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헬스 플러스'는 리조푸스 코지 추출 건조물(RU) 성분에 베타카로틴, 셀레늄, 비타민 E, 각종 비타민이 첨가되어 있습니다. 돼지에서는 번식기능 정상화, 강발정 유도, 발정재귀일 단축, 수태율 향상, 산자수 증가, 젖분비 증가, MMA 감소, 자돈설사 감소, 면역증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천연 호르몬 조절물질, RU을 활용한 양돈생산성 향상법 - 지난번에 이어 이번 내용은 RU를 실제 농장에 적용하였을 때 농장 데이터를 비교하여 효능 및 효과를 확인하고 사용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 드리고자 한다. 농장 1의 RU 적용 사례 RU 적용을 시작한지 한 달 후 농장에서 전화가 왔다. 내용은 ‘모돈의 발정이 일찍 오고 그리고 강하게 온다’는 것이다. 또한 '발정이 상당히 오래 간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의아해하실 것이다. 발정이 강한 것은 좋은데 길게 간다?? 하지만 이는 아주 정상적인 현상이다. 돼지는 발정이 강하게 왔을 때 일찍 오고 오래 간다. 발정이 오래 간다고 해서 수태가 안 되었거나 확률이 떨어지지 않는다. 방법은 기존에 하던 방법과 같이 일반적인 시간적인 방법으로 발정 후 24시간, 36시간 2회 수정을 하면 된다. 또는 농장의 기존에 하던 방법 그대로 수정을 하면 된다. 농장 1의 결과는 위와 같이 10% 이상의 수태율이 향상되었다. 농장 2의 RU 적용 사례 모돈의 유량이 부족하게 되면 이는 포유자돈의 위축 및 설사로 이어진다. 문제는 거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모돈의 젖을 제대로 빨아야 이후에 모돈의 재귀발정이 제대로 오
-천연 호르몬 조절물질, RU을 활용한 양돈생산성 향상법- 매년 겪는 일이지만 올해는 유난히도 고온과 폭우로 인해 모돈의 성적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다. 많은 농장에서 모돈이 밥을 먹지 않거나 분만 후 입을 벌리고 숨을 헐떡거린다는 내용의 문의 전화가 오고 있다. 그리고 이 문제는 여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늦여름부터 길게는 겨울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의 양돈이 유럽의 양돈선진국과 성적 차이가 많이 나는 원인 중의 하나도 사계절이 뚜렷하고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가 큰 것도 한 몫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하절기에는 왜 이렇게 모돈의 성적이 저하가 될까? 단순하게 더위로 인한 사료섭취량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좀더 구체적인 원인을 설명하자면 고온으로 인한 모돈의 호르몬 불균형이 가장 큰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처럼 여름철 모돈이 고온스트레스 시 시상하부에서 부신피질자극 호르몬(ACTH)의 분비가 높아지고, 이러한 ACTH는 시상하부에서 GnRH(성선분비자극호르몬)를 억제시켜 난포발육, 배란, 착상, 발정 등에 문제가 나타난다. 자돈의 경우에도 성장촉진 호르몬에 영향을 주어 증체율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렇다고 우리가 해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