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세계식량지수가 2개월 연속 하락을 멈추고 반등했습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5.1포인트) 대비 1.6% 상승한 127.1포인트를 기록하였습니다(전년동기대비 8.2%). 육류 가격지수는 안정을 유지했으나 다른 모든 가격지수는 상승했습니다. 설탕과 유제품, 유지류 등이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 곡물 가격지수 112.6포인트(전월대비 0.7%, 전년동기대비 -1.1%) 지난달 곡물 가격지수는 2개월 연속 상승했습니다. 밀 수출 가격은 러시아의 공급 부족으로 물량이 제한되면서 상승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다른 공급 국가로 수요가 이동하였고, 유럽, 러시아, 미국 일부 지역의 기상 악화로 작물 상태에 대한 우려까지 더해지면서 밀 가격 상승에 압력을 가했습니다. 국제 옥수수 가격은 2월에 상승 추세를 이어갔는데 주로 브라질의 계절적 공급 부족, 아르헨티나의 작물 상태 악화, 미국 옥수수에 대한 강한 수출 수요로 상승하였습니다. ● 유지류 가격지수 156.0포인트(전월대비 2.0%, 전년동기대비 29.0%) 팜유, 유채유, 콩기름, 해바라기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유지류 가격 지수도 올랐습니다. 동남아시아
올해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는 1분기까지 두 분기 연속 상승하다가 2분기에는 소폭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최근 발표한 국제곡물 관측 3월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는 전 분기보다 3.7포인트 오른 136.6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예측치(135.5)보다 1.1포인트 더 높은 수준입니다(관련 기사). 대미환율 상승폭이 예상보다 더 컸기 때문입니다. 환율 영향은 올해 계속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농경연의 올해 1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예측치는 4분기보다 2.9포인트(2.1%) 오른 139.5입니다. 역시 지난해 10월 예측치(132.1)보다 7.4포인트 더 높습니다. 농경연은 대두박 수입단가 하락에도 대미환율 상승으로 올랐다고 분석했습니다. 농경연은 다만, 2분기의 경우 사료용 옥수수 상승에도 지난해 4분기 대두박 선물가격 하락 시기에 구입한 물량이 도입되면서 0.4포인트(0.3%) 소폭 하락한 139.1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편 농경연은 오는 3분기 사료 수입단가에 영향을 줄 올해 1분기 국제곡물 선물지수 전 분기 대비 5.1% 상승한 114.6로 전망했습니다(전년 동기
세계식량가격지수가 2개월 연속 하락했습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7.0포인트) 대비 1.6% 하락한 124.9포인트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1년 전보다 7.3포인트(6.2%) 높은 수준입니다. 다만, '22년 3월 최고치보다 35.3포인트(22.0%) 낮습니다. 1월 품목군별로 곡물과 유제품 가격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유지류, 육류, 설탕의 가격은 하락하였습니다. ● 곡물 가격지수 111.7포인트(전월대비 0.3%, 전년동기대비 -6.9%) 국제 밀 가격은 러시아와 유럽연합 일부 지역, 미국의 겨울 작황 상태와 공급 제한으로 인한 상승 요인이 있었으나, 수출 실적이 부진하면서 가격이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국제 옥수수 가격은 1월에 상승하여 2년 만에 처음으로 1년 전 수준을 넘어섰습니다. 가격 상승 압력은 계절적 공급 부족, 아르헨티나의 파종이 끝나면서 불리한 조건, 브라질의 주요 작물(사프리냐)의 느린 진전, 미국에서 수정된 옥수수 생산 및 재고 예측 감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유지류 가격지수 153.0포인트(전월대비 -5.6%, 전년동기대비 24.9%) 유지류 가격지수 하락은 주로 국제 팜유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사료 수입 단가는 추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다행스러운 소식입니다. 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은 지난 16일 개최한 '농업전망 2025' 행사에서 이 같이 발표했습니다. 농경연에 따르면 2024/25년도 주요 곡물(밀, 옥수수, 콩,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29억 5,876만 톤, 소비량은 1.1% 증가한 29억 6,697만 톤으로 전망됩니다.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0.7% 감소, 기말재고율은 전년 대비 0.5%p 하락한 27.5%로 추정됩니다. 이런 가운데 2024년 국제곡물 선물가격은 전년에 이어 하락 추이가 지속되었습니다(전년 대비 -24%). 주산지 기상 악화 등으로 일시적으로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남미지역 기상 호전, 미국 공급 여건 개선 전망, 달러화 강세와 중국의 수요 둔화 등으로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2025/26년도 주요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29억 9,228만 톤, 소비량은 0.8% 증가한 29억 9,160만 톤으로 예상됩니다. 옥수수와 밀 생산량이 전년 대비 각각 1.4%, 2.0% 증가하고, 콩은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생산량이 전망되는 등 전반적인 곡물 공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가 5개월 만에 하락으로 전환했습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4년 1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7.0포인트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전월(127.6포인트) 대비 0.5% 낮은, 반면 전년 동월(119.1포인트) 대비 6.7% 높은 수준입니다. 품목군별로 육류 가격은 상승하였으나, 곡물, 유지류, 유제품, 설탕의 가격은 하락하였습니다. ● 곡물 가격지수 111.3포인트(전월대비 -0.1%, 전년동기대비 -9.4%) 국제 밀 가격은 아르헨티나와 호주의 수확량 증가와 국제 수요 약화로 인한 하락 압력이 있었으나, 러시아의 작황 상태가 좋지 않아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국제 옥수수 가격은 미국에서 수출 판매가 증가하고 공급이 줄어들었으며 우크라이나산에 대한 수요가 강해지면서 약간 상승했습니다. 다른 조곡물 중에서는 보리의 국제 가격이 상승한 반면 수수의 국제 가격은 하락했습니다. ● 유지류 가격지수 163.3포인트(전월대비 -0.5%, 전년동기대비 33.5%) 유지류 가격지수의 미미한 하락은 주로 대두유, 유채유, 해바라기유 가격 하락을 반영한 것입니다. 팜유 가격은 2.0% 정도 소폭 상승했는데, 주로 동남아시아의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가 또 오르며, 2023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4년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7.4포인트) 대비 0.5% 상승한 127.5포인트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지난해 11월 가격지수보다 5.7% 높지만, 2022년 3월에 기록한 최고치 160.2포인트보다는 20.4% 낮은 수준입니다. 품목군별로 곡물, 육류, 설탕 가격은 하락하였으나, 유지류, 유제품 가격은 상승하였습니다. ● 곡물 가격지수 111.4포인트(전월대비 -2.7%, 전년동기대비 -7.9%) 국제 밀 가격은 남반구의 수확량 증가와 북반구 주요 수출국의 작황 개선, 국제 수요 감소로 인해 전월 대비 하락하였습니다. 세계 옥수수 가격은 남미 지역의 양호한 기상 조건, 우크라이나산에 대한 약한 수요, 미국의 계절적 수확 압박 등의 가격하락 요인과 브라질의 국내 옥수수 수요 증가, 멕시코의 미국산 수요 증가라는 상승 요인 사이에서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보리와 수수의 국제 가격도 소폭 하락하였으며, 쌀 가격지수는 경쟁 심화, 수확 압박, 달러 대비 통화 가치 하락 등으로 4% 하락하였습니다. ● 유지류 가격지수 164.1포인트
세계식량가격지수가 1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4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보정된 전월 수치(124.4포인트) 대비 2% 상승한 127.4포인트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지난해 4월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육류를 제외한 모든 품목군의 가격지수 상승의 결과입니다. 특히 유지류 가격 급등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곡물 가격지수 114.4포인트(전월 대비 0.8%, 전년동기 대비 -8.3%) 국제 밀 가격은 2개월 연속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주요 밀 생산국인 유럽연합, 러시아, 미국 등의 불리한 날씨로 인해 겨울작물 파종이 우려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러시아의 비공식적인 가격 하한선 재도입과 흑해 지역의 긴장 고조도 밀 가격상승에 기여하였습니다. 국제 옥수수 가격은 10월 상승 추세를 이어갔습니다. 강한 브라질 국내 수요와 일부 지역의 강수량 부족 문제 지속, 아르헨티나의 건조한 날씨로 인한 파종 지연, 우크라이나 옥수수에 대한 수요 증가에 기인한 결과입니다. 기타 잡곡 중에서 보리 가격은 상승한 반면, 수수 가격은 하락했습니다. 국제 쌀 가격은 인도가 인디카 쌀 수출 제한을 철회함에 따라 5.6% 하락하였습니
4분기 식용 곡물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가운데 사료용 곡물 가격은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관련 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최근 발표한 국제곡물 관측 10월호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사료용 곡물지수는 132.9로 2분기(144.4) 대비 11.5포인트 떨어지며 한 분기 만에 다시 하락으로 전환했습니다. 이어 농경연은 4분기 사료용 곡물지수를 131.2로 예측해 추가 하락(-1.3%)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식용 곡물지수의 경우 이번 4분기 상승하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제분용 밀과 채유용 콩의 경우 수입단가가 상승한 것과는 달리 사료용 밀과 옥수수, 대두박 등의 수입단가가 하락한 영향입니다. 또한, 농경연은 내년 1분기 사료용 곡물지수는 127.4로 전 분기 대비 -2.9%로 하락, 3분기 연속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농경연은 내년 2분기 사료 수입단가에 영향을 줄 올해 4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의 경우 110.3으로 전 분기 대비 2.6%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전년 동기 대비 -13.5%). ▶'24/25년도 세계 밀·옥수수 수급 여건 악화 전망 ▶'24'25년도 남미 곡물 주산지와 '25/'26년도
지난달 육류를 비롯해 모든 세계 식량 품목 가격이 전달보다 상승했습니다. 돼지고기 가격은 보합세를 보였습니다(관련 기사). 밀과 옥수수 가격은 올랐습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하는 9월 육류가격지수는 평균 119.6포인트를 기록하여 전달인 8월 대비 0.4포인트(0.4%) 상승했습니다. 이는 브라질산 닭고기에 대한 수입 수요가 증가가 주요 원인이며, 이는 뉴캐슬병 관련 무역제한 완화에 따른 것입니다. 반면, 국제 소고기 가격의 경우 주요 생산국에서 공급이 제한적이어서 세계 수입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했기 때문에 안정을 유지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세계 돼지고기 가격은 변동이 없었고, 유럽연합의 국내 판매 증가를 포함하여 세계 공급이 증가한 수요를 적절히 충족했습니다. 양고기는 중국의 수입 수요 부진으로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0.7포인트) 대비 3.0% 상승한 124.4포인트를 기록하였습니다. 3개월 만에 상승으로 전환하였는데, 앞서 육류를 포함해 곡물, 유지류, 유제품, 설탕 등 모든 품목군의 가격이 오른 영향입니다. 곡물가격지수는 9월에 평균 113.5포인트로 8월보다 3.3포인트(3.0%) 상승, 4개월 만에 반등
지난달 세계육류가격이 7개월 만에 상승을 멈추고 하락했습니다. 돼지고기 가격은 2개월 연속 떨어졌습니다(관련 기사).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하는 8월 육류가격지수는 평균 119.5포인트로 7월보다 0.9포인트(0.7%) 하락했습니다. 지난 2월부터 상승한 가격이 드디어 꺾였습니다. 다만, 119.5포인트는 작년 대비 4.3포인트(3.7%) 더 높은 수준입니다. 가금육과 돼지고기가 가격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가금육은 브라질에서 지난 7월 가축전염병인 뉴캐슬병 발생에 따라 가금육 수출을 자발적으로 자제하면서 브라질 내 가금육 가격이 하락하였고, 현재도 그 영향이 남아 가격이 하락하였습니다. 돼지고기는 6월과 마찬가지로 주요 생산 지역의 충분한 수출 가용량과 수입 수요 부진으로 가격이 추가 하락하였습니다. 반면 소고기는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계절적 요인으로 도축량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8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3% 하락한 120.7포인트를 기록하였습니다. 품목군별로 육류와 함께 곡물 및 설탕 가격은 하락하였고, 유지류 및 유제품 가격은 상승하였습니다. 8월 곡물 가격 지수는 평균 110.1포인트로 7월 대비 0.6포인트(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