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욕기는 분만 후에 임신 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기간이다. 모돈은 이 기간 동안 분만 후 장애를 겪을 수 있는데, 농장의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기에 현대 양돈산업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분만 후 유즙분비이상 증후군(PDS 또는 PPDS; Postpartum Dysgalactia Syndrome)'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Klopfenstein et al., 2006), '분만 전후 유즙분비저하 증후군(PHS; Periparturient Hypogalactia Syndrome)', '산후패혈증, 산욕열, 산후독혈증', 'MMA(유방염-자궁내막염-무유증; Mastitis-Metritis-Agalactia)' 등과 같은 이름도 제안되고 사용되어 왔다. 이 주제에 대한 많은 연구는 1970~1990년대 사이에 대부분 수행되었으며(Gerjets and Kemper, 2009), 그 후의 지속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돌파구는 마련되지는 않았다. '분만 후 유즙분비이상 증후군(PDS)' 발생은 농장의 위생도와 사양관리 수준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최적의 위생도를 유지하고 수세 및 소독으로 잘 관리되는 농장에서도 발생한다. '분만후 유즙분비이상 증
자돈들은 보통 생후 첫 몇 시간 내에 외부 감염에 노출되는데, 특히 분만 중 모돈의 질 분비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돼지 연쇄상구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1 돼지 연쇄상구균 감염에 의한 임상 증상은 대체로 10~21일령에 나타나지만, 거세한 수컷의 경우 더 일찍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하면 질병 발생을 줄이고 허약하거나 아픈 자돈들의 폐사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시험에서는 돼지 연쇄상구균이 상재하는 농장에서 포유자돈들에게 '베트리목신 LA(아목시실린 주사제, CEVA)'를 예방적으로 투여하고 그 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연쇄상구균 상재 농장의 모돈을 무작위로 두 시험군(G1, G2)으로 나누어 시험을 진행했다. G1 모돈 그룹의 자돈들: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베트리목신 LA 0.5ml를 접종 G2 모돈 그룹의 자돈들: 비접종 대조군 모든 자돈에는 생후 3일째 빈혈과 콕시듐 예방을 위해 철분과 항콕시듐제를 1회 투여하였고, 폐사율을 분만틀에 매일 기록하였다. 시험 결과, 포유자돈들의 폐사는 대부분 생후 3일 이내에 발생했다. 그러나 베트리목신 LA가 투여된 포유자돈(G1그룹의 자돈들)은 특히 생후 3일과 4일째에
슈라목스 수용산(Suramox® 50% OSP) ▶최적의 용해도 ▶탁월한 기호성 ▶높은 안정성 ▶음수관 막힘 감소
지난해국가 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결과, 축·수산용으로 판매된 항생제가 전년에 비해감소(-4.5%)했다는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관련 기사). 양돈에서는 두수 증가에도 불구 9.0%나 크게 줄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에는 어떤 항생제가 많이 쓰였는지 살펴봤습니다. 2018년도 국가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축·수산용 항생제는 961톤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를 항생제 그룹별로 살펴보면, 이 가운데 페니실린 계열이 가장 많이 쓰여 259톤(27%) 입니다. 다음으로 테트라사이크린 계열로 249톤(26%)이며, 이어 페니콜이 100톤(9%), 마크로라이드 90톤(9%), 설폰아마이드 86톤(9%), 아미노글리코사이드 58톤(6%) 순 입니다. 이들의 사용량을 전년 2017년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감소한 가운데 아미노글리코사이드(가나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등)와 플류로무틸린(티아물린), 폴리펩타이드(바시트라신, 콜리스틴), 린코사마이드(린코마이신) 계열 항생제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돈산업에서는지난해 487톤의 항생제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체축·수산용 항생제 961톤에서 50.7%,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