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하두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돈가가 2주 연속 올해 최고점을 찍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6.15-21) 출하두수(등급판정두수)는 34만3천 두입니다. 1주 전보다 1만6천 두 줄었습니다. 올해 평균 주간 출하두수(36만6천)와 비교하면 2만3천 두나 적습니다. 이에 따른 지난주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 탕박 기준)은 전주 평균(6,065원)보다 147원(2.4%) 오른 6,212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주간 평균 돈가입니다. 다만, 전년 같은 시기(6,301원)보다는 낮은데 지난해의 경우 경북 영천서 발생한 2만5천 두 규모의 대형농장 ASF 확진(6.15일)과 경북 일대 스탠드스틸 영향 때문입니다. "국내산 구이류는 주초에 대형할인점에서 연휴기간 소진재고를 채워 넣기 위한 발주가 일부 있었으나 중반부터 부진해졌으며, 중소마트로부터는 할인행사 수요가 꾸준한 편이었다. 정육점과 외식으로부터의 수요부진은 지속되고 있어 다시 시중에 덤핑물량이 출현하고 있다. -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6.16일자 돼지고기 주간 시황)" 유통업계는 여전히 시장 전반에 걸쳐 국내산 돼지고기 수요가 부진한 상황이라고 호소하
지난 5월 한돈산업은 전월보다 16만1천 마리 더 적은 150만1천 마리를 시장에 공급해 9만443톤의 돼지고기를 생산했습니다. 같은 기간 돼지고기 수입량은 역대 최대량인 5만6천톤이 수입되었습니다. 5월 돼지 평균 도매가격은 5812원을 기록했습니다. 탕박 가격 정산 체계 도입 이후 역대 3번째로 높은 수준입니다. 지난달에도 유통업계는 돼지고기 판매부진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도매시장 상장두수 감소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5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93.8포인트)보다 8.0포인트 증가한 101.8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20년 10월 이후 가장 큰 상승폭입니다. 6개월 만에 기준선 100을 넘어서며 지난 12월 계엄사태 이전으로 완연히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한국은행은 "그동안 소비자 심리 회복을 제약했던 정치 불확실성과 미국 관세정책 등 부정적 요인이 완화되면서 소비자심리지수가 크게 개선됐다"라고 밝혔습니다. 돼지고기 소비자가격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5월 평균 국내산 냉장삼겹살과 수입산 냉동삼겹살의 소비자가격(100g 기준)은 각각 2587원, 1515원입니다. 전달 대비 각각 101원(4.1%), 43원(2.9%)
[전광판을 통해 한돈산업 관련 월별 일별 주요 정보와 단신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돼지와사람] ◆이달의 주요 행사 및 일정 6.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5.29-30 사전 투표) 6.5일 세바코리아 웨비나 '이유체중이 미래를 바꾼다; High Quality Piglet 전략 공개' 6.12일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 '엔테리콜릭스' 출시 세미나 6.18일 한국양돈연구회 제27회 신기술양돈워크숍 6.24-26일 한국히프라 '수이셍 DA(디에이) 런칭 세미나' 6.25-27일 한국축산학회 2025년 정기국제학술대회(대구 EXCO 서관 3층) ◆'25년 6월 등급판정두수 및 도매가격, 수입육, 소매가격, 한돈재고동향, 소비자심리지수 요약 ◆ 이달의 한돈산업 관련 주요 단신 2일 통계청, 4월 온라인쇼핑 21.7조원 '역대 최대'...'무료배달 확대' 음식서비스 13.9% 증가 4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당선(49.42%, 17,287,513표), 대통령 취임 4일 통계청, 5월 소비자물가 1.9%로 5개월 만에 1%대...축산물 6.2%, 돼지고기 8.4% 5일 원/달러 환율 1,380원대로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 기록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3개월마다 발행하는 '돼지관측' 보고서 6월호가 4일 발간되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농업관측센터는 올해 돼지 평균 사육두수와 누적 도축두수, 평균 도매가격 등의 전망치를 3개월 전과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했습니다 먼저 올해 평균 돼지 사육두수는 전년(1,194만4천)와 비슷한 1,171만~1,219만 마리로 예측했습니다. 평균 모돈 사육두수 역시 전년(96만3천) 수준인 95만~97만 마리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누적 돼지 도축두수는 상반기에는 감소(-2.7%)하고 하반기에는 증가(+2.1%)하면서 최종적으로 전년(1,910만5천) 수준인 1,879만~1,911만 마리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를 반영한 올해 평균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는 지난해(5239원) 대비 3.5% 내외 상승한 5,300~5,600원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지난 3월과 동일한 수치입니다. 지난 3월 농업관측센터는 상반기 공급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하지만, 하반기에는 공급량이 증가하며 가격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미국산 목전지와 국내산 뒷다릿살 도매가격 간의 가격 차이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이 지난 27일(화) 6,036원으로 올해 가장 높은 동시에 처음으로 6천원대 가격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6.12일 6,020원)보다 16일 빠른 기록입니다. 이어 29일(목)에는 6,145원으로 역대 최고 가격을 이틀 만에 경신했습니다. 확실히 이번주 들어 가격이 급등하며, 6주 만에 5,700원대 가격 박스권에서 탈출하는 양상입니다(관련 기사). 한편 29일 기준 이달 평균 도매가격은 5,805원입니다. 이는 전월(5,651원)보다 154원(2.7%), 지난해 5월(5,278원)보다 527원(10.0%) 높은 수준입니다. 현재 이달 22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의 일정으로 정부의 1,200억원 규모 국산 농축산물 할인지원 사업이 진행 중입니다(관련 기사). 한돈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25년 5월 한돈산업 전광판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돈가가 5주 연속 주 평균 5700원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강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5.18-24) 돼지 평균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은 전주 평균(5766원)보다 22원(0.4%) 오른 5788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4월 말부터 이어온 5700원대 가격을 한 달 넘게 유지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가격은 높지만, 5700원대 박스권에 갇힌 형국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4월 초 4천원대 후반대를 시작으로 매주 상승해 5월 5천원 초반대를 거쳐 6월 6천원대로 넘어선 양상과는 대조적입니다. 다만, 지난주는 전주에 이어 소폭이나마 2주 연속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이번주 5800원대로 넘어설 태세입니다. 26일 5919원으로 올해 최고 일일 도매가격을 기록했습니다. 이달 누적 평균 도매가격은 5765원입니다. 관련해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는 26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에서 "국내산 구이류는 대형할인점 할인행사의 할인폭이 조금 커졌지만 소비가 크게 늘어나지는 않았으며, 하나로마트, 중소마트, 정육점 등에서의 수요도 전반적으로 저조하였다. 외식소비도 특별한 이슈가 없어 저조한 편이었는데, 다만 6월 첫째주 연휴를 대비한 유통 수요
지난 4월 한돈산업은 3월보다 8만 마리 더 많은 166만 마리의 돼지를 시장에 공급했습니다. 하지만, 누적으로 여전히 작년 공급 수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이어진 돈가 하락세에 모돈 숫자를 줄인 영향입니다(관련 기사). 4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올해 가장 많은, 5만톤에 육박했습니다. 다만, 원-달러 환율 급등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는 낮은 상태를 지속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국내 생산량 및 해외 수입량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4월 돼지 평균 도매가격은 5651원으로 역대 최고 가격을 경신했습니다. 반면, 유통에서는 높은 도매가격만큼 돼지고기 판매는 잘 되지 않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실제 생산량·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올해 재고가 늘고 있습니다. 이에 최근 12개월 연속 감소 추세(전년 동월 대비)인 도매가격 상장두수(제주 및 등외 제외)에 대한 우려와 불만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산업이 해결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사안입니다.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4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보다 0.4포인트 증가한 93.8로 나타났습니다. 12월 계엄사태 이후 5개월 연속 기준선 10
[전광판을 통해 한돈산업 관련 월별 일별 주요 정보와 단신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돼지와사람] ◆이달의 주요 행사 및 일정 6.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5.29-30 사전 투표) 6.5일 세바코리아 웨비나 '이유체중이 미래를 바꾼다; High Quality Piglet 전략 공개' ◆'25년 5월 등급판정두수 및 도매가격, 수입육, 소매가격, 한돈재고동향, 소비자심리지수 요약 ◆ 이달의 한돈산업 관련 주요 단신 1일 국회 13.8조원 추경안 통과...농축산물 할인 지원 700억원 증액, 지역화폐 발행예산 4천억 추가 1일 통계청 3월 온라인 쇼핑액 22조4천억원 '역대 최대'...전년대비 2.6% 증가 2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올해 2분기 수출, 1년 전보다 6~7% 감소 전망' 2일 통계청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1%.....4개월 연속 2%대, 가공식품 및 외식 물가 큰폭 상승 3일 원·달러 환율 1401원 마감...지난해 12월 계엄령 사태 이전 수준 회복 11일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7명 후보 등록, 12일부터 공식 선거전 돌입 13일 통계청, 올해 1분기 전국 17개 시도 소매판매 11개 분기 연속 감소하다가 3년 만에 보
돈가 상승세는 소폭이나마 이번주에도 이어지는 분위기입니다. 어느덧 4주째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4.13-19)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은 전주 평균(5584원)보다 110원(2.0%) 오른 5694원입니다. 3주 연속 상승입니다(관련 기사). 이 같은 도매가격 상승은 주당 도축두수가 5주 연속 하락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지난주의 경우 37만두대가 무너진 확실한 36만두대였습니다(36만5천). 한 달 전만 하더라도 38만두 중반대였으니 그 사이 2만두(-5%) 정도가 감소한 것입니다. 도축두수 감소는 상장두수 감소로 이어졌습니다(관련 기사). 경매비율 2% 붕괴가 임박한 수준입니다. 상장두수가 감소하니 경락가격(도매가격)이 오르는 것은 당연합니다. 이번주에도 도매가격 상승세는 계속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21일(월) 5695원 ▶22일(화) 5793원을 형성해 이틀간 평균 5742원을 기록 중입니다. 이는 지난주 평균(5694원)보다 48원 오른 가격입니다. 월요일 잠시 가격이 조정 국면에 들어가는 듯했으나 화요일 사실상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일일 도매가격을 또 경신한 결과입니다. 한편 최근 도매가격 강세·상승세와 무관하게 유통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이 이번주에도 상승하는 분위기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14일(월)과 15일(화) 도매가격은 각각 5703원, 5773원을 나타냈습니다. 이틀간 평균이지만 5738원으로 전주(5584원)보다 2.8% 올라 3주 연속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가격을 경신했습니다. 최근 주간 출하두수뿐만 아니라 경매두수가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관련 기사). 유통업계는 돼지고기 수요 자체가 증가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는 지난 14일 주간시황보고에서 '국내산의 경우 일부 부위를 제외하고 덤핑출현과 냉동생산증가가 지속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 '25년 4월 한돈산업 전광판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