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독화 생독 백신(MLV)인 '인겔백 PRRS ATP 백신(역자 주; 국내 미출시)'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 세 가지 PRRS 바이러스 야외 분리주(SDSU73, VR2385, Mn-01-A1) 중 하나로 육성돈에 공격접종하여 호흡기 질병 및 병변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ORF 5의 게놈 시퀸싱을 기준으로 이 세 가지 분리주는 서로 상당히 다르며(72%~86% 상동성), 인겔백 PRRS ATP 백신(76%~89% 상동성)과도 상당히 상이하였다. 2주령의 조기 이유된 자돈 73마리를 무작위로 10마리씩 7개 그룹과 3마리씩 1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4개 그룹에는 2.0mL의 인겔백 PRRS ATP 백신을 근육 내 접종하고, 4개 그룹에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다. 백신을 접종한 세 그룹은 38일 후 각각 다른 PRRS 바이러스 분리주(5.0 mL, 105.8 TCID50)를 비강 내로 접종했다.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세 그룹도 비슷하게 공격접종했다. 백신을 접종한 1개 그룹과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1개 그룹 각각에 '가짜 백신(5.0 mL of sterile cell culture media)'을 접종했다(역자 주; 대조구). 접종 14일 후 모든 돼지에 대해
[질문] 생독 PRRS백신을 분기 일괄 접종하고 있는데도, 항체 검사를 해보면 일부 모돈에서 항체가가 잘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와 이 부분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사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실질적으로 농가와 백신회사가 심한 다툼이 있었던 것을 직접 경험한 적도 있다. 상식적으로 농가에서는 생독 PRRS백신을 접종하면 분명 항체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믿는데, 실제 혈청검사를 시행하면 항체가 40~50%만 형성되는 경우도 있어 궁금해하는 경우가 있다. 개인적으로는 생독 PRRS백신을 접종했으면 접종 돼지의 최소 70~80%는 항체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원인에는 크게 3가지 정도의 이유가 있다. 첫째, 생독 PRRS백신의 보관이 잘못된 경우이다. 회사에서 수송 과정 또는 농가 보관 과정에서 잘못이 있으면 살아있는 생독백신의 경우 상태가 나빠져서 백신을 접종해도 항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생독백신은 사독백신보다 보관상태에 더욱 민감하기 때문에 수송 과정과 보관 과정에서 더욱 신경을 많이 써야 된다. 둘째, 모돈의 경우 백신을 자주 접종하다 보면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이 무뎌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백
PRRS 양성농장에 후보돈을 도입할 때 권장하는 격리와 순치 방법은 무엇인가? (질문국가: 콜롬비아) PRRS 양성농장에 PRRS 음성 후보돈을 도입하는 경우, 격리와 순치기간은 반드시 최대한 길게 설정해야 된다. 여기서 권장하는 기간은 최소 2달 이상이다. 새로 도입된 후보돈에 인위적으로 PRRS 감염을 유도한 후 감염에서 회복될 시간을 줘서 바이러스 배출이 종료되는 시점에 번식돈군에 편입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번식돈군에 편입되기 전, 후보돈의 PRRS 상태를 어떻게 준비시켜야 될까? 후보돈 순치과정은 PRRS에 대한 면역을 형성시키는 것이 목적이므로 ELISA 검사에서 항체 '양성'을 확인해야 된다. 그러나 PRRS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상태로 번식돈군에 편입되어서는 안되므로, PCR 항원검사를 통해 '음성'임을 체크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PRRS 야외바이러스를 활용한 후보돈의 순치 방법은? 후보돈에 우리 농장내 유행하는 PRRS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어떤 방법은 효율적이기도 하지만, 질병을 유발할 위험성도 높으므로 농장별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① PRRS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돼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