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최민지)가 2024년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산정한 결과를 19일 ‘발표했습니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확정치(2024년도 확정치는 2026년 하반기 공개)보다 1년여 앞서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추산해 2020년부터 매년 공개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산정 결과, 지난해 우리니라 온실가스 잠정배출량(2006년 IPCC 지침 기준)은 6억9,158만톤입니다. 전년 잠정배출량 대비 1,419만톤(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문별 배출량은 ▶전환 부문 2억1,834만톤 ▶산업 부문 2억8,590만톤 ▶건물 부문 4,359만톤 ▶수송 부문 9,746만톤 ▶농축수산 부문 2,556만톤 ▶폐기물 부문 1,752만톤 등입니다. 산업 부문을 제외하고 전년 대비 모두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농축수산 부문 배출량은 전체 배출량의 3.7%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2.7% 줄었습니다. 소·돼지 등 가축 사육두수 및 벼 재배면적이 감소한 영향입니다. 온실가스를 흡수․저장하여 총배출량을 상쇄하는 흡수량은 4,016만톤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습니다. 이는 주요 흡수원인 산림 부문에서 산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정은해)가 지난해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발표했습니다. 축산에서의 배출량은 여전히 전체 대비 미비한 가운데 '21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 5,450만 톤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3.5% 감소(2360만톤)한 수준입니다. 배출 정점인 2018년의 7억 2,700만톤보다 10% 떨어진 수치입니다. 또한, 2010년 이후 가장 낮습니다.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원단위)’도 전년보다 5.9% 감소한 332톤/10억원으로 1990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부문별 배출량 변화를 살펴보면, 산업 부문이 2억 4580만톤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37.6%). 이어 전환 부문(발전 관련)이 2억 1390만톤(32.7%), 수송 부문이 9780만톤(14.9%), 건물 부문이 4830만톤(7.4%), 농축수산 부문이 2550만톤(3.9%), 폐기물 부문이 160만톤(2.4%), 기타가 71만톤(1.1%)의 순입니다. 지난해 대비 감소한 부문은 전환과 산업, 수송, 폐기물 등입니다.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