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돼지유전자협회(회장 이준길, 이하 돼지유전자협회)가 지난 4일 대전 계룡스파텔에서 창립 30주년 기념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돼지유전자협회는 지난 1994년 12월 9개의 돼지인공수정센터가 주축이 되어 '한국돼지인공수정사업소협의회'라는 이름으로 출범했습니다. 선진 인공수정(AI) 기술 도입·확대를 통한 국내 종돈개량과 번식성적 개선, 농가수익 향상 등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교육과 세미나, 해외연수, 법제화 등의 노력을 통해 AI 기술의 표준화·제도화도 추진했습니다. 2002년 '한국돼지AI센터협의회'로 명칭 변경을 거쳐 2007년부터는 지금의 '한국돼지유전자협회'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종돈개량과 돼지번식 관련 선도자와 산증인으로서 30년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정액뿐만 아니라 종돈, 기자재 등과 관련해 활동하는 종사자들이 회원으로 함께 활동 중입니다. 이날 기념행사에는 협회 역대 회장과 회원을 비롯해 손세희 대한한돈협회장, 이재윤 한국종축개량협회장, 안승 한국양돈연구회장, 심금섭 연암대학교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준길 회장의 기념사를 시작으로 30주년 연혁 보고, 30주년 기념 동영상 시청, 외빈 축사, 축하케이크 커팅 등의 순으로 진행되었습
세 번째 한돈전략포럼의 주제는 한돈산업 인력 부족 해결이었습니다. 지난달 27일 안성시 한돈회관에서 개최된 토론회에서 심금섭 교수는 인력 유입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비농업계 인력 유입과 농업계 인력의 활성화 방안, 특히 후계자 양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비농업계 인력 유입 확대 필요 비농업계 인력 유입을 위해서는 교육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돼지 사육시설의 현대화와 함께 직원 숙소의 현대화가 중요합니다. 양돈장에서 근무하는데 필요한 직무에 대한 이론과 실습에 요구되는 교육시간은 340(8주) 시간입니다. 농장주의 배우자가 생산 및 경영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농장 경영이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농업계 인력 활성화 방안 농업계 인력의 활성화 방안으로 농고나 농대 입학 시 양돈장에서 일할 학생들을 사전 선발하고 졸업 후에는 양돈장에서 근무하는 경우 병역 근무를 대체해 주고 장학금을 지원하는 등 재정적 지원도 이루어져야 합니다. 2세 들을 중심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존의 교육학점과 연계하여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무 중심의 실습을 위한 교육계획을 편성해야 합니다. 멘토링의
이준길 대표와 심금섭 교수가 제22회 '한국양돈대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양돈연구회(회장 김태봉, 이하 양돈연구회)는 20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전국양돈세미나'에서 이준길 대표(북부유전자)를 '생산자 부문', 심금섭 교수(연암대학교)를 '연구 및 관련 산업 부문' 한국양돈대상 수상자로 각각 발표하고, 시상을 하였습니다. 이준길 대표는 현재 AI센터인 북부유전자를 운영하고, 한국돼지유전자협회 회장과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협의회 위원 등을 역임하며 인공수정을 통한 가축개량 분야에서 그간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접경지역 ASF 비상대책위원회' 총괄 위원장으로서 정부에 8대 방역시설의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피해농가의 재입식 결정을 이끌었습니다. 심금섭 교수는 지난 34년간 연암대학교에서 축산계열 학생들을 가르치며 한돈산업 후계자 및 현장 전문 인재들을 양성에 힘써 왔습니다. 국제 교류를 통해 선진 양돈국가의 전문기술을 국내에 보급하였습니다. 또한, 연암대학교 양돈유전자원센터를 설립하고, 양돈농가에 우수 종돈 및 정액을 보급, 양돈성적 향상과 국내 인공수정센터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한국양돈대상'은 한국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