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은 오는 24, 25일 이틀간 본원(전북특별자치도 완주)에서 동물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관련 연구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동물 마이크로바이옴 국제 학술토론회(심포지엄)’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립축산과학원과 한국축산학회(마이크로바이옴 연구회)가 공동 기획한 이번 학술토론회 주제는 ‘강건성, 생산성, 환경과 동물 마이크로바이옴 역할’입니다.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축산업의 미래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하는 발표와 토론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산학연 간 연구 협력체계를 구축해 축산업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이 될 예정입니다. 첫째 날에는 △가금 영양과 질병에서 장내 미생물의 중요성(조지아 대학 김우균 교수) △인간 장 질환에서 점막 관련 미생물의 종 수준 변화 및 동물 적용 전략(퀸즐랜드 대학 프레이저 연구소 강승하 박사) △돼지 호흡기 질환 복합체에 대한 백신 접종이 돼지 장내 미생물군에 미치는 영향(강원대 오연수 교수) △반추동물의 미생물 군집 분석 및 미래 응용 분야 동향(중앙대 박탄솔 교수) △국립축산과학원의 동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현황 및 방향(국립축산과학원 김언태 연구사)
지난 6일 충북 증평에 위치한 벨포레 리조트에서는 '덴마크 돼지 덴마크처럼 키우기'라는 제목의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이날 세미나는 이번 행사의 실질적인 조력자 역할을 한 이존택 전 덴마크 한인회장의 인삿말로 시작되었습니다. 이어 ▶Niels Brems Jensen(닐스) DTL 종돈 컨설턴트 ▶Jørgen Skou Hansen(요한) 덴마크 ACT 대표 ▶Olga Solianyk(올가) 덴마크 ACT 농장 총괄 관리자 ▶Hans Bundgaard(한스) 덴마크 양돈수의그룹 Porcus 대표 수의사 등 모두 4명의 덴마크에서 온 양돈 전문가가 강사로 나섰습니다. 세미나는 유료였습니다. 하지만, 주최 측이 준비한 50석을 꽉 채웠습니다. 대부분 젊은 양돈인이었습니다. 오후 12시부터 시작된 세미나는 6시간 동안 이어졌습니다. 중간에 자리를 비우는 사람을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연신 강의 내용을 메모하고, 강의마다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여타의 세미나와 확연히 다른, 진지한 모습이었습니다. 참석자들이 세미나에 기대하는 바는 세미나 제목 그대로였습니다. 어떻게 하면 덴마크처럼 농장 성적을 올릴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한돈산업은 다산성 모돈 도입에도 좀처럼 생산
현재 농장에서 대용유와 입질사료를 쓰고 계시나요? 분만사에서 이러한 관리를 하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많은 농장에서 포유 중 자돈에게 대용유와 입질사료를 급여하고 있습니다. 급여하는 방식은 인공 포유기부터 액상 급이, 고형사료로 직접 급여 등 다양하지만, 포유 자돈들을 한 마리라도 더 살리고, 더 나은 이유체중을 위해 대용유와 입질 사료를 쓰고 계십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이유 후에도 생존율과 출하일령 감소, 사료효율 향상 등의 결과로 농장에 수익을 가져다 주게 됩니다. 그런데, 대용유와 입질 사료는 어떻게 다를까요? 엄밀히 말하자면, 대용유는 모유를 대신하여 자돈에게 급여할 수 있는 사료를 말하며, 입질사료는 이유 후 빠른 적응을 하기 위해 분만사에서 급여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사료를 말합니다. 이렇게 대용유와 입질 사료는 급여의 목적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대용유는 모유의 부족에 대처하고, 자돈의 더 빠른 성장을 목표로 급여 합니다. 모유의 부족을 말씀드리는 이유는 유량이 줄었다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부족을 의미합니다.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산자수와 유량이 모두 증가하고 있지만, 늘어난 산자수에 비례할 만큼 유생산량이 함께 증가하기는 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