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3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대관령 -1.7℃
  • 북강릉 1.0℃
  • 흐림강릉 1.3℃
  • 흐림동해 3.1℃
  • 서울 3.2℃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대전 3.3℃
  • 안동 4.5℃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고산 10.9℃
  • 구름많음서귀포 13.4℃
  • 흐림강화 2.2℃
  • 흐림이천 3.7℃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김해시 7.1℃
  • 흐림강진군 8.7℃
  • 흐림봉화 5.0℃
  • 흐림구미 5.8℃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창 4.2℃
  • 흐림합천 7.3℃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누알사자] 내 모돈의 산차별, 체평점별 '발정지속시간'을 알자

버박코리아 양돈PM 이우선(woo-sun.lee@virbackorea.co.kr)

 

누구나 알고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막상 확실한 정답은 없는 양돈 사양관리 등에 관한 주제에 대하여 여러 가지 관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아홉 번째 원고의 주제는 ‘이유모돈의 발정 지속시간에 관한 고찰’입니다.

 

 

이유모돈의 발정 지속시간에 대한 고찰 

 

앞선 글에서 발정재귀일령에 관한 글(바로가기)을 기고한 바 있습니다. '발정재귀일령'은 모돈이 이유를 한 후 발정이 다시 보이는 시간(승가 허용)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말이며 이유모돈의 발정 지속시간은 발정이 보인 후 그 발정이 사그라들 때까지의 기간을 일컫는 말입니다.

 

3산차에서 6산차(혹은 7산차)까지의 모돈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은 '발정재귀일령'이 짧은 모돈(3일차 까지의 발정은 발정재귀 일령이 짧은 것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볼 수 있음)은 발정 지속시간이 길며, 재귀일령이 긴 모돈(6일차 오후 발정부터 7일차 발정까지, 길게는 8~10일차 발정까지를 통상적으로 의미함)은 발정 지속시간이 짧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유모돈의 발정 지속시간이 왜 중요할까요? 당연히 '교배 타이밍'에 관련되어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이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는 이유모돈의 발정 지속시간과 교배 타이밍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1. 발정 지속시간과 교배 타이밍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

 

어떤 상황을 가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 4산차 모돈 6마리가 있습니다. 6마리 모두 분만 전 체평점은 3.5 정도였으며, 이유시 체평점은 2.5 정도이고, 모두 14두의 자돈을 포유하기 시작해서 13두를 이유했습니다. 그리고 목요일 오전 8시에 이유를 하였으며 목요일부터 일요일 오전까지 포유돈 사료 기준 일일 3kg의 사료를 잘 먹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 이제 이 모돈들을 임의대로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으로 명명하겠습니다.

 

- 1번 모돈은 일요일 오후 3시에 발정이 확인되었습니다.

- 2번 모돈은 월요일 오전 8시에 발정이 확인되었으며

- 3번 모돈은 월요일 오후 3시에 발정이 확인되었습니다.

- 4번 모돈은 화요일 오전 8시에 발정이 확인되었으며

- 5번 모돈은 화요일 오후 3시에 발정이 확인되었습니다.

- 그리고 마지막 6번 모돈은 수요일 오전 8시에 발정이 확인됩니다.

 

만약 100명의 교배 담당자분들께 설문조사를 한다고 했을때 1, 2, 3, 4, 5, 6번 모돈의 첫 교배는 언제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한 결과는 어떻게 나올까요? 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1번 모돈은 월요일 오후, 2번 모돈은 월요일 오후/화요일 오전, 3번 모돈은 화요일 오전/화요일 오후, 4번 모돈은 화요일 오후, 5번 모돈은 확인 즉시, 6번 모돈도 확인 즉시라는 답변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교배에 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이론적인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배란은 발정 기간의 2/3 시점에서 이루어지며 배란 12시간 전에 첫 교배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좋다.’1)2)

 

 

아래 '표 1'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교배를 실시하는 기준을 명시해 놓았습니다.

 

표 1. 이유 후 재귀발정 확인 일령과 교배 프로그램3)

 

첫 교배

(발정 확인 후 시간)

두 번째 교배

(발정 확인 후 시간)

1-3일차 36시간 48시간
4-5일차 24시간 36시간
6일차 12시간 24시간
7일차

발견 즉시 교배

12시간
8일차 이상 발견 즉시 교배 12시간
재발정 확인 모돈 12시간 24시간

 

2. 이유모돈의 발정지속 시간은 농장마다 다르다!

 

농장에서는 흔히 ‘교배가 제일 어렵다’고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만약 '표 1'에 나타난 프로그램대로 교배를 하였을 때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교배가 어렵다는 말이 나오지 않겠죠. 하지만 내 농장에 모돈들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단순히 '표 1'에 근거하여 교배를 실시했을 때 그다지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는 농장도 상당히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많은 농장에서는 교배 프로그램에 도대체 어떠한 문제가 있는 것인지 머리를 싸매고 원인을 찾아내려는 노력을 하게 됩니다.  만약 여러분의 농장에서 이와 같은 노력을 하고 계시다면 아래 몇 가지 항목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1)

 

●발정 지속 시간은 농장마다 다르고 개체별로도 차이가 날 수 있다

●계절적인 변화를 감안하더라도 한 농장에서의 발정 지속시간은 비교적 일정하다

 

즉, 농장에서는 일정 시간을 투자하여 내 농장에서 산차별, 체평점별 모돈의 발정 지속시간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래에서 '표 2'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장에서 실제로 측정한 발정지속시간에 대한 자료입니다. 해당 자료는 동절기(2~3월)에 조사되었습니다.

 

표 2.  A 농장: 목요일 오전 이유 기준 모돈 발정 확인 날짜와 발정 지속시간4)

  발정 지속시간
일요일 발정 확인 64시간(배란까지의 시간 : 42시간)
월요일 발정 확인 49시간(배란까지의 시간 : 32시간)
화요일 발정 확인 42시간(배란까지의 시간 : 28시간)
수요일 발정 확인 35시간(배란까지의 시간 : 23시간)

 

'표 2'에 나오는 A농장은 교배 타이밍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요? ‘배란은 발정 기간의 2/3 시점에서 이루어지며 배란 12시간 전에 첫 교배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좋다’는 기준을 위 데이터에 적용해 보면 첫 교배가 언제 이루어져야 할지는 이 글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A농장의 교배 타이밍을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3. 모돈의 발정 지속시간은 어떻게 조사할까?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위 그림에 나와 있는 모돈은 4일차 오전, 즉 월요일 오전에 처음 승가허용 자세가 확인된 모돈입니다. 모돈 등에다가 빨간색 페인트로 점을 찍어 표시하였지요. 화요일 오전에 1차 교배가 들어갔고, 수요일 오전에 2차 교배가 들어갔습니다. 수요일 오후에도 승가 허용이 확인되었으며, 목요일 오전에 최종적으로 승가 거부 현상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 모돈의 발정 지속시간은 월요일 오전부터 목요일 오전까지인 72시간이 되는데, 물론 정확한 시간은 아니지만, 월요일 오전에 확인된 발정은 일요일 오후부터 월요일 오전까지의 시간 중에 언제 시작되었는지 모르고, 목요일 오전에 확인된 승가 거부는 언제 발정이 끝나서 그런 현상을 보였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아마 72시간이라고 생각을 해도 무방할 것입니다.

 

참고로 마커의 색깔은 잘 지워지지 않는 것을 골라 요일별로 색을 다르게 쓰는 것이 한눈에 확인하기 좋습니다. 그렇다면 이 모돈의 실질적인 교배 적기 타이밍은 언제였을까요? 배란은 화요일 오후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결국 화요일 오전에 교배를 실시한 것이 적기였다는 결론을 낼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농장의 교배 적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이유 후 모돈의 발정 지속시간과 교배시점을 기록해서 분석하면 농장의 교배적기를 찾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1)

 

4. 요약

 

발정 지속 시간은 농장마다 다르고 개체별로도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다면 분명히 농장에서의 교배 적기를 찾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자료를 분석하고 농장에 적용할 때는 반드시 양돈전문수의사와 상의하시기를 권장해 드립니다.

 

Reference

1) Marrit van Engen, Kees Scheepens, 피그시그널 모돈편, p 28-29

2) Diseases of Swine 7th Edition (1992), p 88-137

3) Luis Sanjoaquin Romero, 2017, Management of the hyperprolific sow, p 27

4) ㈜ 선진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9,084,407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