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시에 있는 양돈농장 2곳이 상습적이고 고의적인 가축분뇨법 위반을 이유로 허가취소 처분을 받았습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가축분뇨 사업장 등 255개소를 대상으로 집중 점검을 실시, 위반농장 9개소를 적발하고 허가취소(2건)를 비롯해 고발(4건), 개선명령(6건), 사용중지(1건), 과태료(4건) 등 17건의 행정처분을 내렸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이들 농장의 위반 내역은 가축분뇨를 자원화하지 않은 상태 또는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않고 배출(2개소), 액비 살포기준 위반(2개소), 분뇨처리 관리기준 위반(4개소), 배출시설 미신고 무단철거(1개소) 등입니다. 허가 취소된 A농가의 경우 지난 3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고의적인 불법 분뇨 배출을 한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또한, 올해 10월 말 기준으로 농장 인근 밭 소유주 및 마을 주민의 축산악취 민원이 183건에 달했습니다. 이는 서귀포시 전체 민원(829건)의 22%에 해당합니다. 서귀포시는 A농가에 대해 청문 등 행정절차법을 거쳐 ‘허가취소’라는 강력한 행정조치를 단행했습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가축분뇨 배출관련 사업장에 대해서 지속적인 지도·점검을 실시하고, 상습·고의적 위반업체
불과 이틀 만에 제주도에서 또 돈사 화재가 발생했는데 안타깝게도 이번에는 피해가 컸습니다(관련 기사). 제주소방안전본부는 3일 새벽 3시 38분경 서귀포시 대정읍 소재 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출동한 소방대에 의해 약 1시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불로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분만사 1동(345.5㎡)이 전소되고 모돈 48마리와 자돈 100여 마리가 폐사하는 등 소방서 추산 1억 4천만 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 조사 중입니다. ※양돈장 화재 예방을 위한 필수 점검 대상 4가지(바로보기)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서귀포시가 올 9월부터 차량을 이용한 이동식 악취 채집을 통해양돈장 악취 관리에 나섭니다.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는축산악취 민원을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금년 하반기부터 차량부착형 '이동식악취 자동포집장비'를 도입하여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동식 악취 자동포집장비는 차량에 악취포집기, 악취감지센서, 기상측정기, 무선통신설비, 전기공급설비, 프로그램 운영설비 등을 장착하여 휴일·야간시간에도 무인(원격)으로 24시간운영할 수 있습니다. 앞서 서귀포시는 관련 예산에 대해 2019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 사업비 2억원을 확보하였습니다. 장비 구입은 5월 발주 계획이며, 8월말까지 사업 준비를 마무리할계획입니다. 실질적으로 이동식 악취 자동포집장비가 도입되는 9월부터는 양돈장 등 악취민원 취약지역에 순환 배치하여 주·야간은 물론 휴일에도 악취발생 시료를 연속적으로 채취하여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할 시에는 행정처분을 실시하는 등 사업장 관리를 강화하여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금번 이동식악취 자동포집장비 도입·운영으로 양돈장 등 악취발생 사업장에게는 경각심과 시설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식변화를 유도하고, 인근지역 주민에게는 악취
지난 26일 서귀포시에서는 양돈장 악취해소를 위하여 38억 84백만원(도비 2,350 자부담 1,534)을 투자하여, 양돈장 냄새차단 시설지원, 축산환경개선제 공급사업 등 3개 사업을 벌여 나갈 방침임을밝혔습니다. 서귀포시는 양돈장 악취민원이 2015년 97건이던것이 2016년에는 213건으로 늘어 돈사악취 문제가 시급한 현안으로 제기됨에 따라 지난 1월 13일 축산악취해소전담팀(T/F팀)을 구성하여 운영중에 있습니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미생물순환시스템, 악취포집 정화처리시설 및 자동분무 탈취시설 등 양돈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저감 및 외부배출 차단 시설을 지원하는 양돈장 냄새차단 시설지원 사업에 3,000백만원, 미생물제제(효모 및 균제) 및 냄새저감제 구입.공급 등 쾌적한 축산사업방 조성을 위한 축산환경개선사업과 가축분뇨 냄새 다발지역 특별방지사업에 각 834백만원, 50백만원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서귀포시에서는 도 내.외 양돈장 냄새저감 우수사례 벤치마킹 및 냄새저감 전문강사 초빙 워크숍 개최 등 냄새저감 방안에 대한 방향 제시와 양돈장 냄새 저감 시설 설치 의무화 및 양돈농가 의식전환 등 양돈농가 자구노력 강화를 위한 시책을 발굴.추진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