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은 전 세계 양돈농가에 상재화 된 병원체로, 자돈뿐만 아니라 모돈에게도 영향을 미쳐 농장의 생산 성적을 저하시킨다. 모돈에서의 'PCV2 생식기 질환(PCV2-RD; REPRODUCTIVE DISEASE)'은 재발, 유산, 미이라, 태자 흡수 등을 일으켜 번식 성적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시험에서는 PCV2에 의한 유산이 의심되는 농장에 ‘써코백(세바 PCV2 백신)’을 적용하고, 이를 통한 번식 성적 개선 효과를 확인해보았다. 시험 농장의 상황 시험농장은 프랑스에 위치한 모돈 1,600두 규모의 폐쇄돈군으로 운영되는 일괄 농장이다. 자돈들의 이유일령은 약 21일령이며, 후보돈은 다른 돼지들과 떨어진 별도의 시설에서 2개월간 격리되어 사육하고 있었다. 자돈들에게서는 써코 관련 임상증상이 보이지 않았으나, 모돈군에서는 번식 장애가 오랫동안 문제가 되어 생산 성적이 기대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였다. 유산은 모돈의 산차와 상관없이 발생하는 패턴을 보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태율(92% 이상), 미이라(복당 0.3마리), 사산(복당 0.73마리)은 나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농장에서는 3.5개월마다
[2보]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 정밀검사 결과 최종 ASF '음성'으로 진단되었습니다. [1보] 오늘(29일) 오후 3시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의 한 양돈장으로부터 ASF 의심축 발생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해당 농장은 5000두 규모의 자돈생산 농장으로 지난 25일(목)부터 신고 당일까지 5일간 모돈 9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부 유산(2두)도 발생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현재 정밀검사가 진행 중입니다. 환풍기 고장으로 인한 더위 스트레스가 원인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지난 30일자로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였습니다. 이번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은 앞서 29일 전라남도 완도군과 제주특별지치도 제주시에서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확인됨에 따라 내려졌습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며,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9월에 정점을 보입니다. 사람이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지난해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잠정 17명이 발생해 2명이 사망하였습니다. 돼지의 경우 일본뇌염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다만,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초임돈이 감염되면 약 40% 정도의 유산 및 사산을 일으킵니다. 경산돈의 경우는 유사산의 발생율이 다소 낮습니다. 국내 피해 현황은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만, 실제 피해는 발생하고 있을 것으로 강하게 의심되고 있습니다
최근 고병원성 PRRS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관련 문의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해당 PRRS 바이러스로 피해를 지속적으로 보고 있는 농장 관리자와 현장 수의사를 통해 나오는 경고의 목소리는 심히 우려를 자아낼 정도입니다. 모돈 유사산은 기본이고 모돈뿐만 아니라 자돈 폐사까지 유발하는 것은 기존 봐왔던 PRRS 발생 양상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경원 원장(스마트클리닉)에 따르면 해당 바이러스가 발병한 농장은 통상 돼지인플루엔자와 복합 감염되는 사례가 많은 가운데 전체 모돈 대비 식불의 경우 20~40%, 유산과 조산은 10~25%, 폐사는 2.5~10%가 발생한 바 있으며, 자돈의 경우 세균성 질병 상황에 따라 이유 후 폐사율이 20~5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존 백신 방어 효과도 낮고 재발률도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 16일 경북 영덕(모돈 19마리 폐사)과 지난 18일 경기 파주(모돈9, 비육돈 40 마리 폐사) 농장들이 다량의 모돈 폐사를 이유로 가축전염병 발생 의심 신고를 있었는데 일각에서는 ASF보다 고병원성 PRRS를 먼저 의심하는 분위기가 있을 정도였습니다. 또한, 앞서 대한한돈협회는 지난 1
지난 15일 그랜드플라자 청주호텔에서 한국돼지수의사회 주최의 '2023년 연례세미나'가 열렸습니다(관련 기사). 이날 모두 14개의 주제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이날 참석자의 관심을 가장 크게 모은 주제는 'PRRS'였습니다. 'ASF'보다 더 많은 질문이 쏟아졌습니다. 농장 중심으로 볼 때 현재 ASF보다 PRRS가 더 큰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고병원성에 준하는 바이러스가 유행하고 있으니 PRRS가 '발등에 불'인 셈입니다(관련 기사). 세미나에서 먼저 이향심 박사(농림축산검역본부)는 '국내에서 확인된 'NADC34 유사 PRRS 바이러스(이하 NADC34)'의 유전학적 특징과 병원성'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NADC34'는 북미형 PRRS 바이러스 중 리니지 1에 속하는 야외 변종 바이러스로 지난해와 올해 경기와 충남의 대규모 양돈농장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모돈 폐사뿐만 아니라 유산, 일부 자돈 폐사 등의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발생한 미국과 중국에서의 사례 보고와 비슷합니다. 이향심 박사는 지난해 7월 발생이 의심되는 충남의 한 양돈장의 돼지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고 'NADC34'임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모돈의 임신 후기 및 포유 기간 동안 과도한 대사 과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과도한 '활성 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편집자주: 일반 산소보다 반응성이 큰 산소 종)'은 내독소 수치 증가, 장내 미생물 군집 장애, 단쇄 지방산(SCFA; short-chain fatty acid) 생산 감소, '염증 유발 인자(proinflammatory factors)' 분비를 유발하여 장의 국소 염증, 장내 미생물 장벽의 잠재적 손상, 장 투과성 증가, 혈중 내독소 수치 증가(전신 염증 유발), 궁극적으로 모돈 및 자돈 성적을 저하시킵니다. 임신·포유모돈의 경우 변비, 유산, '자궁 내 성장 제한(IUGR)'을 유발하고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Dietary fiber)'는 동물의 장내 미생물을 조절하고 염증 반응을 완화하며 성적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연구는 모돈과 자돈의 장 건강과 염증 반응에 대한 다양한 섬유질 공급원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모돈 48마리(라지화이트 × 랜드레이스)를 무작위로 대조군(CK), 알팔파 분말(alfalfa meal; AM), 비트 펄프(BP), 대두 껍질
지난 20일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 주최의 'PRRS College' 행사에서 단연 화제는 고병원성 특징을 가진 'NADC34 유사 바이러스'였습니다. 이날 행사에서 전북대학교 김원일 교수는 'NADC34 유사 바이러스'라고 부르는 PRRS 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서도 확인되었다며 차단방역 강화와 함께 정기적인 PRRS 모니터링을 당부했습니다(관련 글). 김 교수는 "현재 (미국이나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높은 폐사율과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NADC34 유사 바이러스가 국내 경기와 충청 지역에서 검출되었다"라며, "농장 정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지만, 대부분의 경우 높은 유산, 이른바 유산 폭풍 수준의 유산율과 어린 연령의 자돈 폐사가 발생하였다"라고 밝혔습니다. 행사 이후 김 교수는 돼지와사람과의 통화에서 "지금까지 NADC34 유사 바이러스가 확인된 농장 사례는 모두 4건"이며, "일선의 적지 않은 농장에서 비슷한 피해를 겪고 있는 것으로 듣고 있어 바이러스 확산 정도는 훨씬 심각한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실제 발생농장의 피해 정도는 한 현장수의사로부터 간접적으로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는 "10% 이상의 유산율과 50%
PRRS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내 농장의 PRRS 상태(양성 vs. 음성, 안정 vs. 불안정)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양성 불안정 농장의 경우 'PRRS 안정화', 항원 음성인 이유자돈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를 위해 올바른 후보돈 순치 과정(면역 획득)이 필수입니다. 돈군폐쇄와 백신접종 등을 고려합니다.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내부 차단방역과 관리방법을 개선합니다(포유자돈 이동 최소화, 모돈과 육성·비육돈 접촉 금지, 배치관리, 위생강화 등).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경기도 김포에 이어 파주 ASF 의심신고 농장도 최종 양성으로 확진되었습니다. 이로써 역대 사육돼지 양성 건은 모두 27건으로 늘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6건째입니다. 해당 농장은 700두 규모 일관사육 농장으로 파주시 문산읍에 위치해 있습니다. 28일 어제 농장주가 지자체에 신고하였습니다. 모돈 2마리가 폐사하였으며, 유산하는 개체도 있고 일부 모돈은 사료 섭취가 눈의 띄게 감소했던 것으로 파악됩니다. 29일 새벽 검사 결과 방역당국은 최종 양성으로 확진하였습니다. 해당농장 중심 반경 3km 내에는 다른 농장은 없습니다. 반경 10km대 방역대에는 7곳의 농가 5,900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습니다. 발생농장은 살처분, 방역대 농장과 역학농장은 이동제한 조치와 함께 정밀 검사 등이 취해질 예정입니다. 파주 발생농장도 김포 발생농장과 마찬가지로 ASF 재입식 농장입니다. '19년 10월 예방적 살처분을 당했으며, 지난해 5월에서야 재입식에 성공하였습니다. 파주에서는 지난해 4월을 끝으로 감염멧돼자가 발견된 바 없습니다. 한편 어제 28일 저녁 경기도 평택(3,400두 규모 일관사육)에서 의심 사례가 나왔습니다. 방역당국의 전화예찰 과정에서 사육 중인 모돈 일부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바이러스는 번식장애(유산 등)와 호흡기 문제(폐렴 등)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면역까지 억제하는 병원체입니다. 이 때문에 일선 농장에 가장 큰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킵니다. 현재 다양한 백신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농장에서 만족스러운 효능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좀더 연구가 필요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