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게스테론은 초기 태아 발달과 성공적인 임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돼지의 임신 초기에 프로게스테론이나 그 유사체(알트레노제스트)를 보충한 결과는 상충된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6일과 12일차에 모돈에게 알트레노제스트를 보충한 것이 번식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임신 6일차에 301마리의 모돈을 다음 처리군 중 하나에 무작위로 배정했다; ▶CON(대조군: 보충하지 않음, n = 163) ▶ALT(임신 6일부터 12일까지 매일 알트레노제스트 20mg 경구 보충, n = 138). 배란은 첫 발정 감지 후 48시간 후에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임신 첫 날을 표준화하였다. ALT 그룹의 경우 총 분만자돈수(ALT: 17.3 ± 0.4; CON: 16.6 ± 0.4), 생시자돈수(ALT: 15.6 ± 0.4; CON: 14.8 ± 0.3), 태반중량(ALT: 4.2 ± 0.1; CON: 3.8 ± 0.1)을 증가시켰다. 사산률(ALT: 5.9 ± 0.6; CON: 7.6 ± 0.6) 및 800g 미만 저체중자돈수(ALT: 6.6 ± 0.6; CON: 8.0 ± 0.6)를 감소시켰다. 분만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임신 6~12일 사이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의 유튜브 채널 '돈플래너TV'가 새롭게 선보이는 '돈돼는 강의(관련 기사)'의 요약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돼지와사람] 모돈의 재귀발정일이 일정 이상 지연되면 분만율뿐만 아니라 총산과 실산 등의 번식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재귀발정일이 발정지속시간 및 배란 등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농장에서 산자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재귀발정일을 5.5일 이하로 낮추어야 합니다. 재귀발정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산차 ▶영양 ▶포유일수 ▶포유두수 ▶계절 등이 있습니다. [다음 강의는 '교배전략(2) 교배 실패 원인 분석'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정리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국내 대표적인 양돈경영전산관리 프로그램인 '피그플랜(PigPlan, 이지팜)의 지난해 전산성적 보고서가 '2020년도 빅데이터 심층분석 보고서'라는 이름으로 최근 발표되었습니다. 보고서에는 지난해 1년 동안 꾸준히 농장 성적을 피그플랜에 입력한 568농가에 대한 성적 분석 자료가 담겨져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농가의 평균 7일 내 발정재귀율은 88.7%, 모돈 회전율은 2.28, 평균 이유두수는 10.3두, PSY는 23.5두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에 비해 각각 0.5%p, 0.02, 0.1두, 0.5두 증가한 수치입니다. 반면, 비생산일수는 47.9일로 전년(49.6일)에 비해 1.7일 감소했습니다. 이번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총산의 경우 '10년 11.4두에서 '20년 12.6두로 1.2두가 증가하였지만, 이유두수는 9.5두('10년)에서 10.3두('20년)로 0.8두 증가하는데 그쳐 많이 낳고 많은 죽는 '다산-다사' 현상이 관찰된다. ● '13년(92.1%) 이후 하락된 포유개시율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다산 품종 도입 후 산자수 증가와 함께 사산도 증가함을 의미한다('20년 91.4%).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