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세바(CEVA)에서 운영하는 ‘Ceva Swine Health Portal’에 실린 글을 번역 및 편집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필자 주] 1. 신생자돈 설사 진단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 신생자돈의 설사는 여러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문제 해결이 어려울 수 있으며, 진단 또한 매우 까다로워질 수 있다. √ 설사의 시기 설사는 일차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관련 병원체가 무엇인지에 따라 발생하는 시기가 달라진다. 예를 들면, 콕시듐증은 보통 7일령에 나타나며, 5일령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클로스트리듐증과 대장균증은 조발성으로 나타나는데, 초기 설사의 경우 특정 병원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초유섭취의 부족이 더 큰 원인이 되는 케이스가 많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설사는 보통 2주차에 발생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전염성위장염(TGE)을 한 번도 접하지 않았던 돈군에서 전염성위장염(TGE)가 발생하는 경우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이 경우엔 매우 어린 자돈에서도 짧은 잠복기(약18시간)를 거친 후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퍼진다. 설사 발생 시기는 중요한 단서이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신생자돈 설사의 원인을 확정적으로 판단해서는 안된다. 환경과
정부가 ‘ASF 발생 최소화’라는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서 앞으로 ASF 방역관리를 연중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양돈밀집단지, 법인 소유 대규모 농장 등에 대해서는 점검과 예찰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ASF 대응을 위한 민관학 전문가 협의회도 만들 예정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SF 방역관리 강화방안'을 지난 29일 발표했습니다. 농식품부는 먼저 봄·여름·가울·겨울 1년 연중 위험시기별 세부 방역관리 방안을 사전에 마련하여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봄‧가을에는 오염원 유입 차단을 위한 취약농가 점검 및 방역수칙 홍보에 힘쓰고, 여름에는 장마‧태풍 등 재난 발생 단계(전‧중‧후)별 방역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사전에 대비하고, 겨울에는 한파에 대비하여 소독장비 동파 방지 방안 등 방역수칙을 홍보하고 점검할 예정입니다. 농식품부는 또한, 경기 북부‧강원, 양돈단지, 법인농장 등 발생 우려 지역을 집중 관리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들 지역에 대해 검역본부‧지자체 합동으로 집중 점검 및 상시 예찰하고, 도로 소독 차량을 추가로 배치합니다. 접경지역 소독도 강화합니다. 혈액 시료 외에도 의심증상이 있는 개체나 타액 등 검출 가
모돈의 백신 접종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질문국가: 대한민국) PRRS 불안정 농장에서 간헐적인 유산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돈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분만 전 모돈들에 다른 백신 접종을 중단할 것도 고민하고 있다. 모돈에서 백신 접종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접종 스트레스가 적은 백신을 선택하는 요령은 무엇일까? 임신 말기 모돈에게 백신을 하는 것은 항상 고민스러운 문제이다. 특히, PRRS가 불안정한 돈군의 경우 모돈마다 1두 1침 원칙을 적용하지 않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은 모돈 개체 간 바이러스 전파가 쉽게 일어나도록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백신 접종 과정에서의 질병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무침주사기를 활용하거나 각 모돈마다 바늘을 교체하여 접종하는 것이 권장된다. 무침주사기를 사용할 경우 백신 접종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스트레스와 유산 위험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번식돈군 내에서의 바이러스 순환을 약화시켜 PRRS 안정화 상태 도달을 앞당길 수 있다. PRRS 문제가 없는 돈군에서도 드물게 백신 접종 과정에서의 스트레스로 유산이 발생할 수 있다. 백신 접종은 모돈에게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