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 노후 축사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마트 축산단지로 조성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연구 보고가 나왔습니다.

경기도 축산정책과는 지역 현안과 축산시설의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연구원에 ‘경기 북부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방안’ 연구를 의뢰했으며, 그 결과가 22일 발표됐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축사 1만 3478개소 중 15년 이상 노후 축사는 7217개소(53.5%)이며, 경기 북부의 15년 이상 노후 축사는 2498개소로 58.3%를 차지합니다. 특히 30년 초과 노후 축사 비중은 북부 11.2%로 남부(4.3%)의 약 3배에 달합니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결과, 경기 북부 축사 중 87.3%가 (질병 확산 등) 위험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위험 입지이면서 규제 지역 내에 있는 축사는 가축 질병 발생이나 환경 민원, 개발제한 등 다각적 위험이 복합적으로 존재합니다.
이에 기존의 노후·난립 축사를 ICT 기반의 스마트 축산단지로 조성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제기됩니다.

보고서는 경기 북부 스마트 축산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으로 ▲입지 적정성 확보 및 단계적 추진 전략 마련 ▲제도적 기반 강화 및 운영 주체 육성 ▲환경친화적 관리 및 주민 수용성 확보 ▲생산 효율성 제고 및 장기적 수익성 확보등 4대 핵심 정책 제언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에어워셔, 바이오필터, 음압 환기 시스템 등 악취 저감 기술 도입, 가축분뇨 에너지화, 주민 발전기금 조성 및 에너지 공유 프로그램 등을 통해 환경 문제 해소와 주민 수용성 제고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잠정 포천, 연천, 파주가 상대적으로 입지 요건을 만족하는 면적이 넓고, 기존 축산업 기반이 잘 조성되어 있어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후보지로 우선 검토 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습니다.
한미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은 단순한 시설 현대화가 아니라, 환경·경제·사회가 결합된 지속가능한 축산 생태계 구축 전략”이라며, “ICT 기반의 운영 혁신을 통해 생산 효율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부가가치 축산물 생산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신종광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이번 연구는 경기 북부 축산의 미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한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스마트 축산이 지역 균형발전과 농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면밀히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경기 북부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방안' 보고서는 경기연구원 홈페이지(바로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