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경양돈농협(조합장 이재식)은 조합 양돈전산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94개 농장의 '23년 상반기 조합 전산농가 생산성적 분석자료'를 조합 소식지 9월호를 통해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분석 결과 평균 PSY는 27.2두, 평균 이유두수 11.6두, 분만율 80.6%, 비생산일수(NPD) 40.8일, 모돈회전율 2.35회전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PSY의 경우 지난해 평균 25.8두 보다 1.4두 높은 성적으로 전반적인 생산성적은 매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전산 상위 30% 이내 농장들의 평균 PSY가 30두 이상이라는 점이 주목됩니다. 이는 이제 부경양돈농협에서 생산성 상위그룹은 PSY 30두, 이유두수 12.5두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평균이 아닌 개별 성적으로는 전산참여 농가의 20%가 PSY 30두 이상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16% 농가만이 PSY 24두 이하를 나타냈습니다. 산자수의 경우 총산 14두 농가가 33%, 실산 13두가 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습니다. 이유두수는 11두 농가가 46%로 거의 과반을 차지했습니다. 월 평균 12두 이상 이유를 하는 농가 비율이 29%로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초음파 임신진단 영상을 분석하는 임신 조기 진단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교배 후 이른 시간에 모돈의 임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모돈 1,131마리의 고화질(5Mhz) 자궁 초음파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학습을 수행했습니다. 인공지능 모형의 연산 방식을 보완해 임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렇게 개발한 인공지능 모형의 임신 판정 정확도는 임신기간별로 ▶15∼17일 82.5% ▶18∼21일 98.1% ▶22∼28일 99.2%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존 눈으로 확인하는 초음파 판독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편차가 컸던 것을 크게 개선한 것입니다. 개인간의 편차도 줄일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인공지능 활용 초음파 임신 조기진단 기술을 특허출원했으며, 앞으로 희망업체를 대상으로 기술이전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또한, 저해상도 초음파 영상 정보를 활용한 인공지능 모형 연구를 추가로 진행해 성능을 향상시킬 예정입니다. 이번 기술은 고화질 초음파 영상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조규호 과장은 “농가에서 모돈
국내 대표적인 양돈경영전산관리 프로그램인 '피그플랜(PigPlan, 이지팜)의 지난해 전산성적 보고서가 '2020년도 빅데이터 심층분석 보고서'라는 이름으로 최근 발표되었습니다. 보고서에는 지난해 1년 동안 꾸준히 농장 성적을 피그플랜에 입력한 568농가에 대한 성적 분석 자료가 담겨져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농가의 평균 7일 내 발정재귀율은 88.7%, 모돈 회전율은 2.28, 평균 이유두수는 10.3두, PSY는 23.5두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에 비해 각각 0.5%p, 0.02, 0.1두, 0.5두 증가한 수치입니다. 반면, 비생산일수는 47.9일로 전년(49.6일)에 비해 1.7일 감소했습니다. 이번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총산의 경우 '10년 11.4두에서 '20년 12.6두로 1.2두가 증가하였지만, 이유두수는 9.5두('10년)에서 10.3두('20년)로 0.8두 증가하는데 그쳐 많이 낳고 많은 죽는 '다산-다사' 현상이 관찰된다. ● '13년(92.1%) 이후 하락된 포유개시율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다산 품종 도입 후 산자수 증가와 함께 사산도 증가함을 의미한다('20년 91.4%). ● '16
누구나 알고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막상 확실한 정답은 없는 양돈 사양관리 등에 관한 주제에 대하여 여러 가지 관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네 번째 원고의 주제는 ‘발정 재귀 일령’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생산일수(NPD)'를 다룬 지난 글(바로가기)에서 잠시 언급이 되었던 ‘발정 재귀 일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특히, 우리가 흔히 말하는 '강정사양(flushing)'에 대한 이야기도 덧붙여 해 보려 합니다. '발정재귀일령(days of wean-to-service)'은 이유 후 첫 교배가 이루어지는 시간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모돈은 포유 중 그리고 이유 및 이유 후의 여러 호르몬의 작용으로 인하여 발정이 유도·발현되며 이후 교배(인공수정)를 거쳐 수정 및 착상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수치의 차이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농장에서는 이유 후 90% 이상의 모돈이 7일 안에 발정이 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 중에서 중요한 몇 가지를 꼽자면 이유 후 발정이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늘어지면 ▶생산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배치 관리를 하는 농장에서는 생산
누구나 알고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막상 확실한 정답은 없는 '양돈 사양관리' 등에 관한 주제에 대하여 여러 가지 관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지난 첫 번째 주제인 '송곳니 자르기(바로가기)'에 이어 오늘 두 번째 주제는 ‘비생산일수(Non Productive Days, NPD)’입니다. 흔히 농장의 생산성을 분석할 때 '해당 농장의 성적이 좋으냐 아니냐'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지표로 PSY 혹은 MSY를 사용합니다. ☞ PSY : 당월 이유자돈수 * 12개월 / 상시모돈두수 ☞ MSY : 당월 비육출하두수 * 12개월 / 상시모돈두수 하지만 좀 더 정교하게 해당 지표들을 계산해 내려면 연간 모돈 회전율과 연간 생존산자수, 그리고 육성률을 모두 계산해 내어 곱해주면 됩니다. 한 단계만 더 내려가 보겠습니다. 연간 모돈 회전율은 어떠한 공식에 의해 산출될까요? ☞ 모돈 회전율 : (365 일 – 비생산일수) / (임신기간 + 포유기간) 여기서 오늘 얘기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주제인 '비생산일수'에 대한 내용이 나왔습니다. '비생산일수'는 영어로 'Non-Productive Days'라고 하며 줄여서 'NPD'라고 합니다. 자 이제 본격적으로 NP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