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축산물 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비육돈 두당 평균 사육비는 약 34만 원(330,629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31만 5천 원보다 7.8% 증가(24,550원)한 수준입니다(관련 기사). 사육비 항목 가운데 가축비, 사료비, 방역치료비, 고용노동비, 분뇨처리비 등의 대부분의 항목에서 증가한 덕분입니다. 사료비 증가가 가장 큰 역할을 했습니다. 전년 대비 11.1%(19,144원)이 올랐습니다. 가축비 증가도 한몫 했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3.1%(2,074원) 증가했습니다. 감소한 항목은 토지임차료와 생산관리비, 자가노동비, 자본·토지용역비 등인데 각각의 감소 정도는 미비합니다. 사육규모별 사육비는 ▶1000두 미만이 396,668원 ▶1000-1999두가 349,971원 ▶2000-2999두가 342,787원 ▶3000두 이상이 326,913원으로 각각 조사되었습니다. 3000두 이상 규모를 제외하고 모두 평균 사육비 34만 원 이상입니다. 1000두 미만은 40만 원을 육박합니다. 이에 따른 비육돈 두당 수익은 평균 6만 8천 원입니다(68,036원). 전년(46,949원)보다 2만 1,087원(44.9%
지난해 축산물 생산비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축종에 상관없이 전년 대비 모두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그런데 수익에서는 축종별로 차이를 보였습니다. 육우는 여전히 적자 신세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축산물 생산비는 계란이 14.1%로 가장 많이 증가했습니다. 비육돈과 육계가 같은 7.9%로 생산비가 두 번째로 많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어 송아지는 7.6%, 한우비육우는 6.0%, 육우는 5.2%, 우유는 4.2%의 생산비 증가를 보였습니다. 통계청은 이들 축산물의 생산비가 모두 증가한 원인에 대해 사료비와 가축비, 자가노동비 등의 상승에 기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비육돈의 경우 사료비와 가축비, 자가노동비는 전년 대비 각각 6.1%, 8.0%, 2.2% 증가했습니다. 100kg 비육돈 한 마리의 생산비는 29만 8천 원입니다. 전년 27만 6천 원보다 2만 2천 원이 늘어났습니다. 지난해 축산물 생산비는 모든 축종에서 증가했지만, 순수익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비육돈(44.9%)을 비롯해 한우번식우(8.9%), 한우비육우(406.9%), 산란계(658.0%), 육계(69.9%)는 축산물 판매가격 상승으로 순수익이 전년 대
통계청이 매년 발표하는 축산물생산비가 발표되었습니다. 지난해 비육돈 한 마리에 대한 평균 수익은 약 4만 7천 원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1000두 미만 소규모 농가는 여전히 적자입니다. 통계청의 '2020년 축산물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비육돈의 평균 생산비(생체 100kg)는 전년(28만 3,662원)보다 7천 원 정도 감소(-2.6%)한 27만 6,409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사료비('19년 147,384원→'20년 151,164원, 2.6%↑) 및 분뇨처리비('19년 7,892원→'20년 8,218원, 3.0%) 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축비 하락('19년 69,543원→'20년 58,510원, 15.9%↓)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비육돈 생산비를 사육규모별로 살펴보면 3,000마리 이상 농가가 가장 적은 25만 8,945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2,000~2,999마리(27만 7,337원), 1,000~1,999마리(29만 8,634원), 1,000마리 미만(33만 1,263원) 순입니다. 3,000마리 이상과 1,000마리 미만 농가의 생산비 차이는 무려 7만 2,318원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