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은 최근 발표한 국제곡물 관측 10월호에서 2025년 4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가 전 분기 대비 1.5%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올해 2분기부터 이어진 하락세가 3분기 연속 지속되는 것입니다. 농경연 자료에 따르면 4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2015년=100)는 125.2로, 전 분기(127.1)보다 1.5% 낮은 수준으로 예측됐습니다. 이 같은 흐름은 2024년 2분기 이후 지속된 완만한 하락세가 올해 들어 더욱 뚜렷해진 결과로 풀이됩니다. 2025년 1분기 138.5, 2분기 130.2, 3분기 127.1에 이어 4분기 125.2로 완만한 하락 곡선을 그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경연은 사료용 곡물의 대표 품목인 옥수수와 대두박의 도입단가 하락이 전체 수입단가 하락을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수입단가 하락에는 환율 안정세도 작용했습니다. 농경연은 보고서에서 2025년 4분기 원·달러 환율을 1,375원 수준으로 전망하며, 이는 상반기 대비 70원 이상 낮아진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환율이 안정되면서 원화 기준 수입단가 상승 압력이 완화된 것입니다. 또한, 국제곡물 가격 하락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사료 수입 단가는 추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다행스러운 소식입니다. 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은 지난 16일 개최한 '농업전망 2025' 행사에서 이 같이 발표했습니다. 농경연에 따르면 2024/25년도 주요 곡물(밀, 옥수수, 콩,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29억 5,876만 톤, 소비량은 1.1% 증가한 29억 6,697만 톤으로 전망됩니다.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0.7% 감소, 기말재고율은 전년 대비 0.5%p 하락한 27.5%로 추정됩니다. 이런 가운데 2024년 국제곡물 선물가격은 전년에 이어 하락 추이가 지속되었습니다(전년 대비 -24%). 주산지 기상 악화 등으로 일시적으로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남미지역 기상 호전, 미국 공급 여건 개선 전망, 달러화 강세와 중국의 수요 둔화 등으로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2025/26년도 주요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29억 9,228만 톤, 소비량은 0.8% 증가한 29억 9,160만 톤으로 예상됩니다. 옥수수와 밀 생산량이 전년 대비 각각 1.4%, 2.0% 증가하고, 콩은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생산량이 전망되는 등 전반적인 곡물 공
지난달 수입사료원료 가격이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의 국제곡물 5월호(바로보기)에 따르면 4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145.3) 대비 2.2% 상승한 148.5포인트를 나타냈습니다. 이는 옥수수(258달러/톤, 0.9%)와 대두박(535달러/톤, 1.0%) 등의 수입단가와 달러환율(대미환율, IHS Global Insight 기준, 2.4%)이 오른 영향입니다. 밀의 수입단가(273달러/톤)는 0.6% 하락하면서 전체 가격지수 상승을 제한했습니다. 다만, 4월 수입사료원료 가격지수 148.5포인트는 여전히 지난해 같은 달(175.1)과 비교하면 15.2% 낮은 수준입니다. 달러환율(3.2%)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옥수수(-22.8%), 밀(-23.1%), 대두박(-4.4%) 등의 수입단가가 1년 사이 모두 크게 하락한 결과입니다. 농경연은 2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를 여전히 전 분기보다는 낮지만, 전달 예측치(135.5, 관련 기사)보다는 다소 높게 관측했습니다. 139.8포인트입니다. 이는 전 분기(141.1) 대비 -0.9%, 전년 동기(166.0) 대비 -15.8% 수준입니다. 2분기 국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최근 곡물관측 4월호(바로가기)를 발표한 가운데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1분기에 이어 추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4월 곡물관측 발표에 따르면 3월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는 전월(-2.2%) 및 전년(-22.3%) 대비 모두 하락한 119.2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큰 폭의 밀 가격 하락 영향입니다. 옥수수와 콩 가격 상승이 하락을 제한했습니다. 밀 가격의 경우 러시아 공급 증가에 따른 수출가격 하락, 중국의 미국산 밀 구매계약 취소 등으로 미국산 수출 부진 우려 심화 등으로 전월(-7.6%) 대비 크게 떨어졌습니다. 옥수수와 콩 가격은 브라질 수확량 전망치 하향 조정, 미국 콘벨트의 건조한 기상 형성 우려, 아르헨티나 폭우 영향 등으로 전월 대비 올랐습니다.(옥수수 1.3%, 콩 0.8%). 농경연은 2분기 곡제곡물 선물가격지수를 121.1포인트로 예측했습니다. 이는 전 분기(-0.9%)뿐만 아니라 전년 동기(-18.7%) 대비 모두 낮은 수준입니다. 지난 '22년 2분기 이후 8분기 연속 하락한 가격입니다. 흑해지역의 원활한 밀 공급 지속, 세계 옥·수수콩 기말재고량 및 기말재고율 상승 예측 등을 판단 근거로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