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돼지를 관리하는 농장 관리자들은 약품을 올바르게 다루고 주사하는 것에 능숙해야만 한다. 아무리 좋은 약품이라도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그 효능을 온전히 살려낼 수 없으며, 잘못된 보관이나 투여 방식으로 오히려 여러 문제들이 파생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세바의 흉막폐렴 백신 '코글라픽스(더 알아보기)'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백신류의 올바른 사용 및 보관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접종 시 백신의 온도에 주의하자! 냉장 보관: 백신은 반드시 냉장고(2~8℃)에 보관한다. 사용 전 준비: 접종 전에는 백신을 냉장고에서 꺼내 차광된 실온에 최소 30분간 두어야 한다. 적정 온도 확인: 백신의 온도가 20~22℃에 도달했을 때 주사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온도 관리가 중요한 이유 조직 손상 위험: 차가운 백신을 그대로 주사하면 세포 사멸을 유발해, 광범위하고 장기간 지속되는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면역 반응 저하: 돼지의 체온과 차이가 큰 상태에서 주입될 경우, 면역 자극이 약하거나 불완전하게 일어나 백신 효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 ◆ 접종 전에 백신을 균질하게 만들자! 사용 직전 흔들기: 접종하기 전에 백신을
흉막폐렴으로 인한 피해는 흉막폐렴균이 분비하는 독소(Apx I, II, III toxin)에서 비롯된다. 이들 독소는 강한 용혈성과 세포독성을 지녀 내피세포와 적혈구를 포함한 폐 조직 세포를 손상시키며, 흉막폐렴균이 영양분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동시에 LPS와 함께 작용해 폐에 심각한 조직 손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돼지가 Apx I, II, III 독소에 대한 방어 능력을 획득한다면, 흉막폐렴으로 인한 임상 증상과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독소를 방출하여 임상 증상을 일으키고 심지어 폐사까지 초래하는 대표적 세균으로는 흉막폐렴균, 부종병 대장균(EDEC; STEC),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pA, CpC) 등이 있다. 이러한 세균이 만들어내는 독소에 대한 중화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성분을 톡소이드(toxoid)라 하며, 이것이 포함된 백신을 흔히 톡소이드 백신이라고 부른다. 흉막폐렴균이 생산하는 독소로 인해 질병이 심화되는 질병의 특성상, 흉막폐렴 백신을 선택할 때는 단순히 농장에 존재하는 혈청형이 백신에 포함되어 있는지보다는, 톡소이드를 통해 Apx I, II, III 독소에 대한 방어 능력이 톡소이드 성분으로 검증되어 있는지를 최우선적
▶ 1편 다시보기: 호흡기 컨트롤 어렵다면, 마이코에 주목하자!(1) 돼지 유행성 폐렴의 원인체인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ycoplasma hyopneumoniae)는 돼지 호흡기 질병 복합 감염증(PRDC) 발생에 있어 핵심적인 병원체 중 하나다. 마이코(M.hyo)는 전 세계 대부분의 양돈장에서 상재하고 있으며, 양돈 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주요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Maes et al., 2018). 마이코(M.hyo)는 단독 감염만으로도 일당증체량(ADG) 감소, 사료요구율(FCR) 및 폐사율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유행성 폐렴 및 PRDC 관련 질병 관리에 필요한 항생제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생산성과 관련된 주요 지표들을 전반적으로 악화시킨다. 지난 편에서 살펴본 것처럼, 마이코(M.hyo)는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RRS), 돼지 써코바이러스 감염증(PCV2) 및 돼지 인플루엔자(SIV) 등과 상호작용하여 임상 증상과 피해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마이코(M.hyo)에 대한 컨트롤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흉막폐렴(App)이나 파스튜렐라성 폐렴(PM)과 같은 세균성 폐
돼지 유행성 폐렴(Enzootic Pneumonia, EP)과 돼지 흉막 폐렴(Porcine Pleuropneumonia)은 여전히 양돈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호흡기 질병으로, 성장 지연, 사료 효율 저하, 치료 비용 증가를 초래하여 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끼치고 있다. 특히, 이 두 병원체는 다른 호흡기 병원체와 상호작용하며 돼지 호흡기 복합 감염증(PRDC)을 유발할 수 있다(관련 기사). 이는 돈군의 호흡기 건강을 악화시키고 폐사율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세바(CEVA)는 유행성 폐렴과 흉막 폐렴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하이오젠(Hyogen)’과 ‘코글라픽스(Coglapix)’ 백신 접종을 권장한다. 본 글에서는 유행성 폐렴의 병원체인 마이코플라즈마(M. hyo)가 유발하는 기관지 폐렴(Broncho Pneumonia, BP)과 흉막 폐렴의 병원체인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에(A.p.)가 유발하는 등쪽-미부 흉막염(Dorso-Caudal Pleurisy, DCP)이 비육돈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험에서는 RFID 전자 이표를 통해 식별 가능한 총 54,316두의 돼지를 대상으로,
호흡기 질환이 돼지고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돼지 호흡기 복합 감염증(PRDC)은 다양한 호흡기 질병 병원체가 복합적으로 감염되어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질병이다. 예방과 치료가 어렵고, 질병이 만성화되면서 특히 육성 및 비육 단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증체 감소, 사료 요구율 증가, 폐사율 증가, 그리고 개체 치료와 사양관리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이처럼 '돼지호흡기복합감염증(PRDC)'가 양돈 농가의 생산 성적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관련 연구 대부분은 생산성을 중심으로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분석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 호흡기 질환이 돼지고기 품질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PRDC로 인한 폐 병변이 육가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한다면, 돼지의 복지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돼지고기의 품질 개선과 도축장 효율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그림 1). 이 글에서는 두부-배측 폐경화(Cranioventral Pulmonary Consolidation, CVPC)와 흉
돼지 '유행성 폐렴(Enzootic Pneumonia, EP)'은 여전히 양돈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호흡기 질병 중 하나로, 성장 지연과 사료 효율 저하를 초래하여 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안기고 있다. 특히, 유행성 폐렴의 병원체인 마이코(M.hyo)는 다른 호흡기 병원체와 상호작용하여 돼지 호흡기 복합 증후군(PRDC)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돈군 호흡기 건강 악화와 도폐사율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 이처럼 돼지 호흡기 건강에 큰 위협이 되는 유행성 폐렴은 백신 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양돈 산업이 발달한 국가에서도 여전히 높은 감염률을 보이며 문제를 일으키는 만큼, 유행성 폐렴의 예방과 관리 측면에서의 추가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세바(CEVA)는 유행성 폐렴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최신 야외주 항원 백신인 ‘하이오젠(Hyogen)’의 접종을 권장한다. 본 글에서는 하이오젠과 A사의 유행성 폐렴 백신을 비교 분석한 두 가지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이오젠의 효과와 유행성 폐렴 관리에서의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스페인 현장 시험 2: 하이오젠 vs A사 마이코&
돼지 유행성 폐렴(Enzootic Pneumonia, EP)은 여전히 양돈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호흡기 질병 중 하나로, 성장 지연과 사료 효율 저하를 초래하여 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안기고 있다. 특히, 유행성 폐렴의 병원체인 마이코(M.hyo)는 다른 호흡기 병원체와 상호작용하여 돼지 호흡기 복합 증후군(PRDC)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돈군 호흡기 건강 악화와 도폐사율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 이처럼 돼지 호흡기 건강에 큰 위협이 되는 유행성 폐렴은 백신 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양돈 산업이 발달한 국가에서도 여전히 높은 감염률을 보이며 문제를 일으키는 만큼, 유행성 폐렴의 예방과 관리 측면에서의 추가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세바(CEVA)는 유행성 폐렴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최신 야외주 항원 백신인 ‘하이오젠(Hyogen)’의 접종을 권장한다. 본 글에서는 하이오젠과 A사의 유행성 폐렴 백신을 비교 분석한 두 가지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이오젠의 효과와 유행성 폐렴 관리에서의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스페인 현장 시험 1: 하이오젠 vs A사 마이코&써
돼지 흉막폐렴은 흉막폐렴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A.p.)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세균성 호흡기 질병으로, 전 세계 주요 양돈 산업 국가에서 만연하고 있다. 특히, 양돈장의 80~90%가 만성적으로 감염된 상태로 보고되고 있어 그 심각성을 보여준다. 이 질병은 급성, 아급성, 만성, 준임상형으로 구분되며, 급성 흉막폐렴은 뚜렷한 임상 증상과 높은 폐사율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아급성, 만성, 준임상형 흉막폐렴은 명확한 임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쉽게 간과되지만, 이러한 형태의 흉막폐렴 역시 사료 효율과 증체율을 저하시켜, 급성 흉막폐렴에 버금가는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흉막폐렴이 육성 및 비육 구간에 영향을 미쳐 연간 약 4,160억 ± 3,900억 원(미화 약 32 ± 30백만 달러)의 경제적 손실을 일으킨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Losinger, 2005). 많은 농장에서 흉막폐렴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흉막폐렴균이 생성하는 독소(Apx toxin)로 인해 항생제만으로는 효과가 제한적이며, 비용 대비 효율도 낮아 백신 접종이 권장된다.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