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타바이러스(RV)는 흔한 돼지 병원체이자 자돈 설사의 중요한 원인이다. 10가지 RV 혈청 그룹 중 로타바이러스 A(RVA), 로타바이러스 B(RVB), 로타바이러스 C(RVC)가 돼지를 감염시키는 주요 RV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자연 계획 노출(NPE; natural planned exposure, 피드백)' 후 모돈에서 로타바이러스 A(RVA), 로타바이러스 B(RVB), 로타바이러스 C(RVC)의 배출 패턴을 파악하고 자돈 이유체중, 이유 전 폐사율, 바이러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NPE는 RVA와 RVC가 포함된 죽을 모돈에 투여해 실시했다. 총 70마리의 임신 모돈을 4개 그룹으로 배정했다. 그룹 1은 분만 전 5주, 4주, 3주에, 그룹 2는 5주, 3주에, 그룹 3은 5주에 NPE를 실시했다. 그룹 4(대조군)는 NPE를 실시하지 않았다. 이들은 5~6마리씩, 같은 처리 그룹의 모돈끼리 같은 돈방에 수용했다. 모돈은 분만 전후 주 1회, 총 12회 대변 샘플을 채취했다. 자돈은 생후 24시간부터 6주령까지 매주 대변 샘플을 채취했다. 이들 샘플을 대상으로 '정량 역전사효소-중합효소 연쇄 반응(qRT-PCR)'으로 RVA,
농장은 생산성적 향상도 어렵지만, 이를 지속하기도 어렵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번식·자돈 성적에 영향을 주는 'PPS'와 같은 바이러스 질병 관리에 실패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PPS는 PRRS와 PED, SI(돼지인플루엔자) 등을 뜻합니다. 우선 차단방역을 통해 이들이 농장 내 유입을 막는 것을 예방합니다. 바이러스가 들어왔다면 백신 및 항바이러스제, 면역증강제, 피트비우기 등을 활용해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특히 PED의 경우 무분별한 인공감염 시도를 삼가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2014년 이전에 유행했던 G1a 타입의 1세대 백신으로 현재 유행 중인 G2b 타입(야외바이러스)에 대한 교차방어 어려움
지난 시간(바로보기)에는 PED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우리 농장에 PED가 발생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PED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 A 부터 Z까지!! 오늘은 무조건 보셔야 하는 영상이니 끝까지 집중해서 시청해주세요.
"(인공감염은) PRRSV나 PCV2 그리고 기타 세균들의 혼합 감염 위험성이 있을 수 있고요. 무엇보다도 바이러스의 농장 내 순환 위험성이 있어서 철저한 소독관리를 하지 않으면 바이러스의 상재화하고, 이에 따른 바이러스의 변이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질병의 상재화 요인이 될 수 있고,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백신의 장애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이 단점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종수 교수(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먹이는 PED-X Live'와 'PED-X' 조합은 인공감염의 단점들을 모두 해결했습니다. 바이러스의 독력을 약화시켰기 때문에 병원성이 유발되지 않고, 바이러스가 몸 밖으로 배출되지 않아 농장에서 재발하는 현상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이러스의 변이도 유발되지 않아 백신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먹이는 PED-X Live(1차)' – 'PED-X(2차)' – 'PED-X(3차)' 백신 프로그램은 지금 유행 중인 PED 바이러스에 대항하여 전 세계에서 중앙백신연구소만이 제공할 수 있는 상용화된 최적의 면역 솔루션입니다. [PED-X] 먹이는 PED-X LIVE와 PED-X -1편: PED는 왜 위험한가?(바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