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년 동안 한국 양돈장에서 분리한 설사증 돼지 유래 병원성 대장균 474균주를 대상으로 병원성 인자 분석, 항생제 내성 프로파일링, 내성 기전에 관련된 유전자 분석(ESBL family gene, qnr, mcr, Amp 등)을 이용한 유전학적 성상 조사를 실시하고, 국내에서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 전면 금지시기인 2011년을 전후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병원성 대장균의 부착인자 보유율에 대한 조사 결과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 금지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F18은 18균주(12.5%)에서 108균주(32.7%)로 그 검출률이 유의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F4는 11균주(7.6%)에서 4균주(1.2%), F6는 13균주(9.0%)에서 5균주(1.5%)로, 그리고 paa의 경우 64균주(44.4%)에서 20균주(6.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oxin gene의 보유율 조사 결과 STa, STb 및 Stx2e의 경우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 금지 전후 보유율에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LT 및 EAST- I의 경우 각각 31.9%에서 20.3%로, 46.5%에서 35.2%로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운영하는 ‘Ceva Swine Health Portal’에 실린 글을 번역 및 편집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필자 주]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의해 발생하는 ‘이유 후 설사증’(Post-weaning diarrhea; PWD)은 설사나 탈수 등을 일으켜 국소적이고 전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낮은 등급의 ‘이유 후 설사증’의 경우 모돈 두당 연간 약 40 유로(€)의 비용을 발생시킨다(Sjölund et al., 2014). 산화아연(Zinc oxide; ZnO)은 가장 실용적인 예방 및 컨트롤 수단이었지만, 2022년 6월부터 유럽의약품청(EMA)은 유럽연합(EU)에서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아연이 환경에 축적될 경우 토양의 중금속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로 산화아연(ZnO)의 사용을 금지했다. ‘유럽동물약사용자문위원회(CVMP)’는 식품을 생산하는 종들의 경구 투여용 의약품에 함유된 아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토한 결과, 전반적인 유익성 및 위험성의 균형이 부정적이라고 결론지었다. 두 가지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 ① 산화아연(ZnO) 사용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항생제에 내
기존에 사용하는 대장균 백신으로 부종병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 ▶류영수 학장, '기존 설사 예방 대장균 백신, 돼지부종병 예방 효과 없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백신은 '베로독소 생성 대장균'이 아닌 '조발성 설사를 유발하는 대장균'을 타겟으로 한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는 대장균 백신으로 부종병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보통 대장균 백신에는 대장균의 부착인자(섬모)가 활용되는데, 부종병은 베로독소(VT2e)가 원인으로 밝혀져 있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물질에 대한 처방으로 독소기반 백신이 가장 효율적이다. 경험적으로 재조합 베로독소 백신이 없었던 과거에 부종병 폐사가 심한 농장에서 자가백신을 적용해 상당한 효과를 확인한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자가백신은 세균 전체를 통째로 넣어 생산하므로, 부종병의 원인인 베로독소보다 불필요한 단백질이 훨씬 많이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백신을 사용할 경우 불필요한 항원에도 면역세포들이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면역학적으로 백신의 효율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부종병과 혈관손상 예방을 위해 정확하게 베로독소만 포함된 백신을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에밀리 박사, '돼지부종병 예방 위한 백신, 베로독소 항원
신생 자돈의 설사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설사병의 원인이 다양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우리 농장에서는 어느 부분을 가장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관련하여 지난 연재 원고들을 통해 신생 자돈 설사를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원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원고에서는 자돈에 설사병을 일으키는 대장균의 병리 기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원문 출처 : Oriol Boix Mas - Corporate Product Manager. HIPRA & Igancio Bernal Orozco - Corporate Brand Manager, HIPRA). [신생 자돈 설사 예방을 위한 관리 방안] 1. 설사 예방을 위한 분만사 환경 점검 포인트(바로가기) 2. 자궁내 성장 제한(IUGR)과 초유 섭취의 관계(바로가기) 3. 모돈의 초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사료 급여 방안(바로가기) 4. 자돈의 초유 섭취량 극대화를 위한 관리 방안(바로가기) 5. 자돈 설사병과 모돈 산차의 관계(바로가기) 6. 소화기 질병 진단을 위한 올바른 가검물 채취 방법(바로가기) 7. 대장균 설사병의 발병 기전 이해하기(바로가기) 8. 올바른 백신 접종 방법과 백신 적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