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돼지를 포함한 동물용 항생제의 판매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매년 공동 발간하는 '2023년도 국가 항생제 및 내성 모니터링; 동물·축산물'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항생제 판매량(콕시듐제 제외)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총 787톤입니다. 축종별로 돼지에서 543톤(69.0%)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었고, 다음으로 닭(128톤, 16.2%), 소(87톤, 11.3%), 기타동물(19톤, 2.4%), 반려동물(10톤, 1.2%) 등의 순으로 높았습니다. 반려동물을 제외하고 전년보다 모두 증가하였는데 증가량을 보면 닭(8톤), 돼지(5톤), 소(2톤), 기타동물(1톤)의 순으로 많이 늘어났습니다. '14년 판매량과 비교하면 돼지(114톤), 닭(18톤), 반려동물·기타동물(각 6톤), 소(2톤) 순입니다. 수의사 처방제('13년 8월)가 도입된 이후 항생제 사용량이 증가한 것입니다. 단순히 사육두수가 증가했다는 이유를 달기보다는 신중한 항생제 사용을 위한 심도깊은 사회적 논의가 당장 필요해 보입니다. 2023년 항생제 계열별 판매량은 페니실린 계열(253톤, 32%), 암페니콜 계열(117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계열화 농장(integrated farms)' 또는 '일반 농장(conventional farms)'에서 분리한 '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균'과 'ESBL/pAmpC β-락타마제 생성 대장균'의 분자적 특성과 관련성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이다. 계열화 농장과 일반 농장의 시스템 차이로 인해 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 패턴과 분자적 특성이 서로 달랐다. 항균제 내성률은 계열화 농장보다 일반 농장에서 더 높았다. 'ESBL/pAmpC β-락타마제 생성 대장균' 비율은 일반 농장(9.8%)이 계열화 농장(3.4%)보다 높았다. 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균은 식품사슬을 통해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어 중증 감염 시 치료가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돼지농장에서 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내성균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Comparative genetic characterisation of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resistant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integrated and conventional pig farm in Korea,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이달 24일부터 25일까지 양일간 '호텔 나루서울 엠갤러리'에서 ‘식품유래 항생제 내성 국제콘퍼런스(GCFA; Global Conference on Foodborne Antimicrobial Resistance)’를 개최합니다. 올해로 네 번째 열리는 GCFA는 국제적 협력 기반을 공고히 하여 ‘원헬스(One Health)’ 개념에 기반한 효율적인 항생제 내성 관리를 위해 마련하였습니다. 이번 콘퍼런스의 주제는 '식품매개 AMR(항생제 내성)에 맞서기 위한 글로벌 협력 및 연대'입니다. 2일간 4개 섹션으로 나뉘어 총 14개의 강연으로 진행됩니다. 항생제 내성 저감을 위한 정책과 아이디어, 기술 등이 공유될 예정입니다. 이번 콘퍼런스에 참가하려면 ‘식품유래 항생제 내성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사전 등록한 후, 현장 또는 식약처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으로 참석하면 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번 콘퍼런스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지난 8월 2일은 '수의사처방제'가 도입된지 만 11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수의사처방제는 수의사 처방을 통해 항생제나 기타 약품에 대한 오남용을 막고 항생제의 축산물 잔류 및 내성균의 출현 등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실제 효과가 나타났는지 의문시되고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 판매량(사용량) 자료에서는 전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미국과 유럽의 경우 수의사 처방제는 기본이고, 여기에 더해 동물용항생제 사용 감축 노력이 활발합니다.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보고서가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항생제는 가축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좋은 도구입니다. 하지만, 공중보건상 위해를 가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습니다. 고기를 대체하는 산업에게는 대체육의 필요성의 구실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돼지와사람은 허재승 수의사를 만났습니다. 허 수의사는 항생제 관련 발표와 기고를 통해 한돈산업이 항생제 이슈를 어떻게 대하고 풀어나가야 할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허 수의사는 항생제 내성은 반드시 한돈산업이 시급히 풀어야 할 우선 과제이며, 무작정 줄이기보다 신중히 사용해야 함을 주장했습니다.
항균제 내성은 인간과 수의학에서 점점 더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여러 종으로 확산되어 원헬스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인간과 수의학 모두에서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항생제를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농장 수의사는 적절한 동물용의약품을 처방하고 농가에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축산업계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농장동물 임상수의사들의 항생제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항생제 신중사용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축산 분야에서 항생제 사용 감소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농장 수의사를 대상으로 항균제의 신중한 사용에 관한 교육 경험, 신념, 처방 현황, 실제 행동 및 자기 효능감을 평가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n=257명 설문 참여)를 실시했다. 응답자 170명의 데이터는 기술 통계, 회귀 및 중재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농장 수의사들은 자신의 경험, 학술 자료, 동료 수의사의 의견을 바탕으로 항생제를 선택했습니다. 약 77%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일상적으로 실시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참가자는 항생제 내성을 줄이기 위한 '항생제 신중사용(prudent
산욕기는 분만 후에 임신 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기간이다. 모돈은 이 기간 동안 분만 후 장애를 겪을 수 있는데, 농장의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기에 현대 양돈산업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분만 후 유즙분비이상 증후군(PDS 또는 PPDS; Postpartum Dysgalactia Syndrome)'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Klopfenstein et al., 2006), '분만 전후 유즙분비저하 증후군(PHS; Periparturient Hypogalactia Syndrome)', '산후패혈증, 산욕열, 산후독혈증', 'MMA(유방염-자궁내막염-무유증; Mastitis-Metritis-Agalactia)' 등과 같은 이름도 제안되고 사용되어 왔다. 이 주제에 대한 많은 연구는 1970~1990년대 사이에 대부분 수행되었으며(Gerjets and Kemper, 2009), 그 후의 지속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돌파구는 마련되지는 않았다. '분만 후 유즙분비이상 증후군(PDS)' 발생은 농장의 위생도와 사양관리 수준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최적의 위생도를 유지하고 수세 및 소독으로 잘 관리되는 농장에서도 발생한다. '분만후 유즙분비이상 증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년 동안 한국 양돈장에서 분리한 설사증 돼지 유래 병원성 대장균 474균주를 대상으로 병원성 인자 분석, 항생제 내성 프로파일링, 내성 기전에 관련된 유전자 분석(ESBL family gene, qnr, mcr, Amp 등)을 이용한 유전학적 성상 조사를 실시하고, 국내에서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 전면 금지시기인 2011년을 전후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병원성 대장균의 부착인자 보유율에 대한 조사 결과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 금지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F18은 18균주(12.5%)에서 108균주(32.7%)로 그 검출률이 유의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F4는 11균주(7.6%)에서 4균주(1.2%), F6는 13균주(9.0%)에서 5균주(1.5%)로, 그리고 paa의 경우 64균주(44.4%)에서 20균주(6.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oxin gene의 보유율 조사 결과 STa, STb 및 Stx2e의 경우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 금지 전후 보유율에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LT 및 EAST- I의 경우 각각 31.9%에서 20.3%로, 46.5%에서 35.2%로
자돈들은 보통 생후 첫 몇 시간 내에 외부 감염에 노출되는데, 특히 분만 중 모돈의 질 분비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돼지 연쇄상구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1 돼지 연쇄상구균 감염에 의한 임상 증상은 대체로 10~21일령에 나타나지만, 거세한 수컷의 경우 더 일찍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하면 질병 발생을 줄이고 허약하거나 아픈 자돈들의 폐사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시험에서는 돼지 연쇄상구균이 상재하는 농장에서 포유자돈들에게 '베트리목신 LA(아목시실린 주사제, CEVA)'를 예방적으로 투여하고 그 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연쇄상구균 상재 농장의 모돈을 무작위로 두 시험군(G1, G2)으로 나누어 시험을 진행했다. G1 모돈 그룹의 자돈들: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베트리목신 LA 0.5ml를 접종 G2 모돈 그룹의 자돈들: 비접종 대조군 모든 자돈에는 생후 3일째 빈혈과 콕시듐 예방을 위해 철분과 항콕시듐제를 1회 투여하였고, 폐사율을 분만틀에 매일 기록하였다. 시험 결과, 포유자돈들의 폐사는 대부분 생후 3일 이내에 발생했다. 그러나 베트리목신 LA가 투여된 포유자돈(G1그룹의 자돈들)은 특히 생후 3일과 4일째에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이하 질병청)은 지난 14일,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에서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환경부, 국방부 등 관계부처와 민간 전문가 합동으로 '2024년 제1차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원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습니다. 검역본부와 질병관리청은 지난 '04년부터 인수공통감염병 대응 체계 점검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인수공통감염병 대책위원회를 공동 운영하고 있습니다(연 2회 개최). 이번 대책위원회에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람·동물감염이 확인되고 있는 '조류인플루엔자(AI, Avian Influenza)'를 공통 주제로 선정하여 집중 논의하였습니다. 매년 우리나라에서는 야생조류 이동에 따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유입·발생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해양 포유류에서의 발생 확산과 더불어 올해 처음 미국에서 가축인 소에서 고병원성 H5N1 바이러스 감염사례가 발생하고, 인체감염 사례도 미국(H5N1)과 멕시코(H5N2)에서 연이어 확인되는 등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
동방(대표 이지훈)이 PRRS와 같은 바이러스 질병 극복을 위한 최적 조합 프로그램을 제안했습니다. 최근 축산농가는 각종 생산비용의 상승과 더불어 수입축산물과의 경쟁까지 더해 매우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여기에 각종 바이러스 질병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까지 겹치면서 이를 반드시 극복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한돈산업에서 큰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바이러스 질병은 PRRS가 대표적입니다. 지속적인 유전적 변이와 병원성 강화로 백신 효과는 아직까지 제한적입니다. 이에 동방은 돼지에서 PRRS 등과 같은 바이러스 질병과 이로 인한 2차 세균 감염이 함께 문제가 되는 농장의 경우 자사가 공급하는 '피닉스'와 '다나투라' 병용 프로그램을 적용해 볼 것을 적극 추천했습니다. '피닉스'는 특허기술로 제조된 고분자 감마 PGA를 주 성분으로 하는 천연의 항바이러스성 면역증강 주사제입니다. 아직 면역체계가 완성되지 않은 어린 동물이나 면역체계를 공격하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면역력이 감소된 개체에 적용하였을 때 선천면역을 강하게 자극하여 동물 스스로 바이러스 공격을 극복하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나투라'는 툴라스로마이신을 주 성분으로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