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2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대관령 -1.7℃
  • 북강릉 1.0℃
  • 흐림강릉 1.3℃
  • 흐림동해 3.1℃
  • 서울 3.2℃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대전 3.3℃
  • 안동 4.5℃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고산 10.9℃
  • 구름많음서귀포 13.4℃
  • 흐림강화 2.2℃
  • 흐림이천 3.7℃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김해시 7.1℃
  • 흐림강진군 8.7℃
  • 흐림봉화 5.0℃
  • 흐림구미 5.8℃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창 4.2℃
  • 흐림합천 7.3℃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누알사자] 내 농장의 돈군 흐름 모델(Pig Flow Models) 만들기(2)

버박코리아 양돈PM 이우선(woo-sun.lee@virbackorea.co.kr)

 

누구나 알고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막상 확실한 정답은 없는 양돈 사양관리 등에 관한 주제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열다섯 번째 원고의 주제는 ‘돈군 흐름 모델 - 두 번째’ 입니다.

 

1. ‘돈군 흐름(Pig Flow)에 대한 시나리오’ 에 대한 설명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이 시나리오에 나오는 숫자는 내가 가지고 있는 농장의 시설에 배치별로 돼지가 몇 마리가 있는 것이 이상적인지를 볼 수 있는 것이지, 이 정도의 시설만 가지고 있어도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몇몇 분들이 이 부분에서 헷갈려 하시면서 질문을 주셨기 때문에 그 질문에 대한 저의 의견을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을 드리는 것에 중점을 두도록 하겠습니다.

 

이 숫자를 이해하시는 것이 내 농장의 ‘돈군 흐름 모델’을 설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①후보돈 도입 후 교배까지

해당 시나리오에는 후보돈 도입 후 9주의 기간을 거쳐 교배를 한다고 표시해 놓았습니다. 그리고 후보돈 두수를 보시면 당장 이번 주에 교배가 들어가야 할 두수까지 포함해서 9주 물량 48두의 후보돈이 내 농장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물론 종돈을 받는 두수와 받는 간격에 따라 두수가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실 9주라는 이 기간은 다들 아시다시피 후보돈 도입 후 내 농장의 질병 등에 대한 순치 기간을 나타낸 것입니다. 순치에 관해서는 추후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만, 어쨌든 이 9주라는 기간은 논쟁의 여지가 많다고 생각하는 기간입니다. 왜냐하면 대한민국에서 ‘순치’라는 개념은 PRRS 바이러스(PRRSv) 양성 농장에서의 PRRSv 컨트롤과 가장 관련이 깊기 때문입니다.

 

통상적으로 돼지가 야외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이 돼지는 다른 돼지에 PRRSv를 감염시킬 수 있는 능력을 100일까지 가질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1)

 

감염 초기(~30일)에 배출되는 바이러스의 양은 감염 중기·후기로 갈수록 줄어들게 됩니다. 만약 감염 후기(60일~)에 배출되는 바이러스의 양은 다른 돼지에 미치는 영향이 적거나 없다고 해석한다면 순치 기간을 8주로 설정하여 교배 1주 전에 교배사로 이동시키면 내 농장 안에는 후보돈의 물량이 약 9주분이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반면 감염 후기(60일~)에 배출되는 바이러스의 양이 내 농장의 PRRS 안정화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면 순치 기간을 12주 정도로 설정하여 차단방역이 가능한 시설을 준비하면 됩니다.

 

 

한 연구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2) 120일령의 PRRS 음성(naïve) 후보돈 120마리에 PRRSv를 공격접종하고 90일간 차단방역을 잘 해준 후 이 돈군에 120일령의 PRRS 음성(naïve) 후보돈 30두를 다시 합사하고 이후 90일간 15일 간격으로 PRRSv 항원·항체 검사를 실시합니다.

 

그 결과 90일 이후 합사된 30마리의 후보돈에서는 이후 90일간 단 한건의 PRRSv 항원·항체 양성반응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즉, PRRS 음성 후보돈을 받아서 순치 작업을 시행한 후 최대 90일간 독립된 후보사에서 차단방역을 잘 해주면 이 후보돈들이 교배사에 들어가더라도 기존 돈군에 PRRSv를 재감염 내지는 순환감염 시킬 수 있는 매개체가 될 가능성이 확연히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지요.

 

PRRS 음성 혹은 양성 후보돈을 순치할 때 PRRSv 백신을 후보돈 도입 당시부터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면 PRRSv 배출 기간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있긴 하지만, 해당 내용은 PRRS 백신을 판매하고 있는 회사에 문의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시트에 보라색으로 표시된 주령인 교배 4주 전(23~25일 전)부터는 버바제스트를 사용하여 후보돈의 교배 일령을 집중시켜 주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 기간과 관련된 지표는 후보돈 도입 일령, 후보돈 첫 교배 일령, 그리고 후보돈 교체율입니다. 이 시트에서 내 농장의 상시모돈 두수는 678두 입니다. 그러므로 연간 후보돈 교체율을 40%로 가정해서 본다면 주별로 교배되어야 하는 후보돈의 숫자는 (678*0.4)/52≠5.2, 즉 5복 정도입니다.

 

시트에 숫자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입 7주 전에서 6주 전으로 내려올 때 1두의 후보돈 숫자가 사라집니다. 이는 폐사, 무발정, 혹은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도입된 후보돈 중 10% 정도가 교배되지 못한다고 가정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별로 도입되어야 하는 후보돈의 숫자는 6두(좀 더 정확히는 5.8두)가 되어야 합니다. 물론 좀 더 정밀하게 계산하여서 주별 5.2복이 교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9주 전에 주별 후보돈이 5.8두가 도입되어야 한다고 계산한 후 1년 52주로 후보돈 도입 계획을 운용하신다면 이 시트에 표시된 후보돈의 숫자보다 좀 더 적은 두수를 운용할 수 있을 겁니다.

 

②교배 복수

시트에서 교배복수는 35복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두수를 구하기 위해 적용된 지표는 분만복수와 분만율(재발교배비율, 임신 중 사고 비율 포함)입니다. 즉, 30복을 분만하기 위해서는 몇 복의 교배가 필요할지를 나타낸 것이며 계산식은 분만복수 30복 나누기 분만율, 즉 30/0.85≠35.3, 즉 35복 정도의 교배가 필요하다고 나타낸 것입니다.

 

그러면 이 35복의 교배복수는 어디서 오게 될까요? 계산식은 '이유모돈두수+번식돈군 편입 예정 후보돈 두수+재발정(주기적 재발+비주기적 재발) 모돈 두수–도태모돈 두수' 입니다.

 

교배복수를 잘 맞추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물론 후보돈의 두수를 잘 맞추어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는 도태모돈 두수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즉, 어쩔 수 없이 도태해야만 하는 모돈의 발생(지제불량 및 포유능력불량 등의 원인으로 도태되는 모돈의 숫자)을 줄여야 내가 원하는 숫자의 모돈을 도태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일정한 교배복수를 맞추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③하절기를 대비하여 필요한 교배 복수와 후보돈 준비 두수

통상적으로 하절기에 교배를 한 번식돈군은 분만율이 좀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저의 경험으로 비추어 볼 때 농장별로 분만율이 떨어지는 기간이 각각 다르거나 하절기 교배 모돈의 분만율이 거의 떨어지지 않는 농장도 있었습니다. 즉, 분만율이 떨어지는 기간과 이에 해당하는 기간의 분만율을 농장별로 확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트에 나오는 농장의 평상시 분만율은 85%, 그리고 7월, 8월 그리고 9월에 교배를 한 번식돈군의 분만율은 75%로 떨어진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즉, 재발 교배 비율은 7월 중순이나 말부터 증가(12%에서 21~22%)하여 10월 중순이나 말까지 늘어나고 임신 중 사고 비율은 늘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해 보는 것입니다.

 

7월 한 달동안 각 배치에서 교배를 시행해야 하는 두수는 분만복수 30복 나누기 분만율, 즉 '30/0.75=40복'이 됩니다.

 

그러면 이 40복은 어떻게 맞추어야 할까요? 계산식은 '이유모돈두수+번식돈군 편입 예정 후보돈 두수+재발정(주기적 재발+비주기적 재발) 모돈 두수–도태모돈 두수'이며 7월의 교배복수는 후보돈 두수를 증가시켜서 맞추어야 합니다. 즉, 늦어도 4월 부터는 후보돈 숫자를 준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7월 말부터 9월 말까지는 재발 교배 비율이 늘어나게 되니 교배복수를 맞출 때 후보돈 두수를 7월 교배물량만큼은 늘릴 필요는 없지만, 평상시 후보돈 교배 물량보다는 조금 늘려주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 기간에 재발이 발견된 모돈들 중 도태를 해야 하는 모돈의 두수가 늘어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누알사자 3회, 표 1 참조).

 

그리고 10월 초부터 중순까지의 교배 복수는 늘어난 '재발교배 모돈 두수'를 감안하여 후보돈의 도입 두수를 조금 줄여 주시거나 평상시에 도입되는 정도의 후보돈 숫자를 유지하시면 됩니다.

 

 

④분만사

이 시트에서 유일하게 시설의 개념이 적용된 것이 '분만사'와 관련된 것입니다. 시트에서 보시면 오렌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유일하게 내가 직접 써 넣어야 합니다. 여타 지표들이 관련되어 계산되는 다른 엑셀 칸과는 다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내 농장의 돈군 흐름 모델을 결정하는 목적은 명확합니다. ▶생산 원가의 최적화와 ▶올인-올아웃(All-in/All-out)' 시스템의 구축입니다.

 

'생산 원가의 최적화'는 내 농장에서 가지고 있는 분만틀을 최대한 채워서 자돈을 생산해 내는 것이 시작이며 이는 앞서 교배 복수를 맞추는 부분에서 설명을 드린 바 있습니다.

 

그리고 '올인-올아웃'은 분만사에서부터 시작하게 되므로 분만사에서는 배치별로 분만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배치별 분만복수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야 합니다. 좀 더 나아가 확실한 올인-올아웃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분만사에서 수세, 소독 및 건조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분만사-수세'라고 표시한 셀입니다. 물론 단점은 1개의 분만사 배치 시설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므로 그만큼의 비용이 더 들어가게 됩니다.

 

 

'4주 포유, 1주간 관리'의 경우 분만 대기 모돈이 분만사로 이동해 있는 기간을 줄이고 수세, 소독 및 건조를 최대한 빨리 한다면 5개의 분만사 배치가 운용되어도 됩니다. 6개의 분만사 배치를 운용한다면 수세, 소독 후 건조를 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되고, 분만 대기 모돈이 분만사로 좀 더 여유 있게 날짜를 잡고 전입할 수 있게 됩니다.

 

널리 알려진 대로 건조 기간이 길수록 병원체가 사멸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분만 대기 모돈이 적어도 5-7일 전에 분만사에 전입되어 있어야 안정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 분만 전 사료를 급여하는 프로그램을 짜는 데에도 좀 더 여유롭습니다. 이 부분은 3주간 관리를 하는 농장에서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회색: 모돈 전입 및 분만 대기, 초록색: 분만 후 이유까지, 빨간색: 수세, 소독 및 건조 기간). 

 

 

 

 

⑤자돈사 및 육성·비육구간

일괄관리농장 기준으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이유 후 자돈사로 들어간 돼지들은 통상적으로 1회 돈사 간 이동을 하게 되며(자돈사 → 육성비육사, 통상적으로 70~90일령 25~40kg 도달 시 1회 이동), 많게는 2회 이상 돈사간 이동(자돈사 → 육성사, 육성사 → 비육사)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돼지가 돈사 간 이동을 하게 되는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시설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것입니다. 축산법 시행령 별표 1의 축산업의 허가 및 등록 요건에 보시면 이유자돈의 성장단계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은 0.3m2이며 육성돈(30kg~60kg)의 두당 면적은 0.45m2이고 비육돈(60kg~)의 두당 면적은 0.8 m2입니다.

 

이유 후 출하 때까지 한 방에서 돼지가 계속 크는 것(wean-to-finish)보단 돼지를 한 번 이동해 주는 것이 돈사 면적을 좀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모두들 아실 겁니다.

 

두 번째는 '올인-올아웃'을 통한 병원체의 순환감염 고리를 끊어주기 위해서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돈군 흐름 모델을 결정하는 목적(생산 원가의 최적화와 올인-올아웃 시스템의 구축)과 매우 부합하는 이유입니다.

 

다만 여기에서 시설에 관련된 부분을 하나만 말씀드린다면, 배치별 공간은 돼지끼리 서로 접촉할 수 없도록 해 주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서로 다른 배치별 돈군이 서로 접촉하게 되면 병원체의 감염 기회가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2. 돈군 흐름 모델 결정의 예3)

 

돈군 흐름 모델을 결정하는 상황을 간단히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①상황

- 101개의 분만틀을 가지고 있으며 분만사는 3개의 동으로 나누어져 있음. 각 분만동은 40, 40, 21개의 분만틀을 가지고 있음.

- 이 농장은 4주 포유 시스템을 갖추고는 있으나 올인올아웃 시스템은 아님.

 

②변화 제안

- 40개 분만틀을 가지고 있는 분만동 2개를 20개의 분만틀을 가지고 있는 4개의 분만동으로 변경함.

-이때 환기 시스템의 변화는 최소화.

 

③해당 농장 돈군 흐름 모델 변화 후

  

3. 결론

 

위에서 나온 예처럼 단지 분만동을 나누기만 한다면 괜찮은 돈군 흐름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돈군 흐름의 변경이 필요한 대부분의 농장의 경우 어쩌면 시설 투자까지도 필요한 복잡한 상황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므로 현재 내 농장의 상황을 좀 더 정밀하게 파악하고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내 농장을 파악할 수 있는 전문가의 도움을 반드시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참고자료

1) prrs.com

2) Batista L, Dee SA, Rossow KD, Deen J, Pijoan C. Assessing the duration of persistence and shedding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in a large population of breeding-age gilts. Can J Vet Res. 2002;66(3):196-200.

3) www.carrsconsulting.com

 

 

※그림1. 엑셀 원본이 필요하시면 필자(woo-sun.lee@virbackorea.co.kr)에게 연락하시면 됩니다 - 돼지와사람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9,143,512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