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양돈장에 설치·운영되고 있는 액비순환시스템의 특징 조사 및 분류를 수행하여 액비순환 시스템에 대한 운영·관리 정보와 국내 액비순환시스템의 설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5개 양돈장의 액비순환시스템 설치·운영 상의 공통사항과 각 농장에 따른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정과정을 분석한 결과 공정과정별로 액비순환 시스템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연구를 수행한 5개 양돈장은 공통적으로 공정 과정에서 초기 미생물의 안정화를 위해서 180일 이상이 소요되었으며, 액상분뇨의 폭기조 내 저류 기간을 30~40일 정도로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폭기조 내 온도를 30°C 내외로,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를 3,000~4,000 ppm 수준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각 농장의 공정 과정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액비순환 시스템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 특징으로는 1유형의 경우 별도의 고액분리를 하지 않고 폭기조에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투입하여 토착미생물 활성화만을 활용해 순환액비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으로 장점은 고형분의 별도 처리를 하지 않는 점을, 단점은 미생물의 주기적 공급에 따른 비용 발생을
내년도 축산악취개선사업 지원 대상 30개 시·군이 선정되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라 한다)는 올해 76개 시·군이 참여한 공모(11.6-12.24)를 거쳐 '2021년도 축산악취개선사업 대상 30개 시·군'을 최종 선정하고, 지역 여건을 고려한 축산악취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30일 밝혔습니다. ※2021년 축산악취개선사업 선정 시·군 - 경기·강원(8): 평택, 안성, 포천, 화성, 용인, 동두천, 원주, 고성 - 충남북·세종(4): 청주, 당진, 홍성, 세종 - 전남북(10): 고창, 익산, 임실, 진안, 완주, 영암, 나주, 담양, 함평, 완도 - 경남북(6): 의성, 상주, 경주, 안동, 밀양, 김해 - 제주(2): 제주, 서귀포 선정된 시·군을 광역지자체별로 보면 경기가 6곳으로 가장 많고, 이어 전북·전남 각 5곳, 경북 4곳, 경남·제주·강원·충남 각 2곳, 충북·세종 각 1곳 등입니다. '축산악취개선사업'은 말 그대로 축산악취 개선을 위한 사업입니다. 그동안 기존 개별 농가 신청을 받아 축산농가의 퇴액비화 시설이나 악취저감시설 예산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추진했는데, 악취개선 효과가 미흡하고, 집행실적도 낮아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