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9.1℃
  • 구름많음대관령 4.2℃
  • 구름많음북강릉 8.6℃
  • 구름많음강릉 8.7℃
  • 구름많음동해 10.4℃
  • 맑음서울 11.3℃
  • 구름조금원주 7.2℃
  • 맑음수원 10.3℃
  • 맑음대전 10.7℃
  • 맑음안동 9.2℃
  • 구름조금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0.1℃
  • 구름조금광주 11.3℃
  • 구름조금부산 12.3℃
  • 구름조금고창 10.1℃
  • 구름조금제주 12.0℃
  • 구름많음고산 9.5℃
  • 맑음서귀포 14.5℃
  • 맑음강화 9.7℃
  • 흐림이천 4.7℃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9.3℃
  • 맑음김해시 11.3℃
  • 구름많음강진군 10.7℃
  • 구름조금봉화 8.7℃
  • 구름조금구미 8.5℃
  • 구름많음경주시 10.3℃
  • 맑음거창 9.4℃
  • 맑음합천 10.6℃
  • 맑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참고] 역대 ASF 양성 야생멧돼지 관련 상세 정보 I

자료 출처: 국립환경과학원(1차부터 29차 감염멧돼지 발견 정보)

지난 10월 3일 연천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야생멧돼지에서는 처음으로 ASF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습니다.

 

 

일반 양돈장에서의 ASF 발생은 10월 9일 14차를 끝으로 멈추었지만,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감염 사례는 4일 기준 37건으로 늘어났으며, 당분간 계속될거라는 전망입니다. 

 

 

관련해 '돼지와사람'은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에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확보한 감염멧돼지 관련 정보를 공유합니다. 10월 3일 1차부터 11월 27일 29차 감염멧돼지 발견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폐사체로 발견된 가운데 일부 포획된 개체도 있습니다. 폐사체는 온전한 것부터 백골화가 한창 진행된 것까지 다양합니다. 

 

이번 ASF 사태에서 아직까지 야생멧돼지와 일반돼지 사이의 역학 관계는 밝혀진 바 없습니다. 여하튼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바이러스를 제거하지 않고서는 이번 ASF 사태가 끝났다 볼 수 없습니다. 

 

※ASF 실시간 현황판(바로가기)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1,633,449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