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감염멧돼지 추가 발견 사례가 3주 이상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오늘(22일) 기준으로 정확히 지난달 29일(#4166, 대구 군위, 관련 기사) 이후 23일째 전국적으로 발견실적이 0건입니다. 내일(23일)이면 기존 '22년 9월 최장기 비발견 기록(9.19-10.12, 24일간)과 같아집니다. 감염멧돼지 발견이 없으면 다행이 아니냐구요? 당장은 아닙니다. 앞서 지난 '22년 9월 비발견 기간에는 경기 김포(9.27)와 파주(9.28)에서, 이번 비발견기간에는 강원 화천(10.13)에서 사육돼지 ASF가 각각 발생한 바 있습니다. 감염멧돼지 발견은 농장 밖 오염원(바이러스) 제거를 뜻합니다. 감염멧돼지가 실제 없어진 게 아니라면 농장 밖 오염도는 연일 증가하고 있는 셈입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경기도 소재 농장에서 3년 만에 ASF가 발생하였습니다. 그것도 김포와 파주 등 지난 '19년 9월 발생지역에서 말입니다. 두 농장은 모두 '19년 당시 예방적 살처분 대상 농장이었습니다. 지난해 가까스로 재입식을 한 후 최근 들어서야 출하를 시작했는데 이번에 발생농장이 되는 불운한 처지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김포와 파주 농장에서 왜 ASF가 발생했는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두 곳 모두 감염멧돼지와 비교적 무관한 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김포는 인접한 강화군과 함께 지금까지 감염멧돼지가 발견된 바 없습니다. 공식적으로는 멧돼지가 없는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엽사들은 있는 것으로 주장). 파주에서는 지금까지 100건의 감염멧돼지가 발견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발견지점이 모두 민통선 가까운 곳이며, 농장과는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있습니다. 또한, 파주에서는 지난해 4월 이후 1년 5개월 기간 동안 감염멧돼지가 발견된 바도 없습니다. 이 때문에 3년 전인 '19년 9월과 마찬가지 상황으로 북한으로부터 바이러스가 새롭게 유입된 게 아닌가 하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장마와 태풍 시기 집중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