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한두봉, 이하 연구원)은 다음달 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 그랜드홀에서 ‘2023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 발표대회’를 개최합니다. 연구원은 지난 2013년부터 매년 전국 규모의 식품소비행태조사를 통해 우리 국민의 식품소비행태와 식생활 및 식품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해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산자와 관련 업계, 담당 부처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정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 발표대회에서는 연구원 이계임 박사의 '식품소비행태조사 표본 특징과 조사 개요' 소개를 시작으로 모두 4개의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제1세션의 주제는 '가구 내 식품구입 및 소비행태 분석'입니다. 관련해 ▶가구 내 식품소비행태 분석(김상효 박사, 연구원) ▶소비자의 체감 물가수준 인식이 식품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안병일 교수,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식생활 교육 경험이 농식품 소비자 역량을 향상시키는가?(이지용 교수, 강원대학교 농업경제학과) 등의 내용이 발표됩니다. 이어 제2세션의 주제는 '외식 소비행태 분석'입니다. ▶소비자의 외식 행태 및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실태 분석(최윤영 박사, 연구원)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시
지난 19일과 20일 이틀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 주최로 '농업전망 2022' 행사가 온라인으로 열린 가운데 올해 돼지 수급 동향과 전망도 발표되었습니다. 앞서 지난달 농업관측센터가 밝힌 전망치와 거의 비슷했습니다(관련 기사). 먼저 농경연은 올해 연평균 돼지 사육 마릿수는 지난해(1,127만 마리)보다 0.6% 증가한 1,133만 마리로 전망했습니다. 지난해 가격 상승 영향으로 모돈 사육 의향이 높아진 여파입니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모돈 마릿수 증가 추세가 둔화되면서 연말에는 전년에 비해 사육두수가 소폭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에 올해 돼지 등급 판정 마릿수는 전년 대비 0.2% 증가한 1,839만 마리, 돼지고기 생산량은 99만1천 톤으로 각각 예측되었습니다. 올해 돼지 도매가격은 등급 판정 마릿수와 수입량 증가에 따른 국내 공급량 증가로 2021년(4,722원)보다 하락한 4,300~4,500원/kg으로 전망되었습니다. 2022년 이후에는 국내 생산량과 수입량 모두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제 성장에 따른 소득 증가, 육류 소비 증가 등으로 가격 상승세를 보이며, 2026년 4,500~4,700원, 2031년 4,700~4,900원으로
내년 한돈산업을 포함해 농업 전반에 걸친 변화와 흐름을 조망해 볼 수 있는 '농업전망 2021' 발표대회가 오는 1월 20일 개최됩니다. 농업전망 발표대회는 국내외 농업의 발전방향을 논의하고 품목별 발표 및 토론을 통해 농업인과 소통·교감하는 기회의 장으로 농업계의 최대 행사이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주관으로 열립니다. 이번 발표대회는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라는 주제로 열리는데 최근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당일 오전 10시부터 4시 40분까지 온라인으로 열립니다. 당일 행사는 모두 3부로 나누어 진행되며, 제1부에서는 내년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제2부에서는 농업 관련 정책, 제3부에서는 산업별 이슈와 전망과 관련해 각각 발표와 토론이 펼쳐집니다. 한돈산업이 가장 관심을 가질 '돼지 관련 수급 동향과 전망 발표'는 제3부에서 다루어집니다. 행사 참여는 누구나 무료로 가능하며, 농업전망 2021 홈페이지(바로가기)에 사전 회원 가입 후 20일 당일 온라인을 통해 시청하면 됩니다. 기타 행사 관련 문의는 농업전망대회 사무국(070-4647-4060/chang20200316@daum.net)으로 연락하면 됩니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 이하 농진청)은 26일 오후 2시 온라인으로 진행될 '2020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를 앞두고 지난 10년간의 농식품 소비 행태 변화를 미리 요약·정리해 발표했습니다. 농진청은 지난 10년간의 농식품 소비 형태가 ‘젊은 소비, 건강 중시, 간편 소비, 먹거리‧구매 장소 다양화’로 변화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누적된 전국 1,486가구의 구매 영수증이 부착된 가계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것입니다. 젊은소비 20대의 농식품 구매액은 68%, 30대는 30% 증가해 젊은 층이 새로운 농식품 구매의 주체로 등장했습니다. 특히 축산물과 가공식품 구매증가 추세가 두드러집니다. 2030세대의 축산물 구매비중은 46.3%로, 4050세대의 35.7%보다 약 10%p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대의 가공식품 구매액도 지난 10년간 76% 증가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신선식품 감소폭‧가공식품 증가폭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강중시 농식품 구매 시 주요 고려사항은 안전한 농식품, 건강 증진, 영양성분 등으로 나타나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유행을 반영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특히 6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