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에서 부족한 도축검사관 역할을 민간수의사에게 위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나서 주목됩니다. 경상남도 동물위생시험소(소장 정창근)는 최근 수의직 공무원 결원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인력 확보 방안으로 닭·오리·염소 등 소규모 도축장에 대해서는 민간수의사 중 도축 업무에 전문성이 있는 자를 공수의 검사관으로 선발하여 도내 5개 도축장(가금류 4곳, 포유류 1곳)의 검사관 업무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시험소에 따르면 민간수의사에게 공적 업무 수행을 맡기는 것은 ‘도축검사 공영제’에 역행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으나, 시범 운영을 거쳐 올해 확대 시행한 결과, 전문성을 가진 민간 수의사와의 협업이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평가입니다. 도축검사관의 임무는 ▶작업장 안전관리 인증기준(HACCP) 운용실태 점검 ▶가축의 생체검사, 해체검사, 축산물 식용 적합 합격 처리 ▶부적합 식육의 폐기조치 ▶식육의 안전성 검사로 항생제 잔류물질 검사, 식중독균 등 미생물 검사 등 안전성이 확보된 식육만 유통되도록 엄격히 관리하는 막중한 역할입니다. 현재 경남에는 11개 도축장이 있으며 14명의 검사관이 근무 중입니다. 이들은 올해 평균 하루 소 600여 마리, 돼지 8500여 마
농축산용 미생물 제품의 수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한 ‘GMP 기반 미생물산업화 지원시설’의 준공식이 29일 열렸습니다. 전북 정읍에 위치한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미생물분야 그린바이오 거점기관)에서 운영하게 될 미생물산업화 지원시설은 총 100억 원(국비 50억, 도비 15억, 시비 35억)의 사업비를 들여 지상 3층에 연면적 1540㎡ 규모로 건립됐습니다. GMP 인증과 미생물 배양 장비, 정제·농축 장비, 건조·제형 장비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인기관이 인증하는 미생물 분야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려동물 펫푸드부터 비료와 작물보호제 등 농축산용 미생물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증합니다. 이를 통해 국내 농축산용 미생물 관련 기업체들의 고부가가치 제품생산과 해외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생물 분야 기업체들의 애로사항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오늘 준공되는 ‘GMP 기반 미생물산업화 지원시설’ 구축을 통해 소규모 기업이 고가장비의 투자 없이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수출 확대는 물론 그린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김정현 컨설턴트(신박한컨설팅그룹)는 최근까지 모돈 1800두 규모 농장 대표로서 생산성을 MSY 29두까지 끌어올리는 성과를 이룬 바 있습니다. 그는 높은 수준(PSY 30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농장 위치가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부득이 PRRS 바이러스가 유입되어 자돈 폐사가 많을 경우 디팝, 자돈위탁 등을 시도해볼 것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또한, 양돈현장의 시스템화을 강조했습니다. 관리자가 기본 원칙을 준수하도록 하고, 화재 및 안전사고 등과 같은 경영 위해요소를 최소화할 것을 조언했습니다. 기록은 반드시 정형화하고 전산은 현재형으로 운영할 것도 덧붙였습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