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혈관 질환 모형 동물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돼지 혈관 세포 특이 발현 조절 유전자 프로모터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프로모터는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의 특정 부위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염기서열. 유전자가 언제 어디서 얼마나 발현될지 결정하는 염기서열을 말합니다. 연구진은 돼지 혈관 세포에서 강하게 발현하는 유전자를 찾기 위해 돼지 대동맥에서 분리한 혈관 세포와 대조군인 돼지 섬유아세포, 신장 상피세포에 대해 전사체 염기서열 분석(RNA sequencing)을 수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돼지 혈관 세포에서 차등 발현하는 유전자 243개를 일차적으로 추출해 인간 유전자 정보와 비교한 다음 34개 후보 유전자를 선별했습니다. 이 34개 유전자 가운데 발현량 차이가 많은 3개 유전자를 다시 선정해 돼지 체내 여타 조직에서의 발현 여부를 비교 분석한 결과, ESAM(혈관 내피 세포 특이 부착 분자) 유전자가 혈관에서 보통 수준보다 훨씬 많이 발현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ESAM 유전자는 혈관 벽에서 면역세포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진은 ESAM 유전자의 상위 염기서열 구조를 분석해 ESAM1.0 프
돼지부종병이 발생한 돼지입니다. '부종'은 '몸이 붓는다'는 의미입니다. 돼지부종병에서 부종 증상은 '부종병 대장균'이 분비하는 베로독소가 혈관 내피를 손상하고. 체액이 누출되면서 발생합니다. 외관상 눈꺼풀과 안면부뿐만 아니라 내부 장기 곳곳에서 나타납니다. 돼지부종병으로 신경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신경조직에서 부종이 발생했다는 것입니다. 영상 속 돼지의 경우 호흡이 어려운 것으로 보아 폐에 부종 증상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전형적인 부종 증상이 없는 돼지부종병도 있습니다. 이 경우 증체 및 사료효율 저하 등으로 나타납니다(관련 글). ※영상 출처: pig333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식품위생상 원래 식품 중에 혼입되어서는 안되는 물질을 '이물(異物)'이라고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축산물 이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물관리 담당자에게 필요한 현장조사 노하우를 제공하고자 ‘축산물 이물관리 업무 매뉴얼’을 배포한다고 최근 밝히면서, 식육가공품 원료 등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이물로 오해되는 대표적인 사례를 소개해 관심을 모았습니다. 식약처가 소개한 대표적인 오인·혼동 사례 세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벌레 등으로 오해된 혈관 돼지고기 또는 닭고기 햄이나 치킨텐더의 경우 ‘속이 빈 원통형 또는 가늘고 길쭉한 형태의 물질 등’을 기생충이나 벌레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혈관 또는 힘줄, 신경, 피부 등의 기타조직일 수 있습니다. 곰팡이 혹은 벌레로 오해된 검인 표시나 양념 양념(후추가루, 키위 씨앗)을 곰팡이 발생이나 벌레 등으로 오해하는 경우, 식육의 도축검사 합격도장이나 혈반(피멍)을 이물질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합격도장의 경우 식용색소이며 축종에 따라 색소 색깔이 다릅니다(돼지와 젖소는 같은 청색). 햄‧소시지의 껍질 소시지는 음식의 특성상 식육을 잘게 분쇄‧가공하여 만든 반죽을 '케이싱(소시지 껍질)'에 담는데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