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대관령 22.1℃
  • 구름조금북강릉 25.7℃
  • 구름조금강릉 27.3℃
  • 구름많음동해 24.9℃
  • 맑음서울 26.6℃
  • 맑음원주 25.2℃
  • 맑음수원 26.7℃
  • 구름많음대전 25.0℃
  • 구름조금안동 25.6℃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구름많음고산 25.2℃
  • 구름많음서귀포 29.5℃
  • 맑음강화 25.7℃
  • 맑음이천 25.1℃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김해시 25.1℃
  • 구름많음강진군 26.3℃
  • 구름많음봉화 24.5℃
  • 흐림구미 23.4℃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창 24.3℃
  • 흐림합천 23.7℃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초록] 한국 토종돼지 사육 현황

토종돼지, 한국에서 역사적 의미를 가진 존재로 품종 유지 필수적.....품종 개량 여전히 과제

한국 토종돼지는 수세기 동안 농촌 지역에서 주로 사육되어 온 전통 가축 중 하나이다. 토종돼지는 오랫동안 한반도의 기후와 지형에 적응하여 혹독한 환경에서도 뛰어난 적응력을 발휘해 왔다. 이러한 이유로 토종돼지의 보존 및 정제는 고유 유전자원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

 

 

본 리뷰에서는 토종돼지의 특성, 생산 현황, 상업적 가치, 그리고 잠재적인 육종 방향을 다루었다. 하지만 토종돼지의 개량을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 현재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품종 개량에 전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리뷰의 각 부분은 관련 연구 및 데이터를 전체적인 결과에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토종돼지의 유전적 다양성, 생산성, 유전적 보전, 생태적 역할, 그리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토종돼지 사업의 미래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native pig production, 이에스더(경상국립대학교) 외,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2023] 

 

번역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 대표 사진은 제주재래흑돼지 사진임(출처 국립축산과학원)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3,158,825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