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정액 활성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습니다.
지난 28일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돼지의 특정 유전자(PLCz; Phospholipase C Zeta)에서 정액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변이를 찾아냈다고 밝혔습니다.

이 유전자 변이를 가진 개체를 종돈 육종에 활용하면 품질 좋은 정액 생산과 보급은 물론 유전자원 보존과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PLCz 유전자는 정자의 머리 부분에서 발현하는 유전자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할 때 칼슘 이온 농도를 조절해 원활한 결합을 유도하는 기능을 합니다.
농촌진흥청은 돼지의 5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PLCz 유전자 중 염기서열 158번째 염기 A(아데닌)가 C(시토신)로 바뀌는(치환) 변이체를 찾았냈는데 이 유전자 변이가 돼지 정액활성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돼지의 정액 활성을 분석한 결과, AA형 개체의 활성도는 평균 80.76%, AC형 개체는 79.37%, CC형 개체는 69.59% 나타났습니다. 정액 품질이 우수한 돼지를 선발할 때 AA형이나 AC형의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는 수퇘지를 선발해 번식용으로 사용한다면 농가 이익 등 산업적 측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난축맛돈 [사진 제공: 국립축산과학원]](http://www.pigpeople.net/data/photos/20170626/art_14986885994906_452bc4.jpg)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조은석 농업연구사는 “A형 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는 돼지를 어릴 때 선발해 활용하면 다 자란 돼지를 선발하는 것보다 생산비를 아낄 수 있고, 우수 유전자원 보존과 농가의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