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보] 26일 4건의 의심신고는 정밀검사 결과 모두 음성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이로써 3일 연속 구제역 양성농장 추가가 없는 상황이 이어졌습니다. [1보] 오늘(26일) 전남 영암과 무안, 해남 등 4곳의 한우농장이 구제역 의심신고를 하였습니다. 모두 농장주가 의심증상(침흘림, 콧물, 식욕부진 등)을 발견하고 지자체에 이를 알린 것으로 파악됩니다. 검사 결과는 금일 중 알 수 있을 예정입니다. 한편 구제역 양성농장 추가는 지난 23일 14차가 마지막입니다. ※ 26일 전남 구제역 의심신고 농장 영암군 시종면 내동리 해남군 마산면 송석리 무안군 일로면 용산리 영암군 덕진면 백계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2보] 이번 나주 의심신고 농장에 대한 검사 결과 최종 음성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이번 구제역 발생시군은 영암과 무안 2곳 그대로입니다. 발생건수는 14건입니다. [1보] 오늘(24일) 전남 나주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신고 농장은 나주시 봉황면에 위치한 한우농장으로 농장주가 먼저 의심증상을 확인하여 공수의를 통해 지자제에 이를 알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 정밀검사가 진행 중이며, 오후 5시경 양음성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나주 의심신고 농장과 가장 가까운 양성농장(13차, 영암 신북면)과의 거리는 약 13km입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2보] 20일 8건의 의심신고 가운데 양성농장은 영암군 신북면 한우농장 1곳(43두 규모)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로써 이번 구제역 발생건수는 모두 13건(영암 12, 무안 1)으로 늘어났습니다. 한편 같은 날 농림축산식품부는 "백신 항체 형성기간을 고려(2주~4주)하면 향후, 일부 과거 백신접종이 소홀했던 농가에서의 추가 발생이 있을 수 있으나, 광범위한 지역으로의 확산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영암과 무안 지역 모든 우제류에 대한 백신접종은 완료되었으며, 전남 지역 전체에 대해서는 오늘 중 완료될 예정입니다. [1보] 오늘(20일) 전남 영암과 무안, 그리고 영광에 있는 한우농장 8곳에서 구제역 의심신고를 접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영광을 제외한 대부분은 기존 방역대(반경 10km) 내에 위치해 있으며, 역시 농장주가 의심증상(침흘림, 식욕부진, 발굽 종창 등)을 발견해 지자체에 신고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현재 정밀검사가 진행 중이며, 양성·음성 여부는 금일 중 모두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20일 구제역 의심신고 농장 8곳 전남 영암군 신북면 이천리(한우 43두 규모) 전남 영암군 덕진면 영등리(한우 48두) 전남 영
[2보] 전남 무안 한우농장 의심축은 정밀검사 결과 최종 양성으로 확진되었습니다(3두 양성). 이로써 이번 전남 구제역 양성농장은 2개 시군서 7개 농장(영암6, 무안1)으로 늘어났습니다. 방역당국은 전남 지역 우제류 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관계시설 종사자 및 차량에 대하여 16일 오전 10시부터 17일 22시까지 36시간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무안군과 인접 함평군·신안군의 구제역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상향했습니다. [1보] 전남 무안의 한 한우농장(69마리 규모)에서 구제역 의심축이 나왔습니다. 구제역 의심 한우는 1마리로 콧물이 주 증상이며, 1차 검사 결과에서 '위양성(양성 모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5일 이번 영암 구제역 발생에 따른 백신 긴급접종 과정에서 공수의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 최종 정밀 검사 결과는 16일 오전 10시경 중 나올 예정입니다. 해당 농장과 영암 발생농장과의 거리는 약 18km입니다. 한편 지금까지 확인된 구제역 양성농장은 모두 6개(영암, 한우)입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2보] 전남 영암 전염병 의심축에 대한 검사 결과 최종 O형 구제역으로 확진되었습니다(검역본부 4두 양성). 이는 지난 '23년 5월 충북 청주·증평 발생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구제역이 재발생한 것입니다. 방역당국은 해당 농장 및 가족 농장 한우(191두)에 대한 살처분 등 전염병 확산 조치와 함께 14일 오전 8시부로 전국 우제류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관계시설 종사자 및 차량에 대하여 48시간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구제역 위기경보를 기존 '관심'단계에서 발생 및 인접 시군(8개 시군)은 '심각'단계, 그 외 전 지역은 '주의'단계로 격상하였습니다. 한편 이번 발생농장 반경 10km 내에는 우제류 농장이 1,020곳이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소 857, 돼지 30, 염소 57, 사슴 6). [1보] 전남 영암 한우농장(160여두 규모)에서 구제역 의심축이 발생했습니다. 해당 농장은 영암군 도포면에 위치해 있으며 13일 오후 일부 개체에서 침흘림과 콧물 등의 증상을 보여 전남동물위생시험소로 전염병 발생 의심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현재 1차 검사에서 잠정 양성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최종 확진을 위한 정밀검사 결과는 내일(14일) 오전 중
충북 청주에서 오늘도 구제역 양성농장이 추가되었습니다. ▶청주 구제역 발생농장(모두 O형) ① 10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내둔리 한우 사육농장(216두 규모): 공수의사 신고 ② 10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화상리 한우 사육농장(166두 규모): 공수의사 신고 ③ 11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화상리 한우 사육농장(68두 규모): 전화예찰 ④ 11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화상리 한우 사육농장(50두 규모): 전화예찰 ⑤ 12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화상리 한우 사육농장(93두 규모): 전화예찰 이번 양성농장은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화상리에 위치한 한우 사육농가(93두 규모)입니다. 앞서 2차, 3차, 4차 양성농장과 불과 2백여 미터 거리입니다. 전화 예찰 과정에서 침흘림 등 구제역 의심증상이 확인되었습니다. 실험실 검사 결과에서 최종 양성으로 확진되었습니다. 이로써 청주 구제역 양성농장은 3일간 누적 5곳으로 늘었습니다. 모두 한우 사육농가입니다. 10일 첫 양성농장 확인 이전 이미 바이러스가 확산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구제역 잠복기(최대 14일)과 축산 밀집지역임을 감안한다면 앞으로도 당분간 추가 양성 농장이 발생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