. 코미팜 관계자는 "코미팜에서는 한돈산업의 큰 위협요인이 되고 있는 ASF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21년 8월부터 미국 농무성(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