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와 오늘 경기 연천과 평택서 원인 모를 돈사화재 사고가 연달아 일어났습니다. 소방청과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먼저 11일 오후 5시 22분경 연천군 군남면 소재 한 양돈장에서 불이 나 1시간여 만에 진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돈사 1개 동이 소실되었습니다. 돈사가 비워있어 돼지 폐사는없었습니다. 이어 다음날인 12일 새벽 4시 40분경에는 평택시 청북읍에 있는 양돈장에서 불이 나 돈사 1개 동 일부(99㎡)가 소실되고 모돈 45마리, 자돈 400마리 등 돼지 445마리가 폐사했습니다. 이번 화재로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로써 이달 들어 돈사화재는 모두 9건으로 늘어났습니다. ※양돈장 화재 예방을 위한 필수 점검 대상 4가지(바로보기)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4일 만에 경기도 용인에서 또 돈사 화재 사고 소식입니다(관련 기사).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6일 오전 3시 19분경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 있는 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2시간 2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돈사 5개 동 가운데 4개 동(1,200㎡)이 불에 타고 돼지 2백여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재산피해 내역과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양돈장 화재 예방을 위한 필수 점검 대상 4가지(바로보기)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추석 연휴 기간 경기도에서 돈사 화재가 연달아 일어났습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추석인 6일 오후 5시 35분경 양주시 남면 소재 양돈장서 전기적 요인(미확인 단락)으로 추정되는 불이 났습니다. 이로 인해 돈사 일부(20㎡)가 소실되고 돼지 20여 마리가 폐사해 소방서 추산 5백5십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다음날인 7일 새벽 4시 58분경에는 평택시 고덕면에 위치한 양돈장 내 분뇨 정화 시설 등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과정에서 돈사 및 기계설비 시설 등이 소실되었습니다. 역시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현재 정확한 피해 규모와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한편 지난달 9월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여파로 전국적인 화재 통계가 집계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달 돈사 화재 사고는 4건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양돈장 화재 예방을 위한 필수 점검 대상 4가지(바로보기)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지난 일요일 강릉(관련 기사)에 이어 이천에서도 돈사 화재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21일 오후 4시 6분경 이천시 신둔면에 위치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1시간 2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불로 철파이프조 스레트지붕 돈사 1개 동이 전소되고 모돈 150여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피해 규모와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이번 불로 9월 돈사 화재는 모두 6건으로 늘어났습니다. ※양돈장 화재 예방을 위한 필수 점검 대상 4가지(바로보기)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경기도 안성에서 지난 1일(관련 기사)에 이어 또 돈사 화재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지난 24일 밤 8시 34분경 안성시 서운면에 위치한 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2시간 2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불로 돈사 1동(450㎡)이 소실되고 모돈과 자돈 등 돼지 1천여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잠정 재산피해액을 3억2천만원으로 집계했습니다.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26일 현재까지 이달 돈사 화재는 모두 8건입니다. 이로 인한 재산피해액은 모두 7억4천만원에 이릅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7월 첫 날 아침 경기도 안성에서 돈사 화재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1일 오전 7시 44분경 안성시 보개면에 위치한 한 양돈장 내 분만동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5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분만동 일부(50㎡)가 소실되고 모돈 55마리를 포함 돼지지 500여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이번 안성 화재로 올해 들어 돈사 화재 발생건수는 76건으로 늘어났습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지난 20일 경남 사천(관련 기사)에 이어 이틀 만에 또 돈사 화재 사고 소식입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일요일인 22일 오후 2시 09분경 파주시 파평면에 있는 한 양돈장에서 전기적 요인(단락)으로 추정되는 불이 나 1시간 15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돈사 3개 동이 전소되고 모돈 280여 마리가 폐사하는 등 소방서 추산 5억원 (잠정) 규모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소방당국은 환풍기(전선)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이번 파주 화재로 이달 들어 돈사 화재는 모두 4건으로 늘어났습니다. 올해 누적으로는 74건입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소방청에 따르면 이번 양평 돈사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액은 1억2천9백만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돼지와사람] 간밤 경기도 양평에서 돈사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12일 오후 9시 12분경 양평군 양평읍에 위치한 한 양돈장에서 전기적 요인(미확인 단락)으로 추정되는 불이 나 43분여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돈사 3개 동(367㎡)이 불에 타고 돼지 300여 마리가 폐사하였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분만사 배전반에서 불꽃을 보았다는 농장 측 신고자의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이번 양평 화재는 이달 들어 첫 돈사 화재 사고입니다. 양평에서는 지난달 23일에도 돈사 화재가 발생한 바 있습니다(관련 기사). 역시 배전반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한동안 뜸했던 돈사 화재 사고가 금요일 오후 연달아 일어났습니다. 먼저 14일 오후 1시 58분경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에 위치한 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2시간 10분 만에 진화되었습니다. 이 불로 돈사 8개 동이 소실되고 돼지 3천여 마리가 폐사해 소방서 추산 잠정 8억6천8백만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어 같은 날 오후 8시경에는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있는 양돈장에서도 원인 모를 불이 나 2시간 만에 꺼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돈사 2개 동이 불에 타고 돼지 150여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피해 규모는 집계 예정입니다. 이번 화재 사고 모두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이로써 이달 들어 돈사 화재 사고는 모두 10건으로 늘어났습니다. 재산피해 규모는 최소 25억원 이상입니다. ▶2일 경기 연천 ▶4일 충남 천안 ▶5일 경기 화성 ▶7일 전남 함평 ▶8일 경북 성주/경기 파주/경기 안성 ▶10일 충남 천안 ▶14일 경기 화성/경남 김해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오늘 새벽 경기도 화성에서 돈사 화재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28일 오전 5시 37분경 화성시 장안면에 있는 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약 3시간 3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불로 돈사 3개 동이 전소되고 모돈 550여 마리와 자돈 2천1백여 마리 등 돼지 총 2천6백5십여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돈사에서 불이 시작되었다는 신고자의 말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이번 화성 화재로 이달 돈사 화재 발생건수는 모두 17건으로 늘어났습니다. ▶3일 경북 성주·인천 강화 ▶5일 경기 용인 ▶6일 경기 여주 ▶7일 충북 영동·경북 고령 ▶9일 경기 파주 ▶10일 충남 홍성(2건) ▶14일 충남 논산 ▶15일 충남 서천 ▶16일 경남 남해 ▶24일 경기 연천 ▶26일 충남 홍성 ▶27일 경남 창원·충북 음성 ▶28일 경기 화성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