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검사 의뢰된 돼지 시료를 대상으로 제주도에서 살모넬라증의 발생 상황을 조사하였다. 살모넬라증의 주요 임상 증상, 병리학적 특징 및 다른 병원체와의 혼합 감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살모넬라균 혈청형의 동정을 위하여 분리된 균체와 파라핀 조직 블록을 이용한 PCR검사를 하여 제주도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살모넬라 균체의 혈청형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제주도 내 돼지 농장에서 의뢰된 총 1,191두의 시료 중 155두(13.0%)가 살모넬라증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계절별로는 겨울철(19.4%)보다는 여름철(36.1%)에 더욱 빈발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계절 구분없이 연중 발생하고 있었다. 의뢰된 돼지의 연령별로는 4~8주령 및 8~12주령이 각각 89두(57.4%) 및 48두(31.0%)로 나타나 약 90%의 살모넬라증이 주로 이유 후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2주령 이상의 육성돈에서는 살모넬라증이 5.8%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매우 어린 4주령 이하의 포유자돈에서도 6두(3.9%)가 살모넬라증으로 진단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 따르면, 돼지 살모넬라증에서 가장 흔한 병변은 대장의 궤
한돈산업에 실제적으로 가장 많은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질병이 있습니다. 바로 PRRS입니다. 지난해 돈군에서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PRRS 불안정화' 상태의 양돈농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RRS 불안정화 농장은 안정화 농장에 비해 번식 및 출하성적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도드람양돈농협 동물병원(이하 도드람동물병원)이 발간한 '2024년 연구사례집'에서 확인되었습니다(관련 기사). 도드람동물병원은 지난해 126개 조합농가가 의뢰한 검사시료를 가지고, 농장을 PRRS 음성, 안정, 불안정으로 나누었습니다. 그 결과 음성 농장는 11.11%, 불안정 농장은 22.22% 비율로 나타났습니다. 나머지는 사육구간별(이유-40일, 40-70일, 70일 이후) 안정 농장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지난해 음성 농장 비율 11.11%는 '22년 7.62%(전체 105농가 중), '21년 9.09%(전체 88농가 중)보다 늘어난 수준입니다. 불안정 농장 22.22%도 마찬가지입니다. '22년과 '21년 불안정 농장 비율은 각각 13.33%, 13.64%였습니다. 요약하면 지난해 PRRS 불안정화 농
PRRS 바이러스 모니터링 결과 북미형(PRRSV-2)이 유럽형(PRRSV-1)보다 압도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럽형과 복합감염 비율이 크게 감소해 이전과는 다소 다른 양상입니다(관련 기사).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는 병성감정기관에 의뢰된 시료를 대상으로 지난해부터 '국내 PRRS 바이러스의 감염·발생 모니터링 및 변이양상 분석'을 주제로 연구를 추진 중입니다. 중간 결과 시료를 맡긴 346농가 가운데 299농가가 PRRS 양성을 보여 농장 양성률은 68.6%로 파악되었습니다. 10농가 가운데 7농가 꼴이여서 대다수의 농가에서 PRRS가 다양하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시료 양성률은 거의 절반 수준입니다(49.7%, 시료 1,368건 가운데 680건). 검역본부는 양성 시료에 대해 유전자형 분석을 하였는데 북미형이 76.9%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유럽형은 19.6%, 북미형과 유럽형의 혼합 감염은 3.5%로 나타났습니다. 북미형이 우세하나 지역적으로는 모든 지역에서 북미형과 유럽형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또한, 북미형은 Lineage1(47.4%)이, 유럽형은 subtype1A(82%)가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