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박사'로 유명한 김인호 교수(바이오융합대학 생명자원학부)가 단국대학교 첫 석학교수에 임명되었습니다. 석학교수는 정년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연구와 후학 양성에 매진할 수 있습니다. 김인호 교수는 국내 돼지 및 반려동물 사료 가공의 개척자이자 동물생명공학 분야 세계적 권위자입니다. 김 교수는 무항생제 양돈사료와 저탄소·친환경사료를 개발해 우리나라 돼지 ‘한돈’의 위상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2000년 임용 이후 지금까지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저널에 실린 논문의 건수만 644건에 달합니다. 스코퍼스(SCOPUS)저널 및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를 모두 포함하면 873건이 넘습니다. 한국연구재단 및 다국적기업을 통해 수주한 연구비만 총 310억 여 원에 이릅니다. 김 교수가 이끄는 대학 부설 스마트동물바이오 연구소에는 한국·중국·베트남·네팔·인도 등 다양한 국가의 석·박사생들이 재학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배출한 석·박사생은 130여 명에 이르고, 30여 명의 졸업생이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 충북대, 경북대, 중국사천농대 등 교수로 임용돼 우수한 연구역량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김 교수는 지난 20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유욱준·이하 한림원)과 카길애그리퓨리나 문화재단(이사장 박용순·이하 카길문화재단)은 ‘제7회 카길한림생명과학상’ 수상자로 김인호 단국대학교 동물자원학전공 교수와 윤철희 서울대학교 동물생명공학전공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상은 글로벌 동물영양 전문기업 카길애그리퓨리나가 후원하는 카길한림생명과학상은 농·수·축산학 분야에서의 탁월한 연구업적으로 해당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훌륭한 과학기술인을 발굴·포상하고자 지난 2015년 제정되었습니다. 최근 5년 이내 연구성과를 중점 평가하여 매년 2명의 수상자를 선정하고, 상패와 상금 각 2천만원을 수여합니다. ‘돼지 연구의 대가’로 꼽히는 김인호 교수는 특히 양돈 사료·영양 분야의 세계적 연구자로서 동물사료 가공 및 생산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성과를 창출하여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 특히 무항생제 양돈사료를 개발하고, 돼지 사육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인 새끼돼지의 성장성 향상을 위한 사료 연구와 관련 기전 규명 등을 통해 국내 양돈 시스템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높게 평가받았습니다. ‘동물 면역학 전문가’ 윤철희 교수는 가축 등 경제동물의 면역 반응 조절 연구 등을 통해 사회경제적으로 피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