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 농가에서 육성률 향상은 단순한 생산성 개선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이유 전후의 자돈 상태는 돼지의 성장성과 사료 효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는 농가의 경제적 수익성과 직결된다. 특히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사양 관리와 과학적으로 검증된 첨가제를 활용하면 폐사율을 줄이고 자돈의 건강과 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기고에서는 분만사에서 발생하는 육성률 저하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첨가제 솔루션을 제시한다. MSY 1두 증가의 의미 2023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규모가 작은 농장은 지속적으로 손실을 보고 있는 반면, 대규모 농장은 규모의 경제 효과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고정비를 분산시키고 효율적인 운영 구조를 구축한 결과이다. 그 중에서도 MSY(Marketed-pigs per Sow per Year)의 중요성은 크다. MSY 1두 증가는 단순히 비육돈 1두의 추가적인 판매가 아닌 전체 비육돈 생산비에 있는 모돈의 고정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한돈협회에서 제시하는 24년 모돈 두당 고정 비용은 270만원 수준으로 이를 200두 규모의 농장 기준으로 계산하면 MSY가 1두 증가할수록 약3,37
타이타닉의 결말 영화 ‘타이타닉’은 1912년 4월 15일 빙산과 충돌하여 침몰한 타이타닉호의 사고를 바탕으로 두 남녀의 슬픈 사랑 이야기를 그렸다. 실제 타이타닉호는 빙산과의 충돌로 주갑판이 함몰되고 우현에 구멍이 나면서 구멍으로 물이 들어오기 시작하였고 2시간 40분 만에 완전히 침몰하였다. 이 과정에서 구명정에 타지 못하고 바다에 뛰어든 수많은 사람들은 수 분 내에 '저체온증'으로 사망하였다. 저체온증은 신체가 추위에 노출되는 환경적 요인이나 외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같은 질환 등의 이유로 방어 기전이 억제되면서 정상 체온을 유지하지 못하고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경우를 말한다. 저체온증은 계절과 무관하게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실제 2009년 7월 16일 일본 훗카이도의 토무라우시 산에서 등산객 8명이 저체온증으로 사망한 사고가 있다. 여름철에 발생한 산악 조난으로는 이례적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참사이다. 이러한 저체온증이 실내에서 사육하는 돼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겨울철에도 돈방의 단열 대책을 철저히 하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돼지의 일생에서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취약한 시기가 있다. 바로 갓 태어난 직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