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군은 다음달 30일까지 '돼지열병(CSF) 야생멧돼지용 미끼예방약(백신)' 2만4천여 개를 관내 지역 산림에 살포한다고 21일 밝혔습니다. 해당 미끼예방약은 갈색의 사각형 블록으로 야생멧돼지가 섭취하면 CSF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능력을 갖게 돼 양돈농가로의 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햇볕이 노출되지 않는 서늘한 장소, 멧돼지가 파헤친 흔적과 발자국이 있는 장소, 멧돼지 피해신고가 많이 접수되는 지역의 농가 주변 등 야생멧돼지 분포가 많은 지역과 서식지를 중심으로 살포 예정입니다. 야생생물관리협회 및 전국수렵인참여연대 양양지부가 위탁 살포작업에 나서며, 살포 후 약 30일이 경과되면 남은 미끼예방약은 수거됩니다. 한편 우리 정부와 제약회사, 연구기관 등은 ASF 야생멧돼지용 미끼예방약을 개발 중입니다(관련 기사).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CSF 미끼예방약과 동일한 방식으로 살포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우리나라를 포함해 아시아, 미국, 유럽 등 주요 양돈국가에서 ASF 백신 개발이 한창입니다(관련 기사). 베트남에서 몇몇 상용화 백신을 출시한 상태이지만, 효능뿐만 아니라 안전성(병원성 복귀), 야외감염 감별(DIVA) 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사실상 전 세계적으로 범용 가능한 백신이 없다고 봐야 할 듯합니다. 반면, 멧돼지를 통한 바이러스 확산과 사육돼지에서의 발병으로 피해가 누적되면서 백신에 대한 요구는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로선 언제 백신이 개발될지 모릅니다. 역대 백신 가운데 개발이 가장 까다롭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 백신처럼 느닷없이 모 제약회사가 제품 출시 계획을 선언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효능뿐만 아니라 안전성 등이 검증된 ASF 백신이 개발되었다는 전제로 백신을 포함한 ASF 대응 전략을 미리 충분히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부뿐만 아니라 산업이 수용할 수 있는 ASF 관리 모델을 사전 구축하자는 것입니다. 장기적으로는 ASF 청정화(박멸)가 목표입니다. ASF 백신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개발 중입니다. 하나는 사육돼지용 주사 백신이고, 다른 하나는 야생멧돼지용 경구(미끼)백신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가 국내기술로 개발한 '야생너구리용 광견병 미끼백신(제품명 캐니샷 광견병 미끼백신)'이 올해 4월부터 조달품목으로 등록되어 판매된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이번 미끼백신은 검역본부가 지난 '21년 10월 특허를 등록하고 중앙백신연구소에 관련 기술을 전수해 제품화되었습니다('23년 11월 품목허가). 생독백신으로 병원성이 없으며, 야외바이러스와 쉽게 구별(마커 기능)할 수 있습니다. 야외 노출에 대한 안정성이 높으며, 미끼와 항원백(bag)이 하나인 일체형으로 제작해 섭취율을 높였습니다. 이로써 국내기술로 개발해 상용화된 미끼백신은 최근 2종으로 늘었습니다(야생멧돼지용 돼지열병 미끼백신). 이어 '야생멧돼지용 ASF 미끼백신'도 곧 개발되기를 기대해봅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