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ASF가 발병한지 만 5년이 되는 해입니다. ASF는 여전히 그 끝을 알 수 없습니다. 피해는 계속 누적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팀이 야생멧돼지용 ASF 경구용 백신 개발에 성큼 다가섰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지난해 4월 환경부 산하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을 비롯해 충남대학교, 중앙백신연구소, 아비넥스트 등이 야생멧돼지용 ASF 경구용 미끼백신 상용화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본격 연구 개발에 나섰다는 뉴스를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관련 기사). 그로부터 1년 후 이들 연구팀이 가시적인 연구 성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SBS의 보도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SBS는 14일자 '3,000억 피해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개발 눈앞…안전성 확보'라는 제목의 기사(바로보기)에서 국내 연구팀의 ASF 백신 후보주를 이용한 돼지 접종 시험에서 안전성뿐만 아니라 효능을 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시험은 베트남수의과학연구소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시험 백신을 2개월령 돼지 5마리에 접종하였습니다. 접종 이후 발열이나 폐사 등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혈청 검사 결과 정상적으로 항체가 형성된 것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실제 A
코미팜(대표 문성철) 중앙연구소는 전북대학교 탁동섭 교수 연구팀과 함께 최신 유행하는 G2b 유전형 돼지유행성설사병(이하 PED)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접종법을 도입한 PED 백신을 개발 진행 중이라고 최근 밝혔습니다. PED는 전 세계적으로 양돈산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질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과 2014년에 걸쳐 큰 유행이 있었고, '20년 45건, '21년 31건으로 발생이 감소했다가 '22년 234건으로 발생이 크게 증가한 바 있습니다(농림축산검역본부, '23년 상반기 가축전염병 중앙예찰협의회 자료). 지난해의 경우 현재까지 보고된 발생건수는 69건입니다(농림축산검역본부 KAHIS, '23.12.31 기준). 이 같은 상황 속에 국내 PED 예방 백신의 시장 규모는 76억 원까지 커졌습니다(단일 백신 기준, '22년 동물용 의약품 등 수입 판매 실적, 한국동물약품협회). 대부분(56억) 사독백신이며, 경구백신을 포함한 생독백신은 사독백신의 1/3 수준(20억)입니다. 사독백신이 3배 가까이 더 많이 쓰이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정부의 권장 프로그램(생-사-사) 영향입니다. 여기에 더해 농장의 불안심리로 사독 추가 접종이 한몫했을 것으
세계 최초 먹이는 PED 백신, '경구용 PED 백신(PED Oral Vaccine)'
현재 일선 농장에서 문제되고 있는 야외 PED 바이러스와 동일한 균주(G2b)를 이용한 경구용 PED 생독 백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사실 전 세계적으로도 처음입니다. 기존 백신에 더해 PED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앙백신연구소(대표 윤인중)는 최근 신제품 '먹이는 PED-X Live' 런칭 세미나를 갖고 9월부터 본격적인 농가 보급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먹이는 PED-X' 백신은 PED 바이러스 가운데 고병원성 G2b 균주에 속하는 변이형 야외분리주(KNJ-141112)를 기반으로 한 경구용 PED 생독백신 입니다. G2b 균주는 지난 2013년도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미국 등의 양돈산업에 큰 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PED 바이러스 입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G1a 균주가 주로 문제였습니다. PED 바이러스가 변이를 통해 세대교체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2013년과 2014년 새로 출현한 G2b PED 바이러스로 인해 우리나라 양돈산업은 그 피해를 알 수 없을 정도의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에 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G2b 바이러스에 기반한 2세대 백신들이 지난 2015년부터 중앙백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