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양육 제조 기술이 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소태아혈청(FBS)' 배지 대신 무혈청 배지로 완전 전환하며 비용과 윤리 논란을 동시에 해결하고 있습니다. 근육세포와 지방세포를 동시에 배양하고, 여기에 지지체 등을 활용해 마블링 구조를 흉내내려 하고 있습니다. 최종 식감 및 풍미, 외관을 진짜 고기와 비슷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배양육에 대해 과장도 과소평가도 아닌 냉정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흔히 '배양육'하면 '소태아혈청(FBS)'을 얘기합니다. 소태아혈청이 있어야 세포를 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태아혈청은 소의 자궁에서 적출한 소 태아 혈액에서 얻습니다. 때문에 고가(高價)입니다. 또한, 비윤리적이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이에 배양육은 쉽게 상용화 되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틀린 얘기입니다. 이미 국내외 기업이 소태아혈청을 대신할 수 있는 '무혈청 배지첨가물'을 개발했습니다. 관련 업체 관계자는 현재 자사의 무혈청 배지첨가물은 70~80% 완성 수준이며, 조만간 추가 연구를 통해 소태아혈청 가격(리터당 150만원)의 3% 정도의 수준(5만원)으로 가격을 낮출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관련 기사).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