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부종병 대장균은 포유자돈이나 성돈에서는 문제를 전혀 일으키지 않나요? 부종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대장이 부종병 대장균에 감염이 되어야 하는데, 이때 부종병 대장균이 보유하고 있는 가느다란 실 모양의 섬모(fimbriae, F18)가 장의 수용체(receptor)와 결합되면서 감염이 일어난다. 이러한 대장의 수용체의 숫자는 돼지 일령에 따라 다르다. 연구에 따르면 돼지는 태어나서 3~5주령까지 장에서 수용체가 증가하고, 그 후부터 23주령까지 유지된다(참고문헌 1, 2). 그래서 포유자돈은 감염에 필수적인 수용체가 아직 잘 발달하지 않아 부종병 문제가 유발되지 않는다. 보통 3~5주령 이상의 이유자돈 시기부터 부종병 대장균에 잘 감염이 되며, 주로 5~6주령 전후에 농장에서 부종병이 다발한다. 성돈의 경우에는 특별히 감염이 안되는 이유는 없다. 하지만 굳이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성돈의 경우 약 7.15리터의 혈액 양을 가지고 있어서 혈액에 흡수된 소량의 시가톡신(Stx2e)이 많은 양의 혈액에 희석될 수가 있어 부종병이 잘 유발되지 않는다고 추정된다. 다만 육성돈의 경우에는 부종병 대장균에 감염이 되면, 전형적인 부종병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준임
[질문] 우리 농장에 부종병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분변을 보내 PCR 검사를 의뢰하였는데, Stx2e(시가톡신)는 양성이고 F18은 음성이 나왔습니다. F18이 음성이니까 우리 농장은 부종병 발생 위험이 없다고 생각해도 될까요? 분변검사(PCR)에서 Stx2e가 양성이면 부종병 발병 위험이 높은 농장이다. 부종병을 유발하는 대장균은 F18이라는 가느다란 섬모를 이용하여 대장에 감염된 후 Stx2e 독소를 분비하여 부종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F18을 가지고 있어야 부종병을 유발하기가 쉽다. 하지만 대장균은 다른 여러가지 부착인자를 이용해서 대장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분변검사에서 Stx2e가 검출되면 농장에서 부종병 발병 위험이 높다고 봐야 된다. ※ PRDC 또는 위 기고 내용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세바코리아(070. 8277. 4747 / 카카오톡채널: 세바코리아 / cevakorea@ceva.com)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기존에 사용하는 대장균 백신으로 부종병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 ▶류영수 학장, '기존 설사 예방 대장균 백신, 돼지부종병 예방 효과 없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백신은 '베로독소 생성 대장균'이 아닌 '조발성 설사를 유발하는 대장균'을 타겟으로 한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는 대장균 백신으로 부종병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보통 대장균 백신에는 대장균의 부착인자(섬모)가 활용되는데, 부종병은 베로독소(VT2e)가 원인으로 밝혀져 있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물질에 대한 처방으로 독소기반 백신이 가장 효율적이다. 경험적으로 재조합 베로독소 백신이 없었던 과거에 부종병 폐사가 심한 농장에서 자가백신을 적용해 상당한 효과를 확인한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자가백신은 세균 전체를 통째로 넣어 생산하므로, 부종병의 원인인 베로독소보다 불필요한 단백질이 훨씬 많이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백신을 사용할 경우 불필요한 항원에도 면역세포들이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면역학적으로 백신의 효율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부종병과 혈관손상 예방을 위해 정확하게 베로독소만 포함된 백신을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에밀리 박사, '돼지부종병 예방 위한 백신, 베로독소 항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