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번식군 내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에(Mycoplasma hyopneumoniae; 유행성 폐렴)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표준화된 체계가 개발되었다; 통제되지 않은 양성(I), 통제된 양성(II), 잠정 음성(III), 음성(IV). 이는 돈군의 노출 및 배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일련의 진단 지침을 정의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 분류 체계는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에의 역학적·생태학적 특성에 기반하며, 현재 현장에서 시행 중인 통제 및 근절 관행을 반영한다. 학계, 산업계, 돼지 수의사, 미국돼지수의사협회(AASV), 국가돼지고기위원회대표로 구성된 작업 그룹이 개발하였으며, 2019년 10월 2일 AASV 이사회에서 승인되었다. 명확하고 간결한 용어 사용은 모든 이해관계자 간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Establishing Mycoplasma hyopneumoniae herd statu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breeding herds, Maria J. Clavijo(Iowa State University), AASV, 2020] 번역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지난 14일 '2023 질병진단기술자문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는 동물 질병진단 실적과 현장 애로 및 현안사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질병 해결을 위한 대안과 기술 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정부, 학계, 임상 수의사, 민간 진단기관 등 동물 질병 내·외부 전문가 24명이 참석하였습니다. 이들은 현행 PRRS, PED 등 3종 가축전염병을 포함한 법정 가축전염병의 분류 및 관리의 문제점과 개편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함께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데 공감했습니다. 돼지인플루엔자의 모니터링 강화를 비롯해 소류코시스의 관리방안, 소바이러스성설사(BVD)의 피해 최소화, , 반려동물 진드기 매개 질병의 진단 및 연구 강화, 신속 항생제감수성검사법의 개발 등에 대한 의견도 나누었습니다. 또한, 전문가들은 검역본부 질병진단과에서 추진하고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병리진단 기술의 효율적인 확보와 동물학대 대응을 위한 진단 기술 및 현장 교육 확대에도 많은 투자와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구복경 검역본부 질병진단과장은 “앞으로도 축산현장, 학계의 질병진단 전문가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호르몬은 우리를 포함한 동물의 몸에서 분비되어 혈액을 타고 표적기관으로 이동하는 일종의 화학물질로서 몸의 각 기능을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시켜 주고, 성장을 도와주는 유용한 존재입니다. 이 원고가 호르몬을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작으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Ⅲ. 호르몬 분류 화학적 성상, 용해도, 표적장기세포의 수용기, 작용기전에 따라 2가지로 분류 ■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아미노산 유도체 - 시상하부호르몬(GnRH), 뇌하수체호르몬(FSH, LH, oxytocin), 부신수질호르몬(catecholamine), 부갑상선호르몬(parathormone), 췌장호르몬(insulin, glucagon), 태반성성선자극호르몬(PMSG, HCG), 릴랙신(relaxin) 등 - 물에 잘 녹으며 - 수용기는 세포막 외부에 있고 - 아데닐 싸이클라제(adenyl cyclase)를 활성화 시켜서 세포막의 투과성을 변화시킨다. - 유리된 상태로 혈류를 따라서 표적장기에 운반된다. ■ 스테로이드, 요오드화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 - 부신피질호르몬, 성호르몬(androgen, progesterone, estrogen), 갑상선호르몬(T4, T3) - 물에 잘 녹지 않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