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히프라가 16일 온라인 세미나(관련 기사)를 통해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A형'과 함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oides difficile, 이하 디피실)'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백신(제품명 '수이셍DA')을 내년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혀 주목되었습니다. 디피실은 독소(A, B) 생성을 통해 생후 1~7일령 신생자돈에 설사를 유발하는 병원균입니다. 인수공통전염병이기도 합니다. 앞서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총 910개의 분변 샘플 중 19.3%에 디피실이 분리되었고 설사증상을 보인 포유자돈의 경우에는 절반 이상(53.6%)에서 균이 검출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습니다(2012년 연구과제). 이런 가운데 국내에는 현재 예방백신이 없는 상황입니다. 한편 한국히프라는 이날 세미나에서 수이셍, 리니셍, 에리셍파보 등 자사 백신의 특장점과 농장에서의 최근 적용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운영하는 ‘Ceva Swine Health Portal’에 실린 글을 번역 및 편집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필자 주] 분만사 내 병원체들 말기 유산 등과 같은 번식 문제, 설사 그리고 폐렴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병원체들은 임신분만사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자돈들도 다양한 병원체들에 노출되는 적대적인 환경 속에서 태어나고 있다. 대장균(Escherichia coli) 대장균은 분만사에서 가장 흔한 병원체로, 수양성 설사를 일으켜 자돈을 탈수에 일으키게 한다. 대장균증을 예방하는 주요 방법은 차단방역과 초유섭취이다. 다행히 모돈백신은 수동면역 전달을 통해 자돈을 대장균증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분만을 앞둔 임신돈에 백신접종을 한다.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C형은 괴사성 장염의 원인체로, 자돈을 빠르게 죽일 수 있다. 클로스트리듐은 장내에 어느 정도는 정상적으로 존재하는데, 장내 생태가 변하면 문제를 일으킨다. 예를 들어, 사료를 과다하게 섭취하면 클로스트리듐 증식이 촉진되어, 건강해 보였던 자돈들도 괴사성 장염으로 폐사할 수 있다. 클로스트
[지난 6월 한국히프라 주최의 '모돈 폐사 증가 원인 분석과 해결 방안' 주제 관련 웨비나 요약입니다. 발표자인 '카를로스 피네이로(Carlos Piñeiro)' 수의사는 유럽 'PigCHAMP(피그챔프)'의 책임자이며, 지난 20년 동안 PigCHAMP 정보의 디지털화와 데이터 관리에 기여했습니다. 내용 관련 보다 자세한 사항은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돼지와사람] "모돈이 죽으면 그걸로 끝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우연히 발생하는 사건이 아닙니다. 모돈들이 처해진 상황을 파악하고 전부 기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카를로스 피네이로 무엇이 모돈의 폐사를 유발할까요? 모돈 폐사는 한 가지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농장의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결과입니다. 만약 모돈이 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면, 성적 저하로 이어집니다. 다음으로 임상증상이 서서히 나타납니다. 여기서 적절한 처치 없이 스트레스가 더 진행되면, 결국 모돈의 폐사로 이어지게 됩니다. 모돈 폐사가 주는 경제적인 영향은 무엇일까요? 직접적인 손실로는 후보돈 구입 비용과 사료 및 백신, 투입된 시간 등을 따져볼 수 있습니다. 기회비용 측면에서도 미래에 얻을 수 있
※ 사육단계별 돼지 설사병 원인체의 분포양상 조사 - 양돈장(n=33)에서 사육구간별로 분변(1,072건; 설사=605, 정상=467)을 채취하여 세균/바이러스/기생충성 설사 원인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설사 원인체가 728건(67.9%; 설사=444건, 정상=284건)에서 검출되었음 - 설사 원인체가 검출된 728건 중 원인체가 1종 검출된 시료는 398건(54.7%)이었으며, 2종 검출된 시료는 243건(33.4%), 3종 검출된 시료는 69건(9.5%)이었음. 따라서 분변 시료의 88.1%가 설사 원인체 1종 또는 2종만 검출되었음 - 사육구간별 주요 검출 원인체를 조사한 결과, 포유자돈 구간에서는 C. perfringens(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가 가장 우세 하였고 Rotavirus(로타바이러스), C. difficile(클로스트리듐 디피실) 순이었으며, 이유자돈구간은 Cryptosporidium(크립토스포리디움), 병원성 대장균, Rotavirus 순으로서 기생충성 원인체의 증가가 나타났음. 육성/비육구간에서는 Cryptosporidium, 돼지 회충 등 기생충성 원인체 검출이 높았음 - 분변시료 1,072건 중 218건에서 바이러스성 원인체가 검
돼지 급사의 원인 '클로스트리듐 노비'의 현장 관리 방안 '클로스트리듐 노비(Cl.novyi, 이하 노비균)'은 아포를 형성하는 혐기성균으로 주로 비육돈과 모돈에서 급성 폐사를 유발하는 병원체이다. 노비균에 의한 급사는 돼지 체내에서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폐사 이후 빠르게 부패하고 피하의 기종으로 인해 스펀지 같은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노비균은 어떻게 급사를 유발할까? 대부분의 농장에 상재되어 있는 노비균은 스트레스 요인 발생시 빠르게 증식하여 '알파 독소'를 배출한다. 알파 독소가 혈액을 타고 이동하면 전신적인 문제와 급사까지 발생하게 된다. 보통 노비균에 의한 급사는 여름철 고온 스트레스가 심한 시기 발생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인이 현장에서 본 경험에 의하면 여름뿐만 아니라 환절기나 쌀쌀한 계절의 발생율도 적지 않다. 해외 사례를 참고하면 고온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식이나 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도 노비균 폐사의 유발원인이 될 수 있다. 노비균에 의한 폐사는 어떻게 나타날까? 먼저 한 예를 보자. 무더운 여름철 충남 소재 180두 규모의 일괄사육 농장에서 일주일 사이 모돈 8두(전체 모돈의 4.4%)가 급사하였다. 폐사된 모돈 중 일부는
최근 대만 돼지질병연구소가국립자이대학에서 열린 양돈 컨퍼런스에서 돼지유행성설사병(PED)와 관련한 흥미로운 데이터를 발표하였다. 2016년 한해동안 PED로 폐사한 포유자돈 샘플에서 세균성 병원체인 '대장균(E. coli)'과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 perfringens)'의 복합감염 여부를 평가해 본 것이다. 그 결과 PED로 폐사한 포유자돈 샘플 중 78%에서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되었으며, 7%에서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C형의 복합감염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해당 연구팀은 '병원성 대장균 복합감염이 농가에서 PED로 인한 피해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세균성 질병 복합감염컨트롤'이 PED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까? 2018년 세계양돈수의사대회에서는 '세균성 질병 복합감염 컨트롤'을 통해 PED 감염 농장의 성적을 개선한 케이스가 발표되었다. 태국의 한 연구팀은 PED가 지속적으로 재발하는 모돈 400두 규모의 농장을 선정하여, 실험군 모돈 22두에는 대장균-클로스트리듐 복합백신을 접종하고 대조군 모돈 22두에는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그 결과 PED 문제가 만성화된 농장에서 대장균-클로스트리
국내 유일의 포유자돈의 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 톡소이드 설사 예방 백신, 리터가드 LT-C
대장균과 클로스트리듐 노비 복합 백신이 모돈 급사뿐만 아니라 이유 전 자돈 폐사를 감소시켰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번 결과는 농협종돈사업소이 문성호 수의사 등이 참여한 케이스 연구로 지난달 중국 충칭에서 열린 IPVS(세계수의사대회)에서 포스터로 발표되었습니다. 농협종돈사업소는 2014년 3월 급사한 모돈에서 클로스트리듐 노비가 처음 진단되고 이후 같은 사례가 계속 늘어났습니다. 또한, 사료내 항생제 첨가의 제약으로 인해 신생자돈의 설사도 증가했습니다. 이에 농업종돈사업소는 기존 대장균 단일 백신에서 대장균과 클로스트리듐 노비 복합 백신으로 2016년 9월부터 4개 농장의 모돈에 모두 변경하여 적용했습니다. 이후 약 1년 간 백신을 모돈프로그램으로 접종한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먼저 총 모돈 급사 사례는 23.3%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연간 총 모돈폐사두수 503두→386). 아울러, 포유자돈 폐사도 감소해 이유육성률이 늘어났고 특히, 2개 농장의 경우 각각 91.3%에서 93.9%, 89.4%에서 92.1%로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최근 전국이 여름철 본격적인 무더위와 장마 날씨로 접어들면서 '클로스트리듐 노비(Clostridium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