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지난 30일자로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였습니다. 이번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은 앞서 29일 전라남도 완도군과 제주특별지치도 제주시에서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확인됨에 따라 내려졌습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며,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9월에 정점을 보입니다. 사람이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지난해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잠정 17명이 발생해 2명이 사망하였습니다. 돼지의 경우 일본뇌염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다만,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초임돈이 감염되면 약 40% 정도의 유산 및 사산을 일으킵니다. 경산돈의 경우는 유사산의 발생율이 다소 낮습니다. 국내 피해 현황은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만, 실제 피해는 발생하고 있을 것으로 강하게 의심되고 있습니다
경상남도 동물위생시험소(소장 정창근)가 29일 관내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돼지유행성설사(PED, Porcine Epidemic Diarrhea)발생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이번 주의보 발령은 올겨울 김해를 시작으로 의령, 함안, 합천 등 4개 시군 8개 농가의 돼지 1,710두에서 PED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고, 이의 확산으로 인한 추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내려졌습니다. PED는 겨울에서 봄 사이에 주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포유자돈에 수양성 설사와 폐사를 유발하는 등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유발해 우리나라에서는 제3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PED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전 백신 접종뿐만 아니라 철저한 차단방역을 통해 바이러스의 농장 내 유입을 막아야 합니다. 농장 입구에서 고정식 차량 소독기를 통해 차량 소독을 1차 실시하고, 다시 고압 분무기를 이용해 세척 및 추가 소독까지 하는 2단계의 방역 조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농장 내외부와 기구, 작업복, 신발 등의 세척과 소독을 게을리해서는 안 됩니다. 가축을 입식 시에는 거래 농장의 방역 관리가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격리 돈사에 일정 기간 계류하고 이상이 없는지 관찰한 후에 농장 내
경상북도(이하 경북)가 도내 양돈농가에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발생 주의보를 내렸습니다. 경북동물위생시험소는 최근 경북 내 PED 발생이 증가됨에 따라 도내 양돈농가에 PED 발생 주의와 함께 백신접종, 차단방역 강화 등을 알리고, 신속한 진단 및 농가지도로 농가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방역에 집중하기로 하였다고 지난 15일 밝혔습니다. 시험소에 따르면 올해 전국적으로 보고된 PED 발생은 전국적으로 17건입니다. 이 가운데 경북에서의 발생이 가장 많은 6건으로 전체의 35.3%를 차지했습니다. 경북 가운데 특히, 영천에서 다수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지난 겨울 PED 항체 조사 결과 경북의 방어항체 보유율이 20.8%로 전국 평균 37.8%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전체 경북의 PED 발생건수는 7건입니다. 김영환 경상북도동물위생시험소장은 “최근 2월 말부터 PED 의심 신고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PED 진단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고, 도내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지역적 유행에 대비해 백신접종 강화 및 농장간 전파 방지를 위한 출입차량, 입식가축 등 농장 방역관리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한
지난 28일 경기도 안성 젖소농장에서 시작된 이번 구제역 사태가 31일 충북 충주 한우농장에서의 추가 확진 이후 소강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방역당국과 각 지자체는이번 주가 구제역을 조기 종식시킬 수 있는 최대 고비라고 보고 연일 강도높은방역 활동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충북도 구제역 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충북도)가구제역 방역 현장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와 축산관계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우려하여 ‘구제역 방역 종사자 안전 주의보’를 지난 9일 발령하였습니다. 과거 구제역 방역 관련 다수의 민간인과 공무원, 군인이 과로나 교통사고로 다치거나 숨지는 일이 있었습니다. 특히나, 구제역 피해가 가장 많았던 2010년과 2011년에는 8명의 공무원과 1명의 군인이 목숨을 잃는 등 13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충북도는 먼저 고혈압, 당뇨 등 기병력이 있는 방역 종사자는 현장 근무조 편성에서 제외시켜 줄 것을 각 시·군 방역 상황실에 요청하였습니다. 또한, 방역의 최일선인 통제 초소 및 거점소독시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미끄럼 사고, 화재, 차량 접촉 등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 점검에도 각별히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아울러 오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