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강원도에서 ASF 감염멧돼지가 추가되었습니다. 그런데 원주서도 나와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확산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원주 감염멧돼지는 10개월령 암컷으로 지난 8일 귀래면 용암리 소재 과수원 일원에서 수렵인에 의해 총기 포획되었습니다. 13일 정밀검사 결과 ASF 양성(#4278)으로 확진되었습니다. 이는 예상 밖의 사건입니다.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미스터리입니다. 원주 감염멧돼지 포획지점은 최근 화천·춘천 감염멧돼지 발견지점과 약 100km 이상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원주에서 ASF 감염멧돼지가 마지막으로 나온 것은 2년 전인 지난 '23년 10월의 일입니다. 단순 사람·차량에 의한 기계적 전파가 원인인지 혹은 야생멧돼지 이동·순환감염이 원인인지는 반드시 역학조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같은 날 원주 감염멧돼지에 더해 화천에서도 감염멧돼지 2마리(#4279, 4280)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모두 폐사체입니다. 이로써 지난 10월 28일 이래 ASF 감염멧돼지 발견 마릿수는 23마리로 늘어났습니다. 발견시군은 화천과 춘천, 원주 3개로 증가했습니다. 이에 당분간 ASF 감염멧돼지
정부가 별도의 공식 자료를 내지 않으니 오늘도 소식을 전합니다. 강원도 화천에서 ASF 감염멧돼지 또 추가되었습니다. 이번에는 5마리가 동일한 지점에서 한꺼번에 나왔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해당 감염멧돼지는 지난 10일 화천군 사내면 용담리 야산에 대한 일대 수색 과정에서 폐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모두 같은 8개월령 성체로, 발견 당시 죽은지 5일이 경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12일 정밀검사 결과 ASF 양성으로 진단되었습니다(#4273-4277). 이로써 지난달 28일 이래 ASF 감염멧돼지 발견 숫자는 이제 20마리가 되었습니다. 화천과 춘천에서, 그것도 반경 7km 내 지역에 위치해 있습니다만, 발견지역은 점차 넓어지는 양상입니다.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점차 인접한 경기도와 가까운 곳에서도 발견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화천 감염멧돼지 발견지점은 경기도 가평군과 불과 약 7km 정도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ASF 감염멧돼지 반경 10km 내 양돈농가에 대해 이동제한 조치를 취하는 한편 관리자에 대해 농장 출입시 소독 실시 여부를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ASF 실시간 현황판 이
강원도에서 ASF 감염멧돼지 2마리가 또 추가되었습니다. 발견지역이 점차 확대되는 양상이어서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해당 감염멧돼지는 지난 10일 화천군 사내면 명월리와 하남면 계성리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모두 성체로 각각 30개월령 수컷과 10개월 암컷입니다. 수컷은 수렵인에 의해 총기포획되었고, 암컷은 폐사체로 탐지견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11일 정밀검사 결과 ASF 양성으로 확진되어 역대 4271번째와 4272번째 감염멧돼지로 나란히 기록되었습니다. 이로써 올해 ASF 감염멧돼지는 65마리로 늘어났습니다. 지난 10월 28일 3개월 만에 재발견 이래 벌써 15마리(화천 8, 춘천 7)가 되었습니다. 하루 1마리꼴입니다. 이번 추가 발견으로 주목되는 것은 발견지역이 확 넓어졌다는 점입니다. 한 마리의 경우 기존 발견지점과 8km 떨어진 지점에서 나왔습니다. 확산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보다 강도 높은 포획·수색 활동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현재까지 정부는 이번 ASF 감염멧돼지 잇단 재발견과 관련해 이렇다 할 설명이나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침묵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침묵하니 대부분의 일선
주말 전후 ASF 감염멧돼지가 강원도 춘천에서 또 추가되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해당 감염멧돼지는 모두 3마리입니다. 모두 성체(7, 10, 30개월령)입니다.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야산 일대 수색 과정에서 지난 5일(2마리)과 6일(1마리) 이틀에 걸쳐 죽은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 폐사한지 5일 또는 10일이 경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7일과 9일 실시한 정밀검사 결과 ASF 양성으로 진단되었습니다(#4268-4270). 이로써 올해 ASF 감염멧돼지는 63마리로 늘어났습니다. 특히, 지난 10월 28일 3개월 만에 재발견 이래 벌써 13마리(화천 6, 춘천 7)가 되었습니다. 하루 1마리꼴입니다. 한편 정부는 최근 강원지역 ASF 감염멧돼지 발견에 대해 공식적인 설명 또는 대응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4일 '야생멧돼지 ASF 차단 광역울타리 관리 방안'을 통해 단계적 철거 계획을 공식화했습니다(관련 기사). ※ ASF 실시간 현황판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오늘(6일)도 강원지역서 ASF 감염멧돼지 한 마리가 또 추가되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해당 감염멧돼지는 12개월령 수컷으로 전날인 5일 화천군 하남면 논미리 소재 야산에서 죽은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 폐사한지 5일이 경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6일 검사에서 ASF 양성으로 진단되어 역대 4267번째 감염멧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최근 10일간 10번째 ASF 감염멧돼지입니다. 야외바이러스가 지속 검출되며 재확산 위험이 커진 상황입니다. 인접 지역의 선제적 차단방역과 폐사체 수색·소독 강화가 시급합니다. ※ ASF 실시간 현황판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ASF 감염멧돼지 발견건수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5일 감염멧돼지 3마리가 추가되었습니다. 모두 앞서 지난 3일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야산 일대를 대상으로 한 지자체 수색 과정에서 폐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죽은지 10일이 경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로써 지난달 10월 28일 이래 5일 현재까지 새롭게 추가된 감염멧돼지 숫자는 9마리(춘천 4, 화천 5)로 늘어났습니다. 9마리 가운데 6마리는 수색을 통해 파악되었습니다. ※ ASF 실시간 현황판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지난 3개월 동안 야외에서 종적을 감추었던 ASF 바이러스가 최근 연달아 발견되고 있습니다. 양성 야생멧돼지를 통해 확인된 것인데 번식기와 맞물려 추가 확산 가능성이 우려됩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는 2일 ASF 감염멧돼지 1마리가 추가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감염멧돼지는 지난달 31일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논미리 야산에서 폐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18개월령 암컷으로 발견 당시 폐사한지 5일이 경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밀검사 결과 ASF 양성으로 진단되어 올해 56번째 감염멧돼지(역대 #4263)로 기록되었습니다. 또한, 이는 지난 일주일 기간 6번째 감염멧돼지입니다. 앞서 지난 28일 강원도 춘천(관련 기사)에서 1마리(#4258)에 이어 31일 화천(관련 기사)에서 4마리(#4259-62)가 확인된 바 있습니다. 대부분 죽은 상태로 발견되었으나 화천 1마리(#4262)는 살아있는 상태로 총기포획되었습니다. 이들 멧돼지 발견지점과의 거리는 최대 15km 내입니다. 한 전문가는 "강원도 전체가 (ASF 감염멧돼지에 대한) 수색 강도가 형편 없는 수준으로 판단된다"라며, 정부의 보다 강도 높은 멧돼지 포획 및 폐사체 수색을 주장했습니다. 한편 올해 1
오늘(31일) 강원도에서 ASF 양성을 보인 야생멧돼지 4마리가 한꺼번에 추가로 확인되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모두 화천군에서 나왔습니다. 3마리(#4259-61)는 하남면 논미리 야산에서 폐사체로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1마리(#4262)는 상서면 다목리 야산에서 총기 포획되었습니다. 이로써 이달 ASF 감염멧돼지는 지난 28일 1마리(춘천)을 포함해 모두 5건으로 늘어났습니다. 감염멧돼지의 재확산 가능성이 우려됩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ASF에 감염된 야생멧돼지가 3개월 만에 새로 확인되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해당 멧돼지는 지난 24일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소재 야산에서 폐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 폐사한지 최소 6개월 이상 경과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28일 정밀검사 결과 ASF 양성으로 최종 확진되었습니다. 올해 51번째(역대 #4258) 감염멧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지난 7월 23일(#4257, 강원 화천) 이후 정확히 97일 만의 추가 사례입니다. 살아있는 멧돼지가 아닌 폐사 후 상당기간이 지난 폐사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만큼 즉각적인 추가 전파 위험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그러나 환경 내에 ASF 바이러스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이 명확해진 만큼 방역의 고삐를 늦출 상황은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먼저 ‘조용한 기간’이 끝났습니다. 야생멧돼지 ASF 감염 개체가 3개월 넘게 확인되지 않으면서 일선에서는 “야외 바이러스가 한풀 꺾인 것 아니냐”는 기대도 일부 제기돼 왔습니다. 97일 만의 추가 검출은 이러한 기대가 아직은 시기상조임을 보여줍니다. 또한, 바이러스 감염원이 사체 형태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임상증상을 가진 야생멧돼지의 이동을 통한 적
지난 7월 23일(#4257, 강원 화천)을 마지막으로 8월에 이어 9월에도 ASF 감염멧돼지는 전국적으로 단 한 건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두 달 연속으로 추가 발견 사례가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국내 첫 감염멧돼지가 발견된 2019년 10월 이래 처음 있는 일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9월 14일 경기 연천 사육돼지에서 ASF가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매개체는 없고 바이러스만 돌아다니는 셈입니다. ASF 감염멧돼지, 현재 없는 건지 혹은 있는데도 못 찾는 것인지 알 길이 없습니다. ※ ASF 실시간 현황판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