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층 더 달아오른 한반도의 여름 기상청에서 5월 23일 발표한 올여름(6~8월) 기상 전망에 따르면 평년보다 기온은 높고, 강수량은 많을 것으로 예고하고 있다. 지난해 한반도 주변 바다인, 북서 태평양의 온도가 관측 사상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뜨거운 바다는 국내로 고온다습한 바람을 유입하는 기압계 형성에 영향을 주고 해수면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량을 높이며 비 구름대에 수분함량을 증가시켜 강수량을 늘어나게 한다. 유럽연합(EU) 기후변화연구소에서도 관측 사상 가장 더운 여름으로 기록된 지난해에 이어 올여름에도 불볕더위가 이어지고 심지어 올여름 더위가 더 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열받은 돼지, 먹고살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동물은 외부 온도가 높을 때 체열을 배출하기 위해 피부 혈관이 확장되고 땀의 분비가 촉진된다. 또한 혈액의 이동을 위해 심장 박동은 빨라지고 열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서 많은 공기가 필요하여 호흡이 가빠지게 된다. 특히, 돼지는 피부 지방층이 두껍고 땀샘 발달이 미흡하여 고온에 더욱 취약하다. 돼지가 고온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체내에 대사열이 과다하게 축적되면 뇌하수체의 체온조절 중추가 체온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뇌하수체의 식욕
맛의 기원을 찾아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최초로 '기본 맛'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러나 이 때는 단맛과 쓴맛, 2가지의 맛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인도의 고대 의학자인 '아유르베다'가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떫은맛, 매운맛을 기본 맛으로 규정하였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맛은 혀의 미뢰를 통해 느낄 수 있는 단맛, 짠맛, 신맛, 쓴맛에 감칠맛, 지방맛을 기본 맛으로 규정하고 있다. 떫은맛과 매운맛은 촉각에 의해 구분되기 때문에 별도로 분류되었다. 탄소, 수소, 산소, 질소에 맛이 있을까? 맛이란 미뢰의 수용체에 각각의 영양소 분자가 달라붙으면서 발생하는 신호를 신경과 뇌에서 각각의 맛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탄소, 수소, 산소, 질소에는 실제 맛이 존재하지 않지만 우리 뇌에서 구성 성분에 따라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및 지방맛으로 느끼는 것이다. 맛의 출처와 역할을 들여다보면 맛이란 동물이 생존을 위해 진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맛은 에너지와 영양소의 공급(단맛, 감칠맛, 지방맛), 식품의 위험성 경고(신맛, 쓴맛) 및 체내 전해질 균형 유지(짠맛)를 위해 발달하였다. 추가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