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병원균이 제어된 환경과 일반 환경에서 사육하는 돼지의 장내 미생물 군집을 비교해 병원균 제어 이종이식용 돼지의 장내 미생물 특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장내 미생물은 ‘제2의 게놈(유전체)’이라고 불리며 동물의 성장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음식물 소화와 영양소 흡수뿐만 아니라 면역 체계 조절과 병원균 성장을 억제하고 대사증후군이나 암, 자가면역질환 등 질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진은 사육환경에 따른 장내 미생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 환경과 병원균 제어 환경에서 사육한 18개월령 이종이식용 돼지의 미생물 군집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일반 환경에서 사육하는 돼지(Non SPF)의 장내 미생물이 병원균 제어 환경에서 사육하는 돼지(SPF)보다 다양함을 확인했다. 사육환경에 의해 여러 미생물에 노출될수록 돼지 장내 미생물의 구성도 다양해진다는 사실을 파악했습니다. 특히 섬유질 발효로 생성되는 에너지원인 '단쇄지방산(SCFAs)' 합성에 관여하는 prevotella 속(genus)은 일반 환경에서 사육한 돼지의 장내 미생물 군집에 13.1%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본 자료는 중국 농업농촌부가 각종 유형의 생산경영자들에게 ASF에 대한 정확한 예방·제어 지침 지도를 통해 생물안전(Biosecurity; 차단방역) 수준을 제고하고 바이러스 전파 경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2020년 8월 10일 발표한 'ASF에 대한 일상 예방 및 제어 기술지침'을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번역 요약한 것입니다. -돼지와사람]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한 일상 예방 및 제어 기술 지침 (非洲豬瘟常態化防控技術指南(試行版, 20.8.10) Ⅰ. 사육생산단계 ■ 중소형 돼지사육농가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요점 ■ 대규모 돼지사육장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지침 ■ 사료 생산경영 장소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요점 ■ 돼지산업과 관련된 인력의 동물방역 행위규범 Ⅱ. 조달운송 및 도축단계 ■ 돼지 매입, 운송판매 및 계약운송 행위규범 ■ 돼지 운송차량 세척 및 소독 기술요점 ■ 돼지 도축단계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요점 Ⅰ. 사육생산단계 중소형 돼지사육농가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요점 1. 목적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돼지 사육업에 심각한 위해를 가하는 전염병으로 현재로서는 안전하고 유효한 예방용
신생 자돈의 설사 발생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설사병의 원인이 다양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어느 부분을 가장 중요하게 관리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앞으로 8회에 걸쳐 설사병 통제를 위해 고려해야할 영역들에 대한 해외 전문가들의 생각을 소개하고자 한다. [신생 자돈 설사 예방을 위한 관리 방안] 1. 설사 예방을 위한 분만사 환경 점검 포인트(바로가기) 2. 자궁내 성장 제한(IUGR)과 초유 섭취의 관계(바로가기) 3. 모돈의 초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사료 급여 방안(바로가기) 4. 자돈의 초유 섭취량 극대화를 위한 관리 방안(바로가기) 5. 자돈 설사병과 모돈 산차의 관계(바로가기) 6. 소화기 질병 진단을 위한 올바른 가검물 채취 방법(바로가기) 7. 대장균 설사병의 발병 기전 이해하기(바로가기) 8. 올바른 백신 접종 방법과 백신 적용의 효과(바로가기) 이번 회차에서는 그 영역 중 하나로, 스페인의 시설·환경 전문 수의사인 Joan Escobet(Confort Porcino)이 말하는 ‘양돈 시설의 편의와 에너지 효율 최적화 전략’의 분만사 환경 관리 관련 내용을 발췌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대장균증은 원인이 다양한 질병이므로, 예방과 컨트롤을 위해서는 모든
'양돈의 4대 과제 - 냄새, 질병, 분뇨, 생산성 등의 해결을 위해서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합니다.장내미생물 제어가 해결의 실마리입니다.' - 전북대학교 허재영 교수 지난 17일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에서 개최된 '양돈장 경영자 초청 우수양돈농가 영농기법 개발 매뉴얼 워크숍'에서전북대학교 허재영 교수는 '미생물 관리와 양돈장 사양관리 기술'이라는 제목의 주제 발표를 통해 장내미생물 제어로 양돈현장의 고질적인 문제를 풀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허 교수는 '돼지의 장(腸)은 사료 소화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유익균과 유해균이 매일 경쟁하는 장(場)이기도 하다.'며 '누가 승리하냐에 따라 소화의 정도도 달라지고 변의 형태나 냄새도 달라진다.'고 말했습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장내 유해균이 유익균보다 우세할 경우 사료 소화 효율도 떨어지고 암모니아나 황화수소 등의 악취가 더 많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유익균이 우세할 경우는 그 반대입니다. 허 교수는 양돈현장의 4대 과제인 질병, 분변, 냄새, 생산성 등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미생물을 보는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한다고 피력했습니다. 허 교수는 '장내 미생물 제어는 질병 예방의 최전선이며 대장은 가축 분뇨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