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축산전문기업 선진(총괄사장 이범권)이 다가 올 하절기를 대비하여 출하지연을 예방하고, 고객농장의 성적향상에 기여하고자 ‘첫 출하 150일’ 챌린지를 시작한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양돈산업은 계절적 수요에 따른 돈가 변화로 인해 하절기 성적향상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은 돼지의 출하일령과 증체를 지연시켜 농장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한돈전산경영관리시스템 '한돈팜스'에 따르면 6~10월 국내 양돈장의 돼지 출하는 200일령이 넘어 출하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선진은 고객 농장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고자 ‘하절기 첫 출하 150일’ 챌린지를 마련했습니다. 이번 챌린지는 선진의 양돈전산관리 프로그램 ‘피그온(Pig-On)’을 통해 수집된 자료 중 하절기 출하성적이 우수한 농장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안되었습니다. 선진은 선제적인 관리가 가능한 ‘첫 출하 일령’을 150일령으로 맞추는 것을 제안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컨설팅 진행에 나설 예정입니다. 첫 출하일령을 150일령으로 맞출 경우 하절기 평균 출하일령을 170일령으로 안정적인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선진은 출하일령 관리를 위해 ▲급이기 및 급수기의 관리
일령별 돼지의 목표하는 성장(체중)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료뿐만 아니라 물 급이가 중요합니다. 이 때문에 니플 급수기의 경우 돼지의 성장에 따라 니플의 높이를 적절하게 바꾸어줘야 합니다. 관리자에겐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닙니다. 돈방 내 서로 다른 크기의 돼지가 함께 있는 경우는 더욱 그러합니다. 최근 정현규 박사(도드람양돈농협 고문)는 ASF 방역과 관련한 발표(관련 기사)에서 아시아의 대표적인 양돈기업인 CP 농장의 특이한 니플 급수기 구조를 소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돈방 내 니플을 높이별로 여러 개를 달아놓은 모습입니다. 돼지가 가장 편한 높이의 니플을 선택해 물을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이에 관리자는 니플의 높이를 따로 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관리자가 초심자여도 상관없습니다. 다만, 정기적으로 니플이 막혔는지, 수압이 정상인지만을 확인하면 됩니다. 정현규 박사는 이를 두고 "발상의 전환'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