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인공지능 기반의 소 도체 기계 품질평가 장비 ‘KBM4’ 개발을 완료하고 내년부터 작업장에 시범사업 형태로 점차 보급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습니다. 해당 장비는 소 도체 등급판정 업무의 효율성 향상과 객관적인 품질 정보 제공 확대를 목표로 만들어졌습니다. 소 도체 등심단면을 촬영하면 인공지능과 영상판독 기술을 통해 품질평가 항목 중 5가지(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를 자동으로 측정, 최종 육질등급을 시간당 최대 100두 속도로 판정할 수 있습니다. 이쯤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돼지 도체 기계 품질평가 장비도 개발되었으면 하는 기대가 나옵니다. 현재 유명무실화된 육질등급 판정에서 쓰이지 않더라도 종돈개량 및 브랜드육 품질관리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듯합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우리 소비자는 돼지고기를 고를 때는 '육색'을 보고, 수입 돼지고기는 품질과 맛에서 한돈보다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내용은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실시한 '소·돼지고기 소비 실태 및 인식 조사’ 결과에서 나왔습니다. 농진청은 지난 7월 9일부터 19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69세 이하 성인남녀 1,7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과 개별 면접을 병행해 이번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돼지고기를 중심으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가정에서 돼지고기를 주 1회 이상 먹는 비율은 7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 '19년과 비교해 2%포인트 낮습니다. 용도별 소비량은 ‘구이용’이 50.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불고기·주물럭(22.2%)’,‘ 수육·보쌈(14.8%)’, 조림·볶음(12.5%)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돼지고기 품질을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육색(63.6%)’과 ‘원산지(54.4%)’,‘ 이력 정보·도축일시·유통기한(44.4%)’ 등이라고 답했습니다. 또한, 소비자들은 돼지고기 맛은 ‘살코기와 지방의 비율(69.8%)’, ‘부드러운 정도(55.8%)’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소고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